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Ordinance on Landscape Composition by Korean Local Government - Focused on the Present State in Comparison with Japanese Local Government -

한국 지방자치단체 경관형성관련조례에 관한 연구 - 일본지방자치단체와 비교고찰을 통하여 -

  • Seo, Ju-Hwan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Department of Art and Design KyungHee University) ;
  • Park, Dae-Woo (Graduate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
  • 서주환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 대학 환경조경) ;
  • 박대우 (경희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5.03.25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ordinances on landscape composition by local governments, which are a part of the policy to activate landscape composition, by examining the cases of Korea and Japan. For the purpose of specialized landscape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own characteristics of Korean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suggests factors to consider on the enactment of ordinance on landscape composition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mpose landscape with an unique figure of the local government, it is required to collect and analyze informations about the local landscape, to provide consistent programs of education and publicity related to the landscape composition and to encourage the involvement of local citizens and reward it. Second, the construction of the ordinance needs to build a plan of landscape composition for each district focused on the landscape composition, to introduce a system which enables self-designation of an ordinance, to establish a detailed guidance, to assign the duty to keep the guidance and regulate punishment in case of a violation of the guidance. It could be done by completing the common or basic elements on the construction of the ordinance on landscape composi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수형, 1997, 지방자치단체 가로수 관리제도가 가로경관에 미치는 영향/서울시와 동경도 사례를 비교로,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용만, 1999, 지방자치단체 경관조례 도입에 관한 연구/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일봉, 1994, 도시경관 관리에 관한 연구/관련법제도 및 행정시책의 관점에서.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종대, 1998, 대전시 도시경관관리제도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태훈, 1999,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도시경관관리조직에 관한 연구/대전6, 광역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서주환, 2001, 경관계획수립 관련법규의 비교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8(6) : 96-105
  7. 심상욱, 2002, 일본의 도시경관조례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7(1) : 107-124
  8. 오민근, 1999, 도시역사경관 보전제도에 관한 연구/경주시와 경도시의 관련 조례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광국, 1996, 도시경관 관리을 위한 용도지역지구제의 개선방안 연구, 부산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명우, 권오준, 임봉구, 2003, 환경.건설.법규론, 서울, 아카데미서적
  11. 이정형, 2002, 도시의 경관계획, 서울, 세진사
  12. 정성관, 2003, 도시경관수립을 위한 경관파편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3) : 11-20
  13. 정성태, 조세환, 오휘영, 2000, 한국과 일본의 역사도시 경관관리법규의 비교/경주시와 나라시의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28(3) : 105-115
  14. 최형석, 2002, 역사경관보전을 위한 건축물 높이규제에 관한 연구(1),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6(1) : 99-117
  15. 한우식, 2001, 역사문화경관 보전에 관한 연구/한국과 일본의 역사경관보전제도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景觀デザイン硏究會,1999,景觀用語辭典, 東京, 彰國社
  17. 西村幸夫 서울대학교 도시설계포럼 역, 2003, 도시경관과도시설계, 서울, 태림문화사
  18. http://100.naver.com/ 네이버 백과사전
  19. http://www.laib.go.kr/laib/laib_index.jsp/지방행정정보은행
  20. http://www.moleg.go.kr/법제처
  21. http://joreimaster.leh.kagoshima-u.ac.jp/카고시마대학 법문학부 운영 예규링크집
  22. http://www.city.kyoto.jp/somu/bunsyo/REISYS/TOPPAGE.HTML쿄토시예규집
  23. http://www.city.sapporo.jp/keikaku/keikan/jobun/index.html삿포로시예규집
  24. http://www.city.sendai.jp/soumu/bunsyo/reiki/reiki_menu.html센다이시예규집
  25. http://www.city.kanazawa.ishikawa.jp/reiki/index.html카나자와시예규집
  26. http://www.city.kobe.jp/cityoffice/09/010/reiki/코베시예규집
  27. http://www.city.kamakura.kanagawa.jp/keikan/index.htm카마쿠라시예규집
  28. 그 외 한국과 일본의 지방자치단체별 인터넷 공개 조례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