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rowth Characteristic of the Main Afforestation Species Using the Change of the Annual Ring in Uiseong Area

연륜 변화를 이용한 의성지역 주요 조림수종의 생장특성

  • Lee Dong-Sup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and Environment, College of Life Science & Natural Resources, Sa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Dong-Geu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and Environment, College of Life Science & Natural Resources, Sangju National University) ;
  • Bea Kwan-H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and Environment, College of Life Science & Natural Resources, Sangju National University) ;
  • Suh Hyoung-Mi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and Environment, College of Life Science & Natural Resources, Sangju National University)
  • 이동섭 (상주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 김동근 (상주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 배관호 (상주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 서형민 (상주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The climate of the Uisong Area is wet in the heat of summer and cold and dry in winter, The climate is highly consistent. The typical forest soil of the Uisong Area has an acidity of pH 4.5-5.6. The thickness of soil A layers is thin to an average of 10-20 cm and is a typical brown forest soil type. The growth characteristic of this climate and soil environment is as follows. In the case of Larix leptolepis, it takes 5-9 years to reach 6 cm diameter, The annual growth rate falls off greatly at an age of 17-19 years. The change of annual rings is more apparent on the north slopes compared with the east and northeast slopes. Pinus rigida takes 7-9 years to reach a 6 cm diameter. Annual growth rates of Pinus rigida fall greatly when age reaches 19 years. The change of annual ring growth of Pinus rigida was most apparent in the west and northeast slopes compared with the south and east slopes. In the case of Pinus koraiensis, the change of the annual ring widt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lope is not important. Pinus koraiensis takes 6 yearsto reach the 6cm diameter, and annual growth rate fell off at age 19 years. In the case of Quercus acutissima, the growth of the valley trees is more stable than for trees grown at the mountain base. Annual growth rate of Quercus autissima fell off 19 years after planting. Ring growth of Robinia pseudo-acasia on northeast slopes appears much like that on northwest slopes. In conclusion, the main silviculture species reaches a 6 cm diameter in 5-9 years of growth, and the annual growth rate begins to fall between years 13 and 19 in the Uisong Area.

의성군의 기후특성은 여름 고온과 강우집중이 높으며, 이 또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겨울에 저온과 건조가 심하고, 점진적으로 저온일이 증가하고, 강-우량이 감소하는 지역이다. 또한 의성군 조림지의 토양은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전형인 pH $4.5\~5.6$사이의 산성토양으로 나타났으며, 부식층의 두께는 조림수종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A층의 두께는 평균 $10\~20cm$ 정도로 비교적 얕은 편이었다. 또한 전형적인 갈색 산림토양을 나타내고 있고 일부 아카시나무 조림지는 층위의 구분이 불분명한 미숙 토양으로 나타났다. 의성군 지역의 임지환경에 따른 주요조림 수종의 생장특성은 낙엽송의 경우 성재재적이 가능한 흉고직경 6cm에 도달하는 기간이 최소 5년에서 9년 정도의 기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년생장량이 현격히 떨어지는 시기는 수령이 17년에서 19년 사이에 떨어지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북사면에서 동사면이나 북동사면에 비하여 연륜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의 경우 서사면과 동북사면에서 연륜폭의 변화가 적고 고른 반면 남사면과 동사면에서는 연륜의 변화폭이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비슷한 수령과 토양에서 사면방향이 다른 차이만으로도 연륜폭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성재재적에 이르는 시기는 $7\~9$년 정도에 가능하며 연년생장율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것도 19년 내외가 되면 연년생장율이 $10\%$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잣나무에 있어서 연륜폭은 전체적으로 사면 특성에 의한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현재 까지 특별한 간벌이 없는 관계로 점진적으로 연년생장량이 감소하고 있다. 부분적으로 북동사면과 남서사면간의 비교에서는 연륜폭 변화가 서사면과 동사면의 비교에 비하여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성재재적에 이르는 시기는 입지에 상관없이 6년 정도 소요되면 연년생장량은 약 19년 전후에 연년생장율이 $10\%$이하로 떨어져서 생육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수리나무에 있어서는 임지내에서 계곡부와 산록부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서 상수리나무 또한 토양이 비교적 비옥하고 보습성이 높은 계곡부에서 연륜의 변화가 균일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년생장량 또한 비교적 시계열적으로 떨어지면 조림 후 17년 전후해서 $10\%$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카시나무는 사면방향에 따른 변이보다는 기후 등의 영향으로 연륜폭 변화가 매우 심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북서사면과 북동사면 사이에 연륜폭 변화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주요 조림수종은 성재재적이 되는 흉고직경 6cm에 이르는 시기가 최소 5년에서 9년 정도의 기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나며, 연년생장량이 현격히 떨어지는 시기는 수령이 13년에서 19년 사이에 일어나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엽송의 경우 사면방위에 따라 조림의 성공과 생육이 결정되며 리기다소나무와 잣나무는 사면방위, 기후가 영향을 미치며, 조림 후 임지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상수리나무, 아카시나무 등의 활엽수종에서도 자연발생적인 임지라 하더라도 임지의 관리를 통한 충분한 보육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