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Roadbed Plant Communities in Daegu, Korea

대구지역 노상식물군락의 분류와 분포 특성

  • Ahn, Kyung-Whan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eimyung University) ;
  • Kim, Jong-Won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eimyung University)
  • Published : 2005.02.28

Abstract

An important them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more genelalities of diversity and distribution pattern on the trampled plant communities in Daegu area. A total of 50 phytosociological releves were analyzed by the Zu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and generalized habitat characteristics by using Euclidean coefficient and PCoA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Five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and matched into largely two physiognomic types: grass-types such as Eragrostis ferruginea community, Eleusine indica community, Setaria viridis community, Digitaria ciliaris community, and forb-type of Plantage asiatica community only. These plant communities correspond to quite distinctive four habitat types, with both soil stability and moisture in microhabitat conditions: stable-moderate, unstable-moderate, stable-dry, and unstable-dry. Top-ten species showing the highest relative net contribution degree(r-NCD) were Digitaria ciliaris, Eleusine indica, Eragrostis ferruginea, Plantago asiatica, Echinochloa crus-galli, Trifolium repens, Polygonum aviculare, Setaria viridis, Setaria glauca and Artemisia princeps. The front three species showing more than 50% in percent r-NCD possess florescence after monsoon season. It is critically pointed out that the regional ecological differentiations i.e. the Daegu bioclimatic division, the $C_4$-plant dominant season(post-monsoon) of Korean peninsula, and species composition different from Japan's Plantaginetalia asiaticae, are the basis for deriving characteristics of the roadbed trampled plant communities of Daegu.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권역 내의 노상식생에 대하여 군락분류를 수행하고, 분류된 식생 유형에 대한 생태적 분포 특성을 규명하였다. 총 50 개의 식물사회학적 식생자료를 이용하여 Z.-M. 학파의 군락분류법이 수행되었으며, 주좌표분석법(PCoA)에 의하여 식물군락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구지역의 노상식생은 5 개의 식물군락(그령군락, 질경이군락, 왕바랭이군락, 강아지풀군락, 바랭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광엽형 노상식생은 질경이군락뿐으로 화본형 노상식생형이 우세한 것으로 밝혀졌다. 노상식생의 서식처는 토양환경조건의 안정성과 수분조건에 의하여 안정-적습, 불안정-적습, 안정-건조, 불안정-건조의 네 가지 분할로부터 각 식생유형과 대응되었다. 노상식생에서 가장 높은 상대기여도를 나타내는 출현종은 바랭이, 왕바랭이, 그령, 질경이, 돌피, 토끼풀, 마디풀, 강아지풀, 금강아지풀, 쑥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몬순 이후에 화기(花期)를 가지는 바랭이, 왕바랭이, 그령 등이 상대기여도 50% 이상의 수준을 보이는 사실이 특기되었다. 대구 노상식생의 특성은 대구생물기후구와 한반도의 $C_4$식물계절(후몬순계절), 그리고 일본 및 동아시아의 노상식생 최상급단위로 제창된 질경이군목과의 식생학적 차별성 등으로 정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화, 심상인. 2002. 우리 나라 귀화식물의 발생현황. 한국잡초학회지 22: 207-226
  2. 건설교통부. 2003. 통계연보: 국토 및 토지이용. [검색 2004년 10월 23일]. 인터넷주소:http://www.moct.go.kr
  3. 기상청. 2003. 통계자료: 월평년값. [검색 2004년 8월 7일]. 인터넷주소:http://www.kma.go.kr
  4. 김인택. 1986. 답압이 질경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학회지 9: 91-101
  5. 김종원. 2004. 녹지생태학. 월드사이언스, 서울 308 p
  6. 김종원, 김현우, 박용목, 조광진, 주기재, 최기룡, 한승욱. 2004. 이것이 생태학이다. 월드사이언스 서울 556 p
  7. 김종원, 남화경. 1998. 논경작지 식생의 군락분류 및 군락생태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1: 203-215
  8. 김종원, 남화경, 백원기, 이율경, 이은진, 오장근, 정용규. 1997 식생평가지침: 제 2차 자연환경전국기초조사 자연보전협회. pp. 259-322
  9. 김종원, 이율경. 1997. 의왕시 자연식생지 의왕시 자연식생지 편찬을 위한 생태조사연구 최종보고서 .의왕시 132 p. + 38 p
  10. 김종원, 한승욱. 2004. 제 1 절 식생 및 식물상. 부산발전연구원 (편) '부산자연환경 조사연구 3차 년도'에서, 부산광역시, 부산. pp. 45-113
  11. 김창석, 국영인, 정영재, 오세문. 2002. 강아지풀(벼과) 식물의 분류학적 정리. 한국잡초학회지 22: 21-25
  12. 대구광역시. 2003. 지적관리: 지목별 현황 [검색: 2004년 10월 23일] 인터넷 주소 http://urban.daegu.go.kr
  13. 대구광역시. 2004. 대구안내: 일반현황[검색 : 2004년10월23일] 인터넷 주소:http://urban.daegu.go.kr
  14.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서울 372 p
  15. 박찬호, 김윤식.1998. 외부형태형질에 의한 한국산 질경이속의 분류학적 연구, 한국분류학회지 28: 151-170
  16. 이규송, 최오길, 김석철. 2002. 답압이 설악산 아고산대의 식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학회지 25: 181-188
  17.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624 p
  18. 이창복. 2003. 대한식물도감. 6판. 향문사. 서울. 1928 p
  19. 통계청. 2004 국토, 기후. 평균기온, 강수량 [검색 2004년 10월 23일]. 인터넷주소: http://kosis.nso.go.kr
  20.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rd ed. Springer, Wien-New York. 631 p
  21. Ellenberg, H. 1982. Vegetation Mitteleuropas mit den Alpen. Ulmer. Stuttgart. 989 p
  22. Kim, J. W. and Y.I. Manyko.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ean J. Ecol. 17: 391-413
  23. Kolbek, J. and J. Sadlo, 1996. Some short-lived ruderal plant communities of non-trampled habitats in North Korea. Folia Geobot. Phytotax. 31: 207-217 https://doi.org/10.1007/BF02812064
  24. Kopecky, K. 1978. Die stralienbegleitenden Rasengesellschaften im Gebirge Orlicke hory und seinen Vorlande. Vegetage CSSR, AIO. Academia Praha. 259 p
  25. Miyawaki, A. 1964. Trittgesellschaften auf den Japanischen Inseln. Botanical Magazine 77: 365-374 https://doi.org/10.15281/jplantres1887.77.365
  26. Miyawaki, A. 1977. Vegetation of Japan. Kakuken. Tokyo. 535 p. (In Japanese)
  27. Miyawaki, A and S. Okuda. 1990. Vegetation of Japan Illustrated. Shibundo. Tokyo. 800 p. (In Japanese)
  28. Miyawaki, A., S. Okuda and R Mochitsuki. 1978. Handbook of Japerese Vegetation Shibundo. Tokyo. 850 p. (In Japanese)
  29. Mucina, L., J. Dostalek, I. Jarolirnek, J. Kolbek and I. Ostry. 1991. Plant communities of trampled habitats in North Korea.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2: 667-678 https://doi.org/10.2307/3236177
  30. Podani, J. 2001. Syn-Tax 2000. Computer program for data analysis in ecological and systematics. Budapest. 53 p
  31. Sadlo, J. and J. Kolbek. 1997. The terrestrial ruderal and segetal vegetation of North Korea: A Synthesis. Folia Geobot. Phytotax. 32: 25-40 https://doi.org/10.1007/BF02803882
  32. Schubert, R., W. Hilbig und S. Klotz. 2001. Bestimmungsbuch der Pflanzengesellschaften Deutschlands. Spektrum Akademischer Verlag. Heidelberg. 472 p
  33. Shin, D.H. and K.U. Kim. 1983.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gitaria sanguinalis in temperate climate. Korean J. Weed Sciences 3: 29-38
  34. Townsend, C.R., M. Begon and J.L. Haper. 2003. Essentials of Ecology. 2nd ed. Blackwell Publ. Oxford. 530 p
  35. Wilmanns, O. Okologiscbe PfIanzensoziologie. Quelle & Meyer. Heidelberg. 351 p

Cited by

  1. Characteristics of Flora on Dry Field Margins in Korean Peninsula vol.34, pp.2, 2015, https://doi.org/10.5338/KJEA.2015.34.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