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Feeding Aspergillus oryzae Inoculant Food-waste Diets on Performance, $NH_3$ Emission and Fecal Microflora in Broiler Chickens

Aspergilius Oryzae 접종 남은 음식물 사료가 육계의 생산성, $NH_3$ 발생량 및 분내 미생물 성상에 미치는 영향

  • Hwangbo J.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
  • Hong E. C.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
  • Lee B. S.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
  • Bae H. D.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
  • Kim W. (Hanilfeed, Co., LTD.,) ;
  • Nho W. G. (Korea National Agricultural College) ;
  • Kim J. H. (Division of Animal Science & Technology, Gyengsang National Univesity) ;
  • Kim I. H.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 & Science, Dankook University)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ried food-waste diets(FW) fermented by Aspergillus oryzae(AO), on broiler growth performance, $NH_3$, emission and fecal microflora. Three hundreds broilers, two week old Hubbard strain, were randomly allotted to 4 experiments and fed with standards early boiler diet replaced with FW and AFW. In experiment 1, eighty four broilers were distributed into 7 treatments with 4 pens at 3 birds per replicate(pen). The dietary treatments ; T1 was com-soy bean meal based broiler diet(Control), T2, T3, T4 were for basal diet replaced with dried food waste without AO(FW) at the level of 20, 40 and $60\%$, respectively and T5, T6 and T7 followed the same levels for the basal diet but using Aspergillus oryzae inoculate food-waste(AFW). For experiments 2, 3, 4, seventy two broilers were distributed into 6 treatments with 4 pens at 3 birds per replicate(pen), respectively. The dietary treatments were the com-soy bean meal based broiler diet replacement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FW and AFW, 1:0, 3:1, 1:1, 1:3, 0:1. at level of 20, 40 and $60\%$, respectively. In Exp. 1, it tended to be decreased in weight gain,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except FW $60\%$ level of replacement(p<0.05).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was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Total bacterial count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FW diet, but E. coli decreased as the AFW levels of replacement were increased(p<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among treatments in Exp. 2 and weight gains were lower fur FW diet compared with the control and AFW diet in Exp. 3(p<0.05). In Exp. 4,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eed intakes among treatments, but lower in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in FW diet than that the control. In experiment 3, the $NH_3$ emission was the highest among treatments in FW/AFW 1:0 diet(p<0.05). From these results, it seems that FW would be supplemented up to $20\%$ in broiler diets and AO culture extract could improve FW value as feed supplements.

본 시험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일반 건조잔반을 AO 배양물로서 육계에 급여하여, 육계의 생산성, $NH_3$ 발생 및 분내 미생물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축은 2주령 브로일러 Hubbard 종 총 300수를 공시하였다. 기초사료로 육계 전기사료를 급여하였고, 시험사료는 잔반사료(FW)와 AO 배양물 사료(AFW)의 대체 수준에 따라 처리구를 나누어 급여하였다. 시험 1에서는 기초사료를 대조구로 하고, 처리구는 FW와 AFW을 각각 20, 40, $60\%$씩을 대체하여 7처리구 4반복 반복당 3수씩 84수를 공시하였다. 시험 2, 3,4에서는 기초사료를 대조구로, 시험구는 각각 FW와AW의 비율이 1:0, 3:1, 1:1, 1:3, 0:1이 되도록 대조구 사료의 20, 40, $60\%$씩을 각각 대체하여 6처리구 4반복 반복당 3수로 72수씩을 각각 공시하였다. 시험 1에서 FW구와 AFW구는 대조구에 비해 급여 수준에 따라 증체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FW $60\%$ 구를 제외하면 유의적 차이는 없었고(p<0.05), 사료섭취 량과 사료 효율에서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세균수는 대조구에 비해 FW구와의 차이는 없었으나, AW의 첨가 수준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고, 대장균수는 감소하였다(p<0.05). 시험 2, 3, 4에서 FW와 AFW의 혼합 급이 비율에 따라, 시험 2에서는 전처리구에서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 차이는 없었고, 시험 3에서는 증체량에서만 FW와 AFW의 비율이 1:0과 3:1 처리구에서 대조구 및 0:1 처리구에 비해 감소하였다(p<0.05). 시험 4에서는 전처리구에서 사료섭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증체량과 사료효율에서 1:0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시험 3에서 $NH_3$의 발생량은 처리구간 비교에서 FW와 AFW의 비율이 1:0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1:3 및 0:1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결과적으로, 육계 전기에서 건조 잔반의 사료 급여 대체수준은 $20\%$에서 사용 가능하며, 건조 잔반의 AO 배양물로서 대체 급여는 건조 잔반의 사료가치 증진 및 축사환경 개선에도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nderson JH 1965 Studies on the oxidation of ammonia by Nitrosomonas. Biochem J pp 688-698
  2.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OC USA
  3. Charles DR, Payne CG 1966 The influence of graded level of atmospheric ammonia on chickens II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Br Poult Sci. 7(3):189-98 https://doi.org/10.1080/00071668608415623
  4. Chiang SH, Hsieh WM 1995 Effect of direct-fed microorga-nisms on broiler growth performance and litter ammonia level. Asian-Australasian. J Anim Sci 5:136-141
  5.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 1-42 https://doi.org/10.2307/3001478
  6. Grimes SH, Maurice DV, Lightsey DV, Lopez JG 1997 The effect of dietary fermacto on layer hen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oultry Science 6:399-403 https://doi.org/10.1093/japr/6.4.399
  7. Mohan B, Kadirvel R, Natarajan A, Bhaskaran M 1996 Effect of probiotic supplementation on growth, nitrogen utilization and serum cholesterol in broilers. Br Poultry Sci 37:395-401 https://doi.org/10.1080/00071669608417870
  8. Myer RO, Brendemuhl JR, Johnson DD 1999 Evaluation of dehydrated restaurant food waste products. J Anim Sci 77: 685-692
  9. Potter LM, 1972 Effects of erythromycin, Fermacto-500, herring fish meal and taurine in diets of young turkeys. Poultry Sci 51:325-331 https://doi.org/10.3382/ps.0510325
  10. Potter LM, Shelton JR 1984 Methionine, cystine, sodium sulfate and Fermacto-500 supplementation of practical-type diets for young turkeys. Poult Sci 63:987-992 https://doi.org/10.3382/ps.0630987
  11. SAS 1999 SAS user guide release 6.11. SAS lust Inc Cary NC USA
  12. Waldroup PW, Hilliard eM, Mitchell RJ 1971 The nutritive value of yeast grown on hydrocarbon fractions for broiler chicks. Poultry Sci 50:1022 https://doi.org/10.3382/ps.0501022
  13. 고용균 1998 배지의 종류를 달리하여 배양한 Aspergillus oryzae 효모배양물의 급여가 브로일러의 육성성적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연구 9:28-37
  14. 고용균 윤병주 1999 Aspergillus oryzae 배양물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연구 10:64-74
  15. 고용균 황영환 1999 Aspergillus oryzae 균주로 배양한 효모배양물의 급여가 브로일러의 육성 성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학회지 41(1):15-22
  16. 김남천 1995 스팀 고속건조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의 사료화에 관한 연구. 유기성폐기물자원화 3:69-78
  17. 김상호 박수영 유동조 나재천 최철환 박용윤 이상진 류경선 2000 육계 생산성 및 맹장내 미생물에 대한 유산균의 첨가 효과. 한국가금학회지 27(1):37-41
  18. 김상호 박수영 유동조 이상진 류경선 2001 유산균과 버지니아마이신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8(1):15-26
  19. 김상호 박수영 유동조 이상진 류경선 이동규 2003 Aspergillus oryzae 배양물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장내미생물, 혈청성분 및 계사환경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0(3):151-159
  20. 김판경 박승춘 손천배 김명희 오태광 1998 동물 사료화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의 미생물 분포 변화. 한국임상수의학회지 15(1):156-161
  21. 박수영 김상호 유동조 이상진 류경선 2001 유산균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8(1): 27-40
  22. 한국사양표준(가금) 2002 농림부.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23. 한성욱 이경우 이봉덕 성창근 1999 황국균을 산란계에 급여시 분중 미생물군총, 난질 및 영양소 대사율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 태평양 축산학회지 12:417-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