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ease, Accident and Health Behavior of in Farmers and Fishermen

농림어업인의 상병실태 및 건강행태 분석

  • Kim, Kyung-Ran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Choi, Jeong-Wha (Dept. of Clothing & Textile, Colleg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경란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농작업건강연구실) ;
  • 최정화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 Published : 2005.12.31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gricultural accident and disease using statistical data and materials about National Survey for Health & Nutrition in 2001 and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for studies about farmers' health and safety, decision of priority about research and policy. Results: Diagnosed chronic disease prevalence is 72.4% in farmer/fisher group, 49.8% in non farmer/fisher group. The chronic diseas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ease, circulatory disease, and gastroenteric disease is 46.5%, 18.2%, and 17.9% in farmer/fisher group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ease in farmer/fisher is 2.4 times higher than non farmer/fisher. This result shows that it need to evaluation for risk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ease preferentially. Lifetime accident/poisoning rate is 18.2% In farmer/fisher group and 13.3% in non farmer/fisher group. The types of accidents were fracture>sprain>contusion and the reasons of accidents were traffic accident>falling/sliding. Conclusions: "Bad or very bad" response of farmer/fisher is almost 2 times higher than non farmer/fisher group. The rate of smoking and no exercising in farmer/fisher group is higher than non farmer/fisher group.

본 연구는 2001년도 '국민건강 영양조사'에서 자료를 추출하여 농림어업인과 비농림어업인의 상병실태 및 건강행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건강 안전 연구, 사업 및 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2001년도 '국민건강 영양조사' 원자료 분석은 30세 이상에 대하여 직업을 농림어업인군과 나머지 비농림어업인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의사진단 만성질환 유병자율은 농림어업인 72.4%, 비농림어업인 49.8%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병자율을 연령대별로 비교해보면 농림어업인 대 비농림어업인의 비율은 30대 1.10배, 40대 1.30배, 50대 1.14배, 60대 1.08배, 70대 0.99배로 40대와 50대에서 두 그룹간의 차이가 크고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의사진단 만성질병의 구조를 살펴보면 질환별로 농림어업인과 비농림어업인이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근골격계 질환의 경우 농림어업인이 61.50%, 비농림어업인이 25.13%로 나타나 농림어업인이 2.4배 이상 높았으며, 손상 중독은 농림어업인이 0.89%, 비농림어업인이 0.34%로 2.6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어업인 중에서 근골격계질환 다음으로 많은 것은 순환기계 20.6%, 소화기계 19.9%, 내분비계 8.5%, 호흡기계 8.0% 순로 나타났다. 의사진단 만성질병을 세부질환별로 분류해보면 농림어업인에게 가장 문제가 되는 근골격계질환의 경우 관절염 > 요통 좌골통 > 신경통 류머티즘 > 디스크 > 관절증 > 골다공증의 순으로 나타났다. 평생 사고중독 경험율은 농림어업인의 경우 18.2%, 비농림어업인은 13.3%였으며, 사고중독 후유증 호소율은 농림어업인(8.1%)이 비농림어업인(3.7%) 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고, 농림어업인의 사고 유형의 분포는 골절 탈구 > 삐거나 인대늘어남 > 좌상, 발생원인은 교통운수사고 > 추락미끄러짐, 발생장소는 도로 > 논밭 > 주거 인접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건강하지 못하거나 매우 건강하지 못하게 느끼는 주관적 건강인식 비율은 농림어업인이 비농림어업인에 비해 거의 2배 가까이 건강을 나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연율과 운동미실천율이 농림어업인이 비농림어업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 원인으로서 건강과 질병이라는 응답비율이 농림어업인이 비농림어업인에 비해 2.4배 많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농림어업인은 비농림어업인에 비해 만성질병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근골격계질환이 가장 문제가 되고 있었다. 이는 농작업 특성상 작업자세가 불량하고 장시간 같은 자세로 일하는 시간이 길며 중량물 취급 등 근골격계 부담작업이 많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농림어업인의 건강증진사업은 일반적인 성인병 예방 중심의 사업이 아니라 농작업 특성을 반영하여 농림어업인에게 특화된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는 농림어업인에게 주로 발생하는 질환 및 사고와 농작업과의 관련성을 심층분석하고 건강유해요인을 구명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각각의 건강 유해요인별로 다양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농림부. 농림통계연보, 2004
  2. 김병성, 박태진. 경상남도 일부 지역의 비닐 하우스병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농촌의학회지 1994: 19(1): 15-24
  3. 김귀남, 류소연, 박종, 이준행, 김기순. 일부 농촌지역주민의 비닐하우스 작업여부와 요통과의 관련성. 한국농촌의학회지 1999: 24(1): 145-159
  4. 손명호, 신준호, 이명학, 문강, 손석준, 최진수, 김병우. 전라남도 농촌주민의 농기구 및 농기계 사고에 대한 실태 조사. 한국농촌의학회지 1993: 18(2): 121-129
  5. 노동부. 2002 년 산업재해통계. 노동부, 2003
  6. 정광진. 농기계 조심스레 다루세요. 한국일보 2005 Apr 25th (cited 2005 Nov 15th): Available from: URL: http://news.naver.com/news
  7.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기계 사고 사망자 41% 나 증가. 2004 Apr 8th (cited 2005 Nov 15th): Available from: URL: http://www.gba.go.kr/board
  8. 임현술. 농어민의 직업과 관련된 건강문제. 한국농촌의학회지 2002: 27(1): 7-14
  9. Matheson C, Morrison S. Murphy E, Lawrie T , Ritchie L and Bond C. The health of fishermen in the catching sector of the fishing industry: a gap analysis. Occup Med 2001: 51(5): 305-311 https://doi.org/10.1093/occmed/51.5.305
  10. Lawrie T , Matheson C, Ritchie L, Murphy E and Bond C. The health and lifestyle of scottish fishermen: a need for health promotion. Health Education Research 2004: 19(4): 373-379 https://doi.org/10.1093/her/cyg045
  11. 이경숙, 김경란, 김효철, 김경수. 한국의 농 작업 재해실태 및 연구동향. 농업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농작업재해 예방전략 개발 심포지엄. 농촌진흥청, 2005(61-108쪽)
  12. 보건복지부. 2001 국민건강.영양조사:총괄 편.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13.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보건복지부, 2001
  14. 김두희, 정철. 일부 농업인들의 농업관련 질환 및 사고. 한국농촌의학회지 1998:23(1): 39-48
  15. 백도명. 한국의 직업관련성 질환의 규모와 그 내용 - 현 노동보건정책에서의 함의. 2004년 노동 . 환경 . 건강 학술제. 노동환경건강연구소, 2004
  16. 권영준. 농업인의 직업관련 건강문제 및 예방. 농촌생활과학회지 2003: 24(4): 62-70
  17. 선명훈, 박인선, 조근열. 농촌지역 주민의 근골격계의 통증에 대한 조사. 한국농촌의학회지 1991: 16(1): 40-47
  18. 농촌생활연구소. 농업인의 직업성 질환 관련 위해요인 영향평가 및 종합적 관리시스템 개발. 농촌진흥청, 2002(77-166 쪽)
  19. 박재범, 이경종, 이세휘, 김종구, 정호근. 근골격계 위험요인이 농부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의학회지 2000: 25(1): 11-21
  20. Meyers JM, Miles JA, Faucett J, Janowitz I, Tejeda DG, Duraj V, Kabashirna J , Smith R and Weber E. High risk task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agricultural field work. Proceedings of the IEA 2000/HFES 2000 Congress, 2000
  21.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A critical review of epidemiological ec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 back, DHHS(NIOSH) Publication No. 1997141. Cincinnati, OH, 1997
  22. Palmer KT. Musculoskeletal problems in the tomato growing industry. Occup Med 1996: 46(6): 428-431 https://doi.org/10.1093/occmed/46.6.428
  23. Brackbill RM, Cameron LL, Behrens V.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and impairments among US farmers. Am J Epidemiology 1994: 139(11): 1055-1065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116949
  24. 임현술. 일부 농촌지역에서의 농약에 의한 인체의 피해 상황에 관한 조사. 대한예방의학회지 1982: 15(1): 5-211
  25. Corrag G, Calleri M, Carle F, Russo R, Bosia S, Piccioni P. Cancer risk in a cohort of licensed pesticide user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89: 15: 203209 https://doi.org/10.5271/sjweh.1861
  26. 설재웅, 이상욱, 손태용, 지선하, 남정모, 오희철. 농약사용과 암발생과의 관계. 대한예방의학회지 2002: 35(1): 24-32
  27. Bralr A, Dosemeci M, Heineman E. Cancer and other causes of death among male and female farmers from twenty-three States. Am J Industrial Medicine 1993: 23: 729-742 https://doi.org/10.1002/ajim.4700230507
  28. McDuffie HH, Klaassen DJ, Dosman JA. Is pesticide use related to the rise of primary lung cancer in Saskatchewan? J Occup Med 1990: 32: 96-1002
  29. Hwang SA, Gomez MI, Stark AD, St John TL, May JJ and Hallman EM. Severe farm injuries among New York farmers. Am J Industrial Medicine 2001: 40(1): 32-41 https://doi.org/10.1002/ajim.1069
  30. Layde PM, Nordstrom DL, Stueland D, Brand L and Olsen KA. Machinerelated occupational injuries in farm residents. Ann Epidemiology 1995: 5(6): 419-426 https://doi.org/10.1016/1047-2797(95)00056-9
  31. Gerberich SG, Gibson RW, French LR, Lee TY, Carr WP, Kochevar L, Reiner CM and Shutske J. Machinery-related injurie: regional rural injury study- I (RRIS- I). Accid Analysis and Prevention 1998: 30: 793-804 https://doi.org/10.1016/S0001-4575(98)00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