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영화 <매트릭스>에 나타난 문화적 혼성성

Cultural Hybridity in SF Film

  • 발행 : 2005.10.01

초록

특정 문화 콘텐츠에 대한 대중적 호응의 이면에서 펼쳐지는 정치경제학과 개인의 심리학에 이르기까지의 드라마를 완전히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다만 장르영화의 흥망성쇠에서도 볼 수 있듯이 대중은 영화라는 문화 콘텐츠를 통해 새로움과 진부함이 교차하는 지점, 즉 자신이 알고 있는 세계의 현존을 확인하는 동시에 그 너머의 세계에 대한 비전을 통해 삶의 의미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본고는 이와 같은 맥락 안에서 <매트릭스> 시리즈의 서사가 제시하는 혼성적 특징을 서사와 인물, 함축적 의미의 저장고로 존재하는 종교적/철학적 질문의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은 새로움과 진부함의 경계 사이에서 현란한 곡예를 보여줌으로써 대중성을 획득한 동시에 SF 영화의 담론을 활성화시킨 <매트릭스> 시리즈의 전략을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at the drama with various aspects of political-economics and psychology in a certain popular cultural contents. People, however, does want to reconstruct the meaning of the real world and the hyper - reality, it means cross of oldness and newness, through the films. We try to analyze in religious/philosophical aspect with hybrid narrative, characters and condensed meaning in series. This try shows a good example way of understanding series which on the border line of newness and oldnes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