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Diagnostic Equipments and Patient Dose for Diagnostic Radiological Procedures in Korea

진단방사선영역에서 방사선장치의 이용실태 및 환자피폭선량에 관한 조사연구

  • Kim Youhyun (Department of Radiological Technology. College of Health Sciences, Korea University) ;
  • Choi Jonghak (Department of Radiological Technology. College of Health Sciences, Korea University) ;
  • Kim Sungsoo (College of Singu) ;
  • Lee Chanhyeup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Anam Hospital) ;
  • Cho Pyongkon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Anam Hospital) ;
  • Lee Youngbae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Guro Hospital) ;
  • Kim Chelmin (NHIC Ilsan Hospital)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IAEA's guidance levels have been provided for western people to the end. Guidance levels lower than the IAEA'S will be necessary in view of Korean people's proportions. Therefore, we need to develope the standard doses for Korean people. And we conducted a nationwide survey of patient dose from x-ray examinations in Korea. In this study, the 278 institutions were selected from Members Book of Korean Hospital Association. The valid response rate was approximately 57.9%. Doses were calculated from the questionnaires by NDD method. We obta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eneral radiographic equipments were distributed for 42.0%, fluoroscopic equipments 29.4%, dental equipments 13.2%, CT units 8.1 % and mamographic units 7.2%. 2) According to classification by rectification, three-phase equipments were 29.9%, inverter-type generators 29.5%, single-phase equipments 25.5%, constant voltage units 9.0% and unknown units 6.0%. 3) According to classification by receptor system, film-screen types were 46.8%, CR types 26.8%, DR types 17.7% and unknown types 8.9%. 4) The number of examinations were chest 49.2%, spine 16.8% and abdomen 12.7%. 5) Patient doses were head AP 3.44 mGy, abdomen AP 4.25 mGy and chest PA 0.39 mGy.

IAEA는 영상의 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피부흡수선량의 기준선량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개념은 점차적으로 국제적인 기준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 기준선량은 강제사항이 아니며 권고사항이지만 방사선촬영에서 아주 훌륭한 기준이 된다. 그러나 IAEA에서 제공한 선량기준은 서양 사람을 기준으로 개발된 것이어서 우리나라 사람에게는 맞지 않고,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의 환자선량은 적으리라 예상된다. 따라서 방사선촬영 시 촬영부위에 따른 환자 피폭선량에 대한 기준을 따로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팀은 병원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종합병원 278개를 대상으로 환자 피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회수율은 57.9%였으며 각 병원에서 답한 촬영조건을 기초로 NDD법을 이용하여 환자 피폭선량을 계산하였고 방사선장치의 이용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사선장치의 현황은 일반촬영장치가 42.0%, 투시촬영장치가 29.4%, 치과장치가 13.2%, CT 장치가 8.1% 그리고 유방촬영장치가 7.2%로 나타났다. 2) 방사선장치의 정류방식에 따른 분류는 삼상장치가 29.9%, 인버터장치가 29.5%, 단상장치가 25.5%, 콘덴서방식이 9.0% 그리고 무응답이 6.0%였다. 3) 방사선장치의 수광방식에 따른 분류는 F/S 방식이 46.8%, CR 방식이 26.6%, DR 방식이 17.7% 그리고 무응답이 8.9%로 나타났다. 4) 방사선 촬영건수는 흉부가 49.2%, 척추가 16.8% 그리고 복부가 12.7%순으로 나타났다. 5) 환자 피폭선량은 두부 전후방향촬영 2.23 mGy, 복부 전후방향촬영 3.20 mGy 그리고 흉부 후전방향촬영 0.28 mGy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