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분야 자격이 기업에게 미치는 경계적.비경계적 효과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Economic Effects and Non-Economic Effects of Environmental Qualifications that have Impacts on Enterprises

  • 박종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자격연구센터) ;
  • 이무춘 (연세대학교 환경공학과)
  • Park, Jong-Sung (Center for Qualificat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 Lee, Mu-Cho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발행 : 2005.04.30

초록

이 연구는 환경분야의 자격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환경분야 자격의 효과를 조사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기업에서의 자격의 효과를 경제적 효과(생산성 향상, 품질 향상)와 비경제적 효과(직무수행시 신뢰성, 기술 기능인력의 전문성, 기업가치평가지표, 직무배치 활용)로 구분하여 연구의 모형을 설정했으며, 연구의 모형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설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환경분야 자격은 기업의 경제적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검정결과, 환경분야 자격은 기업의 경제적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었다. 기업의 경제적인 효과를 생산성 향상과 품질 향상으로 제시하였는데 2가지 변인 모두에게서 환경분야 자격은 기업의 경제적인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가설 2(환경분야 자격은 기업의 비경제적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검정결과, 환경분야 자격은 직무수행시 신뢰성 효과, 기술 기능 인력 전문성 효과, 기업가치평가지표 효과, 직무배치 활용 효과에 있어서 기업의 비경제적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이 환경분야 자격은 환경산업체에서 기업의 경제적 효과와 비경제적인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practically examin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qualification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the area. On the basis of theoretical background, a study model was formulated in a way that the effect of qualifications in enterprises side is divided into an economic effect (improvement of productivity, improvement of qualifies of products) and non-economic effect (credibility on the job, expertise on techniques, assessment criteria on entrepreneurial value, applicability of job arrangement). Then, survey was carried out with questions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is model. The hypotheses were proved as the following. First, fir hypothesis 1(Environmental qualifications will bring up positive impacts on the economic effect of enterprises), it turned out to be true.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and qualities of products were chose to represent the economic effect of entrepreneurs, and the both factors appeared to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economic effect of enterprises. Second, for hypothesis 2(Environmental qualifications will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non-economic effect of enterprises), it turned out to be true. Environmental qualifications were proved to have positive impacts on credibility on the job, expertise on techniques, assessment criteria on entrepreneurial value, applicability of job arrangement, which were introduced to represent the non-economic effect of enterprises. In conclusion, environmental qualifications were proved to have positive impacts on both economic and non-economic effect of enterprises.

키워드

참고문헌

  1. OECD, 'The Environmental Goods and Services Industry,' Manual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ECD(1999)
  2. Park, J. S., Chung, C. Y., and Lee, M. C., 'A scheme to develop national qualification items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Korea,' Impact Assessment and Project Apprais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for Impact Assessment, 20(1), 71-76(2002) https://doi.org/10.3152/147154602781766834
  3. 정헌배, '환경경영전략,' 규장각(1995)
  4. 안기철, '환경산업의 현황, 구조적인 문제점 및 개선방안,' 현대환경연구원(1999)
  5. EBI, 'The Global Environmental Industry,' A Market and Needs Assessment, EBI(1996)
  6. Browning, A. H., Bugbee, A. C., and Mullins, M. A, Certification: 'A NOCA handbook,' Washington, D.C. NOCA(1996)
  7. 이무춘, 전의찬, 김기철, '환경 전문인력 양성의 개선방향,' 한국환경교육학회지, 13(1), 23-36(2000)
  8. 교육인적자원부 외, '국가전략분야(IT, BT, NT, ET, ST, CT) 인력양성 종합계획,' 대통령 주재 교육인적자원분야 장관 간담회 자료(2001)
  9. 박종성, 이무춘, '환경분야 자격제도 운영현황과 발전 방안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지, 14(1), 43-45(2001)
  10. 조정윤, 김덕기, 김상진, 김수원, 김현수, 나현미, 박종성, 서창교, 이동임, 주인중, 한상근, '국가기술자격 종목 및 제도 개선,'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1)
  11. 나영선, 박종성, 신명훈, '환경기술인력 육성대책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0)
  12. 신명훈, 정태화, 이정표, 조저윤, 김상진, 박종성, 박동열, 김현수, 양미란, 박윤희, 박태준, 김수원, '자격제도의 종합적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1997)
  13. 이동임, 김덕기, '노동시장에서의 활용성 제고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1)
  14. 조정윤, 박종성, 김상진, '국가표준직무능력표준 체제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0)
  15. 서창교, 김주섭, 김덕기, '국가기술자격의 효과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0)
  16. OECD, 'The Global Environmental Goods and Services Industry,' OECD(1996a)
  17. 今野浩一郞, 下田建人 著, '資格の經濟學,' 中央公論社(1995)
  18. 김태기 외, 직업교육훈련촉진법, '자격기본법제정 및 직업능력개발원의 설립에 관한 연구,' 교육부(1996)
  19. 서용호, 박덕희, '국가기술자격 취득자의 산업사회 기여도 조사,'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1997)
  20. 한국산업인력공단, '98. 자격검정 관련 번역자료 '자격의 경제학',' 한국산업인력공단(1998)
  21. OECD, 'Assessing and Certifying Occupational Skills and Competencies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ECD(1996b)
  22. Van der Ven, A. H., and Ferry, D. L., 'Measuring and Assessing Organizations,' Willey-Interscience, New York (1980)
  23. 김수원, '생산부문의 학습조직 구축을 위한 학습성과 분석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0)
  24. NOCTI, 'Job ready occupational competency testing services,' NOCTI(1999)
  25. Wills. Joan L., 'Industry Driven skill standards systems in th united states,' U.S. department of Education(1992)
  26. BIBB, 'Refernez-Betriebs-System - Aussagekraft von Prufungen,' BIBB.(1998)
  27. 自由國民社, '國家試驗資格試驗全書,' 自由國民社(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