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구강건조증은 입안이 마르는 느낌의 주관적 증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타액분비의 감소에 따른 불충분한 구강점막의 습윤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구강건조증의 정도는 실제 측정된 객관적인 타액분비율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어 그 진단과 치료에 어려움을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강건조증의 진단과 평가를 위해 구강건조증 환자의 문제 해결을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고 설문지의 문항들이 갖는 신뢰도를 분석하여 향후 구강건조증의 연구 및 진단 도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강건조감의 정도를 Visual Analogue Scale(VAS) 척도로 답하는 6 가지 문항과 구강건조감에 따른 행동을 파악하기 위한 4 가지 문항을 개발하고 문항들이 갖는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구강건조증의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건강한 성인 남녀 88 명(남자 44 명, 평균 $25.6{\pm}3.1$세, 여자 44 명, 평균 $24.3{\pm}2.1$세)을 대상으로 2 회에 걸쳐 질문에 답하도록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건조감의 정도를 묻는 6 가지 문항의 급내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값은 낮 시간의 구강건조감의 정도(Dry-day)가 0.767, 입안에 침이 적다고 느끼는 정도(Am-sal)가 0.850, 구강건조감으로 인한 일상 생활의 불편감 정도(Eff-life)가 0.791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고, 밤 또는 아침 기상시의 구강건조감의 정도(Dry-PM)가 0.563, 식사시의 구강건조감의 정도(Dry-eat)가 0.674, 음식물을 삼키기 힘든 정도(Dif-swal)가 0.641로 높은 급내상관계수 값을 나타내었다. 2. 6 개의 문항들의 내적 일치도를 평가하는 크론바흐의 알파(Cronbach's alpha) 값은 0.92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3. 구강건조감에 따른 행동을 파악하기 위한 4 가지 문항들의 코헨의 카파(Cohen's kappa) 값은 잠자리 옆에 물을 준비하게 되는 빈도($H_2O$-bed)는 0.850으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고, 입이 말라 잠을 깨는 빈도(Night-awake)가 0.506, 마른 음식 섭취시에 물을 마시게 되는 빈도(Sip-liq)가 0.419, 껌이나 사탕을 먹게 되는 빈도(Gum-candy)가 0.407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VAS 척도로 답변하는 주관적 구강건조감의 정도를 묻는 6 가지 질문과 주어진 보기를 선택하여 답변하는 구강건조증에 따른 행동을 묻는 4 가지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은 중등도 이상의 신뢰도를 가지고 있고 VAS 척도로 답변하는 6 가지 질문은 매우 높은 내적 일치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Xerostomia is defined as a subjective complaint of dry mouth that may be perceived when there is insufficient mucosal wetting. Howeve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xerostomia is not that simple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subjective awareness of dry mouth is not always correlated with a diminution in the flow of saliva and there is always a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in salivary flow rates needed for normal oral function. In the present study, the aim was to develop a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dry mouth symptoms and to analyze its reliability and usability as a diagnostic and analytic tool for xerostomia.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s of 6 Visual Analogue Scale(VAS) type questions to evaluate the subjective oral dryness and 4 questions to evaluate behavior to avoid oral dryness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wice with 1 week's interval to the healthy 88 young adults without dry mouth symptoms(44 males and 44 females; mean age was $25.6{\pm}3.1$ years in male and $24.3{\pm}2.1$ years in fem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of 6 questions to evaluate the subjective oral dryness were as significantly high as 0.767 for the degree of oral dryness at other times of the day, 0.850 for the amount of saliva in the mouth, and 0.791 for the degree of effect on daily life due to oral dryness and as high as 0.563 for the degree of oral dryness at night or on awakening, 0.674 for the degree of oral dryness during eating, and 0.641 for the degree of difficulty in swallowing foods. 2. Cronbach's alpha value of 6 questions was 0.982.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eries of questions to evaluate the subjective oral dryness has high internal consistency. 3. Cohen's kappa values of 4 questions to evaluate behavior to relieve oral dryness were as significantly high as 0.850 for the frequency of keeping a glass of water at the bedside and as high as 0.506 the frequency of awakening during sleeping due to oral dryness, 0.419 for the frequency of sipping liquids to aid in eating dry foods, and 0.407 for the frequency of using a candy or chewing gum due to oral dryness. From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6 VAS type questions to evaluate the subjective oral dryness and 4 questions to evaluate behavior to relieve oral dryness has reliability of good to excellent level, and that the series of 6 VAS type questions has significantly high internal consistency to evaluate the subjective oral dry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