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수처리장의 전 방류수 독성 평가 및 방류수 배출하천의 생지표도 영향분석

The Whole Effluent Toxicity Tests of Wastewater Discharged from Various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nd Their Impact Analyses on Biological Component

  • 나진성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
  • 김상돈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부) ;
  • 장남익 (영산강 물환경연구소)
  • Ra, Jin-S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Sang-D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An, Kwang-Guk (School of Bioscience &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ang, Nam-Ik (Youngsan-river Environmental Research Laboratory)
  • 발행 : 2005.04.30

초록

전남지역에 존재하는 9개 하수종말처리장(A, B, C, D, E, F, H, I, J)의 방류수가 배출되는 하천에 대한 방류수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하천에 대한 생 지표도 평가 및 전 방류수 독성 평가(Whole effluent toxicity test)를 실시하였다. WET 평가와 생지표도 평가는 U.S. EPA 시험 방법과 Ohio EPA wading method에 근거하여 수행하였다. 전 방류수 독성 평가를 위해 표준 시험 종인 S. capricornutum과 D. magna를 사용하였다. 전 방류수 독성 평가결과 모든 지점에서 S. capricornutum 독성이 나타났으며, D. magna 독성 평가 결과에서는 A지점과 J지점을 제외한 모든 지점에서 독성 효과를 보였다. 표준 시험 종의 독성 평가 결과에 따르면 D지점에서 가장 높은 독성을 나타내었고, E지점과 F지점에서도 높은 독성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들 지역에 대한 생지표도 분석 결과 C1과 D1, J1 지점에서 낮은 종의 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A1, C1, E1, H1, J1 지점에서는 대조군 지역이나 타 지역보다 낮은 개체수를 나타내어 방류수로부터 악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1, B1, C1, D1, J1지점에서는 낮은 종의 풍부도를 보였으며, 전 방류수 독성 평가 결과에서 가장 높은 독성을 나타내었던 D지점(D1)에서는 오염에 내성이 강한 종이 매우 우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방류수 독성 평가 및 생물지수 분석결과에 따르면 모든 하천지역에서 방류수에 의한 영향이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D. magna와 S. capricornutum의 독성이 같이 나타나는 지점에서는 생 지표도 분석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생태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 capricornutum만의 독성이 나타나는 지점에서도 생태계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In this study, we performed whole effluent toxicity(WET) test and compared the biological component analyses tests for some streams into which wastewater treatment plant effluents are discharged. The test procedures for the WET test and the biological component analysi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U.S. EPA guidelines and the Ohio EPA wading method. The WET tests based on the test species of D. manga and S. capricornutum All treatment plants showed a S. capricornutum toxicity, and at 7 sites, except A and J, we could observe a D. magna toxicity. The highest toxicity was observed at site D and this were followed by E and F. The biological component analyses applied to the effluent discharged stream. We found that total species were low at sites C1, D1 and J1 and the low number of total individuals were observed at sites A1, C1, E1, H1, and J1 compared to the controls and other sites. The species richness was low at sites A1, B1, C1, D1, and J1. The species change was evident at site D(D1) and the tolerant species was predominant. The biological analyses and WET tests suggested that the effluents resulted in massive ecosystem impact.

키워드

참고문헌

  1. 환경부자료, 2003년 말 기준 가동 중인 하수처리장 현황, 생활하수과(2004)
  2. 국제환경문제연구소, '환경관계법규(수질환경 보존법),' 동화기술, pp. 1-11(1999)
  3. Peter, M. C., 'Whole Effluent Toxicity testing-unusefulness, level of protection, and risk assessment,' Environ. Toxicol. Chem., 19, 3-13(2000) https://doi.org/10.1897/1551-5028(2000)019<0003:WETTUL>2.3.CO;2
  4. US EPA, 'Technical support document for water quality-based toxics control,' EPA/505/2-90-001 (1991)
  5. 나진성, 김기태, 김상돈, 독성 반응곡선을 이용한 수계 주요 오염물질의 혼합독성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27(1), 67-74(2005)
  6. 나진성, 김기태, 김상돈, Daphnia magna와 Selenastrum capricornutum을 사용한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생물독성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26(12), 1326-1333(2004)
  7. US EPA, 'Method for measuring the acute toxicity of effluents and receiving waters to freshwater and marin organism,' EPA/600/4-90/027F(1993)
  8. US EPA,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US EPA, Cincinnati, Ohio, USA(1993)
  9. Ohio EPA,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 III, Standardized biological field sampling and laboratory method for assessing fish and macro invertebrate communities,' Ohio EPA, USA(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