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Mountain Streams in the Mt. Biseul

비슬산 계류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The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at 20 stations in streams of the Mt. Biseul were investigated from June 2003 to May 2004. During the study period, 29 species, 25 genera belonging to 9 families were collected. Cyprinid fish occupied 48.3% (14 species) and cobitid fish had 13.8% (4 species). Six species (22.2%) were korean endemic and two species of Micropterus salmoides and Lepomis macrochirus were exotic. It was found that the population density of carnivorous fish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increased in the lower-reach of small streams in the Mt. Biseul area since it had been introduced from the other native rivers in the middle 1990s. As the result of analyzing fish community in the surveyed area, the species diversity ranged from 0.553 to 1.023.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Geumpo, Chacheon and Hyeonpung streams had higher species diversity indicies of 0.936 ${\sim}$ 1.023 than the Sincheon and Gisegok streams with 0.553 ${\sim}$ 0.727.

2003년 6월부터 2004년 5월까지 비슬산 일대의 계류의 20개 조사지점에서 담수어류상과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9과 25속 29종의 어류가 채집 확인되었다. 잉어과 어류가 14종 (48.3%), 미꾸리과 어류는 4종 (13.8%) 이었으며, 한국고유종은 참몰개, 긴몰개, 치리, 기름종개, 미유기, 자가사리, 동사리의 6종 (22.2%)이었고, 외래도입종으로 베스와 블루길이 조사되었다. 기세곡천과 신천에서는 버들치가 우점종이고, 금포천은 참붕어, 현풍천은 피라미, 차천은 끄리가 우점종이었다. 낙동강본류의 영향을 받는 기세곡천, 금포천, 현풍천 그리고 차천의 하류역은 우리나라의 다른 수계에서 이입된 육식성 어종인 끄리의 밀도가 높게 나타나, 어류군집이 교란된 것으로 판단된다. 비슬산 일대의 소하천의 다양도지수는 금포천, 차천, 현풍천이 각각 0.936, 0.954, 1.023으로 신천과 기세곡천의 0.553과 0.727보다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안정된 군집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훈, 서준원, 금지돈, 양홍준. 2004. 낙동강 중류 (구미 지역) 의 어류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7(2): 227-235
  2. 금지돈, 양홍준. 2002. 남강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5(3): 220-231
  3.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 (담수어류). 교육부, 629pp
  4.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5. 남명모, 1996. 한국산 담수어류의 현황, '96 한국육수학회 심포지움: 31-45
  6. 남명모, 김성자. 1997.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대구∙달성, 비슬산 및 그 일대의 담수어류. 환경부, 243-275
  7. 남명모, 강영훈, 채병수, 양홍준. 1998. 청도천의 어류상과 군집 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1(2): 88-92
  8. 달성군 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서. 1997. 대구광역시 달성군. 대구대학교 박물관
  9. 양홍준. 1977. 대구근교 신천 상류의 어류상에 관한 연구. 경북대교육대학원논문집. 8: 143-147
  10. 장민호, 조가익, 주기재. 2001. 낙동강 본류의 어류상. 한국육수학회지 34(3): 223-238
  11. 전상린. 1980. 한국산 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전상린. 1999. 반변천에서 채집된 끄리(잉어과)에 관하여. 한국환경과학회지 17(4): 499-501
  13.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727pp., 328 pls., 142 cl. Pls
  14. 채병수. 2002. 국내 서식어종의 다른 하천수계로의 도입-사례 및 주요종의 현황-. 2002 한국어류학회 심포지움, 69-82
  15. 채병수, 강영훈, 이용호. 1996. 낙동강생태보고서-낙동강의 어 류상과 어류군집구조-. 영남자연생태보존회, 대구, 287- 402
  16. 채병수, 남명모, 양홍준. 1998a. 낙동강수계 영강의 어류군집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0(1): 67-76
  17. 채병수, 강영훈, 양홍준. 1998b. 낙동강수계 위천의 어류군집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0(1): 77-86
  18. 채병수, 남명모, 강영훈, 양홍준. 1999. 낙동강수계 밀양강의 어류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2(1): 58-68
  19.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1989. 한국산담수어분포도 제9 판. 한국담수생물연구소
  20.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1990. 원색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21. 可兒藤吉. 1944. 溪流昆蟲の生態. 究究社, 東京
  22. 水野信彦, 御勢久右門. 1993. 河川の生態學. 地書館. 東京
  23. 內田惠太郞. 1939. 朝鮮魚類誌. 朝鮮總督府 水産試驗場報告 6. 458pp
  24. Cummins, K.W. 1962. An evalua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 Am. Midl. Nat. 67: 477-504
  25. Horn, H.S. 1966. Measurement of 'overlap' in comparative ecological studies. Amer. Natur. 100: 419-424 https://doi.org/10.1086/282436
  26.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27.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et. Biol. 13: 131-144 https://doi.org/10.1016/0022-5193(66)90013-0
  28.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29.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https://doi.org/10.1038/163688a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