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st Vegetation and Floristic Studies of Mt. Gaya National Park - Especially on the Danji - bong Area -

가야산국립공원일대의 식생 및 식물상 연구 -단지봉 지역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Gaya National Park, especially focused on the forested wetland vegetation of Danji-bong area. The flora of Mt. Gaya was investigated from April in 2003 to October in 2004. Vascular plants of this area consist of total 465 taxa, 4 hybrids, 12 forma, 75 varieties, 1 subspecies, 373 species, 268 genera, 91 families. It corresponds to 11.4% of totally 4,071 taxa appeared in Korea. Korean endemic plants were composed 11 families, 15 genera, 14 species, 1 variety and totaling 15 taxa. And also actual vegetation structures were analyzed the newly founded forested wetland and natural population Ajuga spectabilis on the Danji-bong area using the vegetation and the species composition by tree layer.

본 조사지역인 가야산국립공원은 지리학적으로는 북위 35°45'00'∼35°49'30', 동경 128°02'30'∼128°09'30'에 위치하고, 행적구역상으로는 경상남도의 합천군과 거창군, 경상북도의 성주군, 고령군에 걸쳐 있으며, 총면적은 57.81 ㎢에 이른다. 가야산은 우리나라 기후지역상 온대남부에 위치하고, 식물구계학적으로는 남부아구에, 식생구계학상으로는 냉온대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전체면적의 약 82.5%가 해발 600m 이상이며, 1,000m 이상이 약 10.3%에 해당된다. 가야산의 해인사-극락골-토신골 지역은 잘 보존된 소나무림이 우점하고 있고, 부분적으로 노각나무가 산생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해인사-진대밭골-두리봉 지역은 계곡에는 소나무와 졸참나무가 고지대에는 신갈나무 등이 부분적으로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남산제일봉과 북사면은 각각 등산로와 임도가 형성되어 있어 소나무와 졸참나무, 신갈나무 등이 혼재된 양상을 나타내었고, 백운동계곡 주변은 다른 사면과 달리 식생의 발달정도가 소나무와 관목위주로 매우 단순했다. 특기할만한 점은 상왕봉 주변에서 흰참꽃, 설앵초, 네귀쓴풀, 백리향. 솔나리, 구름송이풀 등의 희귀 또는 고산성 식물들이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가야산국립공원지역에 분포하는 양치식물 이상의 관속식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1과 268속 373종 1아종 75변종 12품종 4잡종으로 총 465분류군이 조사 확인되었으며,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071 분류군의 11.4%에 해당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11과 15속 15분류 군으로 조사지역내 분포하는 465분류군중 약 3.2%이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7과 21속 25분류군으로 이는 가야산 소산식물 465분류군의 5.4%이었고,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5과 7속 7분류군으로 우리 나라전체 귀화식물종 177종류의 4%이다. 또한 가야산 단지봉(1,028.5m)에서 새로 발견된 산간습지 (forested wetland)와 자란초 자생 군락지에 대해 식생 및 층위별 종조성을 토대로 현존 식생 구조를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식, 김갑태, 우종서. 1989a. 가야산국립공원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3:16-27
  2. 김준선, 김갑태, 임경빈, 1989b. 가야산 국립공원지역의 현존 식생 및 녹지자연도. 응용생태연구. 3:1-15
  3. 김철환. 2000. 자연환경 평가-1. 식물군의 선정. 환경생물 18:163-198
  4.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서울
  5. 배관호. 1994. 가야산 산림군락분류와 주요 군락의 동태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131
  6. 오수영. 1973. 가야산 식물조사보고서-경북지방식물상 조사 연구 (제6보). 안동교대논문집. 6:241-280
  7. 이경재, 조재창, 우종서. 1989. Ordination 및 classification 방법에 의한 가야산 지구의 식물군집 구조분석. 응용생태연구. 3:28-41
  8. 이병렬. 2001. 가야산일대의 산림식생에 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6pp
  9. 이우철, 백원기, 유기억. 1992. 가야산 식물상의 재검토. 과학기술연구 (강원대학교). 31:44-50
  10.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8:1-33
  11.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12. 이은복, 전의식, 최병희, 이병윤. 1990. 가야산국립공원일대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28:35-55
  13. 이창복. 1979.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14. 이창복. 1984. 우리나라 특산식물과 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14:21-32
  15. 임양재, 양권열, 김종근, 방제룡. 1990. 가야산국립공원의 식생.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28:56-80
  16. 전의식, 김준민, 임양재, 2000. 한국의 귀화식물. 사이언스북스. 서울
  17. 정민호, 김창환, 길봉섭, 유현경, 신성은. 1997. 가야산 국립공원의 삼림식생. 한국생태학회지. 20:145-151
  18. 정태현, 이우철. 1965. 한국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성균관대논문집. 10:329-396
  19. 조무현. 1989. 원색한국수목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20. 조재창. 1987. 자연공원에서의 소나무림 보존대책에 관한 연구-국립공원 가야산 홍류동계곡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56pp
  21. 주상우. 1958. 가야산 식물조사보고서. 제2회 한국식물학회 연구발표회 보고서. pp.53-56
  22. Braun-Blanquet, J. 1964. Pflazensoziologie, Grundzud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 New York. 865 pp
  23.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anzenfamilien. Gebruder Berntraeger, Berlin. Band II
  24. Yim YJ. 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ition and climate in Korean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Jap. J. Ecol. 27:269-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