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Web-Aided Laboratory on Molecular Dynamics of High School Physics Course

고등학교 물리의 기체 분자 운동론에서 웹 활용 모의실험이 학습에 미치는 효과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A developed Web-aided laboratory program visualized invisible gas. In the Web-aided laboratory temperature and pressure were controlled and the resultant findings were presented as types of graphs, disclosed in the form of an analyzed report. A Web-aided laboratory experiment and traditional experiment group(2 classes) were assembled from a farming village co-educational high school and taught the motion of molecule lesson for 2 class hours. Before actual class instruction, to survey learner motivation characteristics, the short-version GALT, the test of attitudes toward science instruction, was administered. After instruction, student learning achievement, TOSRA, and IMMS, were administered to the two groups. To analyze data ANCOVA was administrated. Result found that attitudes towards science instruction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ut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were significantly altered.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물리교과의 '기체분자 운동론'단원에 대한 개별 웹 활용 모의실험을 개발 적용하여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학습동기, 학업성취도에서 미치는 효과를 조별 전통실험 집단과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농촌지역에 위치한 고등학생(조별 전통실험 집단 1학급, 개별 웹 활용 모의실험 집단 1학급)을 대상으로 기체 분자 운동론 단원에 대하여 실험 처치를 2차시동안 실시하였다. 모의 시험은 기체에 대한 실험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기체를 시각화하여 눈에 보이는 입자로 표현되었고, 온도 및 압력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웹 활용 모의실험 집단은 개발된 모의실험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실험하였고, 전통실험 집단은 교과서에 나오는 실험을 4인 1조로 실시하였다. 사전 검사로 사전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검사, 사전 학습동기(PALS) 검사, 논리적 사고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 후 학생들의 사후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검사, 사후 학습동기(IMMS) 검사, 학업 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를 수집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개별 웹 활용 모의실험과 조별 전통실험 집단간의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학습동기와 학업 성취도는 개별 웹 활용 모의실험 집단이 조별 전통실험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한중, 강석진, 문소현, 한재영, 노태희 (2004).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대본을 사용한 협동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459-467
  2. 김재현, 홍섭표, 장권수 (1990). 중학교 과학 교육용 컴퓨터 프로그램 개발 및 CAI의 효과 연구. 화학교육, 17(3), 224-238
  3.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 (2002). 과학교육학 개론. 서울: (주)북스힐
  4. 노태희, 전경문, 김혜정 (1996). 물질의 확산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을 신뢰성있게 정량화하는 방법. 화학교육, 23(1), 42-50
  5. 노태희, 유지연, 한재영 (2003). 분자 수준에서의 그림 그리기를 활용한 수업 모형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6), 609-616
  6. 노태희, 차정호, 김창민, 최용남 (1998),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입자수준의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컴퓨터 보조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161-171
  7. 노태희, 차정호, 박혜영, 김경은 (2002). 협동적 CAI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508-516
  8. 박종원, 최경희, 김영민 (2001). 물리교육학 총론I. 서울: (주)북스힐
  9. 박창영 (2003). 기체 분자 운동의 수치해석기법 개발과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제작.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심재규 (1997). 고등학교 공통과학 '힘' 단원 학습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실험수업의 효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전재록 (2004). 운동 제 2 법칙에서 MBL의 현장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Allessi, S., & Trollip, S. (1985). Computer-based instruc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13. Anderman. E. M., & Young, A. J. (1994) Motivation and strategy me in science: Individual differences and classroom effec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8), 811-831 https://doi.org/10.1002/tea.3660310805
  14. C. C. Ko, Ben, M. Chen, Jianping Chen, Yuan Zhuang, and Kay Chen Tan. (2001). Development of a Web-Based Laboratory for Control Experiments on a Coupled Tank Apparatus. IEEE TRANSACTIONS ON EDUCATION, 44(1), 76-86 https://doi.org/10.1109/13.912713
  15. Collis, B. (1988). Computers, curriculum, and whole-class instruction: Issues and ideas. California: Wadworth Publishing
  16. Fraser. B. J. (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Handbook. Hawthorn: The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17. Hugh M. Cartwright, Kevin Valentine (2002). A spectromenter in the bedroom-the development and potential of internet-based experiments. COMPUTER & EDUCATION, 38, 53-64 https://doi.org/10.1016/S0360-1315(01)00086-0
  18. Keller, J. M (983).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In C. M. Reigeluth (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Mahwah, NJ: Erlbaum
  19. Kozma, R. B. (1991). Learning with media.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1 (2), 179-211
  20. Roadrangka, V., Yeany, R. H., & Padilla, M. J. (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GAL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Dallas, Tex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