Geology and Soil Environment of Jangdo Wetland, Heuksan-myon, Sinan-Gun, Cheollanamdo-province: A preliminary study

흑산도 지역 장도습지의 지질 및 토양환경: 예비조사

  • Heo Chul-Ho (Institute of National Parks, National Parks Authority) ;
  • Kim Seong-Yong (Policy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s and Mineral Resources (KIGAM))
  • 허철호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소) ;
  • 김성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정책연구부)
  • Published : 2005.10.01

Abstract

It was preliminarily considered that Jangdo wetland was a concave landform formed by the weathering of granite intruding Precambrian silicified metasedimentary rocks. Various granite-weathered topography was observed. The formation scenario of Jangdo wetland is as follows. By flood or slope mass movement of regolith, rock fragments were moved to form a low-relief slope landform. As a result, wetland was formed. By analyzing the slope soil and wetland sediment, we conjectured that Jangdo wetland depended on the influence of peripheral slope soil. In these concavelandform environment, the supply of water and organic materials was sustained for a long time to form a organicnondegradable wetland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lants appropriate to this wetland environment were settled to thicken the wetland. This is how the present Jangdo wetland was thought to be formed.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대장도에 부존하는 장도습지는 선캠브리아기로 추정되는 매우 심하게 규화된 변성퇴적암층을 관입한 화강암이 풍화되어 형성된 와지로 사료되며, 습지주변으로 비교적 다양한 화강암 풍화지형들이 관찰된다. 그리고, 장도습지의 형성은 화강암이 차별침식작용에 의하여 잘게 부스러지고 암편들이 홍수성 강우나 혹은 표토의 사면이동으로 낮은 경사지형이 되었고, 그 결과로 습지가 형성될 수 있는 지형특성을 보인 것으로 잠정적으로 해석된다. 또한, 습지주변의 사면토양과 습지퇴적물을 분석해 본 결과, 장도습지는 주변 사면토양의 영향하에 있는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습지로의 수분공급은 오랜 기간동안 지속되어 지형적으로 오목한 곳에 수분과 유기물을 끊임없이 공급하여 유기물의 분해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습지환경을 만들어 냈으며, 습지에 적합한 식생들이 정착하여 지속적으로 습지의 두께를 높여 현재의 습지를 형성해 낸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윤정, 황승언, 김태희, 남재철, 2001, 부이 관측자료를 이용한 서해 해역의 해양-대기 열교환량 산출. 한국지구과학회지, 22(1), 40-46
  2. 권혁재, 1996, 지형학(제 3판), 법문사, 서울, 502 p
  3. 국립공원관리공단, 1999, 오대산 습지 생태계 정밀조사, 176 p
  4. 김주용, 양동윤, 이동영, 1998, 대암산 고층습원의 자연환경. 제 4기 학회지, 12(1), 55-62
  5. 손명원, 박경, 1999, 오대산국립공원내 질뫼늪의 생성과정. 1999년 한국지리학대회 심포지엄 및 학술발표회 논문집, 238-240
  6. 이동영, 최기룡, 김주용, 양동윤, 1998, 정족산 무제치늪의 성인과 자연환경. 제 4기 학회지, 12(1), 63-75
  7. 이현정, 김태희, 황승언, 남재철, 김희종, 김형곤, 2001, 한반도 남서해역에서 해무 발생시 대기 및 해양환경 특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2001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52
  8. 임순복, 최현일, 김정찬, 2000, 홍도의 지질: 서남해역에서의 자원탐사. 한국자원공학회,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0년 춘계 공동 학술발표회 논문집, 255-256
  9. 환경부, 1997, 흑산도.홍도(8-34)의 자연환경, 제 2차 전국 자연환경조사, 116 p
  10. 환경부, 1999,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지형경관, 식생, 조류, 30 p
  11. 황승언, 김태희, 남재철, 2002, 흑산도 주변해역 수괴의 계절적 특성 비교. 한국지구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 논문요약집, p. 42
  12. Conacher, A.J., Darlymple, J.B., 1977, The nine unit landsurface model: An approach to pedogeomorphic research. Geoderma, 18, 1-14 https://doi.org/10.1016/0016-7061(77)90078-7
  13. Park, S.J., Burt, T.P., Bull, P.A., 1996, A soil-landscape continuum on a three-dimensional hillslope, Quantock Hills., Somerset, In: M.G. Anderson and S. M. Brooks (eds.), Advances in Hillslope Processes, 1, 367-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