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isk Factors Related to Constip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고등학생 변비의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 Yoon, Yoon-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Sok-G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Jeong-Ye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윤윤수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석구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정연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bowel health behaviors, prevalence of constipation and risk factors related to self-reported constip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882 students of six high schools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who were selected by the accidental sampling from June to August, 2002. We analyzed the data by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ver. 10.0.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 prevalence rate of self-reported constipation was 25.2%. A rate in male students was 13.4% and in female students 36.5%. 2. In regard to therapeutic behavior, 52.1% of study student with change in bowel habit had not find particular counsellor, 38.9% of the student had counselling with parents. 16.3% of students in constipation group had taken laxative medicine for treating the constipation. 73.5% of the student in constipation group had suffered from anal pain during defecation, but 48.0% in normal group. 41.6% of the student in constipation group had a experience of rectal bleeding after defecation, but 23.7% in normal group. So constipation related symptoms distribution ha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 3. From the multivariate analysis by self-reported method, the risk factors related to the constipation were sex(female), experience of diet for weight reduction, absence of the breakfast and intake of vegetable more than 3 times per weeks. Conclusions: we had reconfirmed that we should improve eating habits to prevent and treat the constipation in a result of this study. Intervention that is target to girl students, abstain from weight reduction diet, regularity of taking meals, intake more vegetables, stress management should be provided to prevent the constipation especially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Further prospective designed study are needed to establish the causal-effect relationship between so many risk factors with constipation.

본 연구는 일개 광역시 지역 고등학생 1,882명을 대상으로 변비 유병율과 변비관련 건강 행태 및 변비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도출하여, 적절한 관리방안 및 중재전략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된 다면조사연구 이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Chi-square 검정, 로지스틱 회귀 분석(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가보고에 의한 변비의 유병율은 25.2%로,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이 13.4%, 여학생이 36.5% 이었다. 둘째, 자가보고에 의한 변비군의 치료관련 행태에서는 16.4%가 변비치료를 위해 변비약을 복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배변 형태에 변화가 있을 경우 52.1%는 특별한 상담자가 없으며, 38.9%는 부모님과 상담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가보고에 의한 변비의 분류에 의한, 변비군과 정상군간의 배변 관련 증상의 분포에서는 변비군의 73.5%가 자주 또는 가끔 항문통증의 경험이 있었으나, 정상군에서는 48.0%로 나타나 변비군에서 항문통증을 경험한 비율이 높았으며,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배변 후 항문부위의 출혈 경험에 있어서도 변비군에서 41.6%가 배변 후 항문출혈의 경험이 있었으나, 정상군에서는 23.7%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넷째, 식습관 행태와 자가보고에 의한 변비 발생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변비군의 45.1%가 다이어트의 경험이 있었으며, 정상군의 28.1%에 비하여 높았다. 아침식사의 규칙성에 있어서는 변비군의 21.2%가 아침식사를 항상 먹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어, 정상군의 17.5%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먹지 않는 군에서 변비발생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변비군과 정상군의 스트레스 분포에서는 변비군의 40.2%는 항상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다고 하였으며, 정상군에서는 25.0%만이 항상 스트레스가 있다고 응답하여 변비군에서 스트레스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여섯째, 학교에서의 배변여부에서는 자가보고에 의한 변비군에서 학교에서 배변을 하지 않는 비율이 42.2%로 정상군의 37.2%에 비하여 그 비율이 높았으며, 선호하는 화장실의 종류로는 연구대상자의 43.4%가 수세식 형태를 선호하였다. 일곱째, 자가보고에 의해 변비군과 정상군을 구분한 후, 변비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변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실업계보다는 인문계학생이, 다이어트 경험이 있을수록,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먹지 않을수록, 주 3회 이상 채소 섭취를 하지 않을수록 변비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변비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습관의 개선이 필수적임을 재확인하였으며, 다이어트의 절제와 아침식사의 결식예방, 규칙적인 식사, 채소류 섭취의 증대, 스트레스 관리 등에 관심을 기울여 이를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봉화. 대장항문질환의 역학. 대한의사협회지 2003: 46(7): 565-573
  2. 전성국, 손정일, 김지은, 박재은, 박소라, 박기호, 황일순, 김은주, 박창영, 김병익, 전우규, 정을순, 이풍렬, 이종철, 최규완, 이화영. 우리나라 성인 건강 검진자에서 배변습관에 관한 연구. 대한내과학회지 1999: 57(1): 36-41
  3. 정혜정, 박혜원, 최은정, 이지정. 변비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2: 7(5): 654-663
  4. 정휘수, 송윤미, 이정권, 김영욱, 한승헌, 강석철, 김융연. 일개 사업장 여성들의 변비와 관련된 생활양식. 가정의학회지 2002; 34(9): 1124-1132
  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영양조사, 1998
  6. Loening BV. Constipation in childeren. Curr Opin Pediatr 1994: 6: 556-561 https://doi.org/10.1097/00008480-199410000-00009
  7. Locke GR. The epidemiology of functional disorders in North America. Gastroenterol Clin North Am 1996: 25: 1-16 https://doi.org/10.1016/S0889-8553(05)70362-9
  8. 김정호. 여대생들의 배변관련 증상과 심리적 요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03; 8(2): 375-397
  9. Roberts MC, Millikan RC, Galanko JA, Martin C, Sandler RS. Constipation, laxative use and colon cancer in a North Carolina population. 2003: 98(4) : 857 -64 https://doi.org/10.1111/j.1572-0241.2003.07386.x
  10. Schaefer DC, Cheskin LJ, Constipation in the elderly. Am Family Physician 1998; 58: 907-914
  11. Arce DA, Ermocilla CA, Costa H. Evaluation of constipation. Am Fam Physician 2002; 65(11): 2283-2290
  12. Everhart JE, Go VL, Johannes RS, Fitzsimmons SC, Roth HP, White LR. A longitudinal survey of self-reported bowel habits in the United States. Dig Dis Sci 1989: 34: 1153-1162 https://doi.org/10.1007/BF01537261
  13. Drossman DA, Li Z, Andruzzi E, Temple RD, Talley NJ, Corazziari E et al. US householder survey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Prevalence, sociodemography, and health impact. Dig Dis Sci 1993: 38: 1569-80 https://doi.org/10.1007/BF01303162
  14. 나현주, 김영남. 일반계 고 3 여학생의 배변실태와 식이섬유 섭취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지 2000; 33(6): 675-683
  15. Haran D, Gurwitz JH, Avorn J. Bohn R, Minaker KL. Bowel habit in relation to age and gender. Finding from the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and Clinical implicaions. Arch Intern Med 1996: 156(3): 315-320 https://doi.org/10.1001/archinte.156.1.15
  16. Heaton KW. Cripps HA. Straining at stool and laxative taking in an English population. Dig Dis Sci 1993: 38(6): 1004-1008 https://doi.org/10.1007/BF01295713
  17. Jones MP. Talley NJ. Nuyts G. Dubois D. Lack of objective evidence of efficacy of laxatives in chronic constipation. Dig Dis Sci 2002: 47(10): 2222-2230 https://doi.org/10.1023/A:1020131126397
  18. 신정란, 이선영. 여대생의 변비와 관련된 식습관 및 생활습관 요인.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3: 8(5): 675-688
  19. Kumimoto M, Nishi M, Sasaki K. The relation between irregular bowel movement and the lifestyle of working women. Hepato-Gastroenterology 1998; 65: 956-60
  20. Locke GR. Pemberton JH, Phillips SF. AGA technical review on constipation. Gastroenterology 2000; 119: 1766-1778 https://doi.org/10.1053/gast.2000.20392
  21. Barnes PM, Maddocks A. Standards in school toilets-a questionnaire survey. Journal of Public Health Medicine 2002; 24(2): 85-87 https://doi.org/10.1093/pubmed/24.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