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mentary Students' Conceptual Changes on the Geological Stratum by Cognitive Conflict Strategy

인지갈등 수업전략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지층에 관한 개념변화

  • Published : 2005.12.31

Abstract

Study courses using cognitive conflict strategy about geological stratum were performed on the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conceptual changes were investigated. Some misconceptions about geological stratum that the students have are as follows: (1) stratum was formed due to volcanic eruption, (2) gneiss composes the geological stratum, (3) folds in the stratum were formed due to vertical pressure from the top. The class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hanges of some the misconceptions: (1) the places where the stratum is filmed, (2) the kind of rock in the stratum, and (3) the reason for folding.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following items: (1) the reason that every layer consists of different sizes of grains. It shows that some misconceptions can be changed easily by cognitive conflict strategy, while others can not. We checked the students who didn't change their misconceptions after the test. These students have very strong misconceptions that most of the natural phenomena on the earth's surface are due to the internal heat pressure, and volcanic activity. Another affecting the students' misconceptions are the role of teachers in class and mass media, such as TV.

이 연구는 6학년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지층에 관한 비과학적 개념을 알아보고, 이를 과학적 개념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인지갈등 전략을 이용한 수업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비과학적 개념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조사한 것이다. 학생들의 지층에 관해 비과학적 개념을 조사한 결과, 지층이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었다고 생각하는 경우, 편마암이 지층을 형성하는 암석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지층의 습곡은 위에서 누르는 힘 때문에 생긴다고 생각하는 경우 등의 비과학적 개념이 나타났다. 인지갈등 전략을 이용한 수업을 한 후, 지층에 관한 비과학적 개념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지층이 만들어지는 곳, 지층에서 볼 수 있는 암석, 습곡이 생기는 이유에서는 큰 효과가 나타났으나 지층의 알갱이가 다른 이유에는 거의 개념의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개념에 따라 인지갈등 전략 수업으로 개념변화가 쉬운 개념이 있는 반면, 어려운 개념도 나타났다. 사후 검사에서 개념변화를 이루지 못한 학생들에게 비과학적 개념 형성 원인을 알아본 결과, 지구 내부에서 일어나는 현상에는 지구 내부의 열과 압력, 화산 활동 등의 큰 힘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학생들의 견고한 사전개념과 교사가 수업 시간에 한 현상을 강조하면 다른 영역의 현상으로 전이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TV 등의 영상 매체의 역할이 견고한 비과학적 개념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수업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형성되어 있는 개념을 알아보아 인지갈등을 적용했는데도 개념변화가 어려운 것은 지층에 관한 학생들의 비과학적 개념이 변하기 쉽지 않은 개념임을 말하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심원, 우종옥, 1995, 인지양식에 따른 인지수준과 과학탐구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4), 404-416
  2. 권재술, 1989, 과학개념의 한인지적 모형. 물리교육, 7(1), 1-9. 한국물리학회
  3. 김범기, 권재술, 1995, 과학개념과 인지적 갈등의 유형이 학생들의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4), 472-486
  4. 박종원, 2002, 학생 개념체계의 연속적 세련화와 정교화를 통한 개념변화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357-377
  5. 배영부, 이유미, 2000, 구성주의 관점에 의한 자연과 '지층과 화석' 단원의 교수-학습. 한국지구과학회지, 21(3), 219-229
  6. 성태기, 2003, 지층, 화석 단원의 현장학습이 과학개념 형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53
  7. 송해선, 2002, 초등학교 학생들의 지층과 화석에 대한 이해도와 흥미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51
  8. 이경호, 권재술, 1999, 관성개념에 대하여 자기의 생각과 불일치하는 상황의 유형에 따른 학생의 반응.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516-527
  9. 이영직, 1998, 인지갈등에 의한 고등학생의 물리 개념변화.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4
  10. 조희형, 최경희, 2002, 구성주의와 과학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20-836
  11. Appleton, K., 1997, Analysis and description of students' learning during science classes using a constructivist-based mode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 303-318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703)34:3<303::AID-TEA6>3.0.CO;2-W
  12. Chi, M. T., & Roscoe, R. D., 2002, The processes and challenges of conceptual change. In M. Limon, & L. Mason (Eds.), Reconsidering conceptual change: Issues in theory and practice (pp. 3-27). Dordrecht/ Boston/ 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13. Dreyfus, A., Jungwirth, E., & Eliovitch, R., 1990, Applying the 'cognitive conflict' strategy for conceptual change-Some implication, difficulties, and problems. Science Education. 74, 555-569 https://doi.org/10.1002/sce.3730740506
  14. Druyan, S., 1997, Effects of the kinesthetic conflict on promoting scientific reasoning. Journal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34, 1083-109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712)34:10<1083::AID-TEA7>3.0.CO;2-N
  15. Duit, R., 1999, Conceptual change approaches in science education. In W. Schnotz, S. Vosniadou and M. Carretero (Eds.), New perspective on conceptual change (pp. 263-282). Amsterdam/Lausnne/New York/Oxford/Shannon/Singapore/Tokyo: Elsevier Science
  16. Hashweh, M. Z., 1986, Toward on explanation of conceptual change.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8, 229-249 https://doi.org/10.1080/0140528860080301
  17. Pozo. J. I., Gomez, M. A., & Sanz, A., 1999, When change does not mean replacement: Different representations for different contexts. In W. Schnotz, S. Vosniadou and M. Carretero (Eds.), New perspective on conceptual change (pp. 3-13). Amsterdam/Lausnne/New York/Oxford/Shannon/Singapore/Tokyo: Elsevier Science
  18. Schonotz, W., & Preub, A., 1999, Task-dependent construction of mental models as a basis for conceptual change. In W.Schnotz, S. Vosniadou and M. Carretero (Eds.), New perspective on conceptual change (pp. 193-222). Amsterdam/Lausnne/New York/Oxford/Shannon/Singapore/Tokyo: Elsevier Science
  19. Vosniadou, S., 1994, Capturing and modeling the process of conceptual change. Learning and Instruction, 4, 45-69 https://doi.org/10.1016/0959-4752(94)90018-3
  20. Vosniadou, S. ,1999, Conceptual change research: State of the art and future directions. In W.Schnotz, S. Vosniadou and M. Carretero (Eds.), New perspective on conceptual change (pp. 3-13). Amsterdam/Lausnne/New York/Oxford/Shannon/Singapore/Tokyo: Elsevier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