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vivo assessment of Fibroblast growth factor(FGF)-Fibronectin fusion protein coating on titanium;Histomorphometric analysis in rabbit tibia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와 파이브로넥틴 복합 단백질로 처리한 타이태늄의 생물학적 효과;가토의 경골을 이용한 조직계측학적 분석

  • Na, Ho-Kyun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Il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im, Sang-Hoon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 Ki-Young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ung, Chong-Pyoung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Intellectual Biointerface Engineering Center) ;
  • Han, Soo-Boo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u, Young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Intellectual Biointerface Engineering Center)
  • 나호균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김태일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임상훈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조기영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정종평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지능형생체계면공학연구센터) ;
  • 한수부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구영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지능형생체계면공학연구센터)
  • Published : 2005.03.30

Abstract

파이브로넥틴은 세포외기질에 존재하는 당단백질로 세포의 부착, 이동, 성장 및 분화에 관여하며, 섬유아세포 성장인자는 세포의 증식 이동 및 분화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성장인자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파이브로넥틴은 조골세포의 타이태늄 임플란트 표면으로 이주와 증식 및 골생성을 촉진하며,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는 파이브로넥틴에 상승작용을 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 실험의 목적은 파이브로넥틴 및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의 복합 단백질을 이용하여 타이태늄 임플란트의 골 반응을 알아보는 것이다. 체중 2.5 kg 내외의 건강한 18 마리의 웅성가토를 준비하여 무균 사육하였고, 순수 타이태늄을 절삭가공하여 직경 3.5mm, 길이 6mm 의 machined surface를 지니는 screw type 의 임플란트를 준비하였다. 사람의 유전자를 기초로, 유전자 재조합법을 통해, 적절한 primer를 이용하여 얻은 섬유아세포 성장인자를 파이브로넥틴 III 형 분절의 9-10 번 도메인에 결합시켜 얻은 복합 단백질을 준비된 임플란트에 표면처리하여 실험군으로 하였고, 표면처리하지 않은 임플란트를 대조군으로 하여, 가토의 좌우 경골에 각각 2 개씩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4주 후, 가토를 희생시켜 각 경골 당 한 개의 임플란트에서 뒤틀림 제거력을 측정하였고 나머지 임플란트 식립 부위 에서는 경골을 포함하는 조직표본을 제작하였다. 조직표본상에서 골접촉이 가장 좋은 3 개의 나사산의 길이를 측정하고, 나사와 접촉하는 골의 길이를 측정하여 골-임플란트 접촉도를 구하고, 같은 부위에서 나사산 사이의 면적과 골이 차지하는 면적을 비교하여 골생성률을 얻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결과는 Student t-test 를 이용하여 신뢰도 95% 수준에서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파이브로넥틴과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의 복합 단백질로 표면처리된 임플란트와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임플란트는 뒤틀림 제거력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골-임플란트 접촉도와 골생성률에서 복합 단백질로 처리된 임플란트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와 파이브로넥틴 복합 단백질로 처리한 타이태늄 임플란트가 주변 골 형성을 촉진시켜, 골유합을 증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복합 단백질이 타이태늄 임플란트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표면개질 물질로 이용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Pankov R, Yamada KM, Fibronectin at a glance, Journal of cell science. 2002;115:3861-3863 https://doi.org/10.1242/jcs.00059
  2. Ferris DM, Moodie GD, Dimond PM, Gioranni CWD, Ehrlich MG, Valentini RF, RGD-coated titanium implants stimulate increased bone formation in vivo. Biomaterials 1999;20:2323-2331 https://doi.org/10.1016/S0142-9612(99)00161-1
  3. Bhadriraju K, Hansen LK, Hepatocyte adhesion, growth and differentiated function on RGD-containing proteins. Biomaterials 2000;21:267-272 https://doi.org/10.1016/S0142-9612(99)00175-1
  4. Jang JH, Ku Y, Chung CP, Heo SJ, Enhanced fibronectin-mediated cell adhesion of human osteoblast by fibroblast growth factor, FGF-2. Biotechnology Letters 2002;24:1659-1663 https://doi.org/10.1023/A:1020617904251
  5. Hong JU, Choi SM, Han SB, Chung JP, Rhyu IC, Lee YM, Ku Y, The biological effects of fibronectin typeIII 7-10 to MC3T3-E1 osteoblast. J Kor Aca Periodontol 2002;32(1):143-160
  6. Kim TI, lang JH, Lee YM, Rhyu IC, Chung CP, Han SB, Choi SM, Ku Y, Biomimetic approach o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using synthetic oligopeptides. J Periodontal 2004;75:925-932 https://doi.org/10.1902/jop.2004.75.7.925
  7. Dee KC, Rueger DC, Anderson TT, Bizios R, Conditions which promote mineralization at the bone-implant interface: a model in vitro study. Biomaterials 1996;17:209-215 https://doi.org/10.1016/0142-9612(96)85765-6
  8. Han CH, Heo SJ, Ku Y, Choi YC, Chung CP, Park CK. Quantitative investigations of titanium alloy implants. J Kor Aca Periodontol 1998; 28(3):401-407
  9. Schliephake H, Schamweber D, Dard M, Ro ${\beta}$ler S, Sewing A, Meyer J, Hoogestraat D, Effect of RGD peptide coating of titanium implants on periimplant bone formation in the alveolar crest. Clin Oral Impl Res 2002;13:312-319 https://doi.org/10.1034/j.1600-0501.2002.130312.x
  10. Lee CS, Jang JH, Kim TI, Lee YM, Ryhu IC, Chung CP, Han SB, Ku Y. Biological effects of fibronectin type III 10 domain on human osteoblast- like cells. J Kor Aca Periodontol 2004;34(2):293-302
  11. Takayama S, Yoshida J, Hirano H, Okada H, Murakami S. Effect o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on Human Gingival Epithelial Cells. J Periodontol 2002;73:1467-1473 https://doi.org/10.1902/jop.2002.73.12.1467
  12. Klagsbrun, M., and Dluz,S. Smooth muscle cell and endothelial cell growth factors. Trends Cardiovasc Med 1993:3:213 https://doi.org/10.1016/1050-1738(93)90042-5
  13. Baird A, Walicke PA. Fibroblast growth factors. British Medical Bulletin 1989;45(2):438-452
  14. Davies JE. Mechanisms of Endoss eous integration. Int J Prosthodont 1998;11:391-401
  15. Johansson CB, Sennerby L, Albrektsson T. A removal torque and histomorphometric study of bone tissue reactions to commercially pure titanium and vitallium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1;6:437-44
  16. Carlsson L, Rostlund T, Albrektsson B, Albrektsson T. Removal torque for polished and rough titanium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88;3:21-24
  17. Aota S, Nomizu M, Yamada KM. The short amino acid sequence Pro-His-Ser-Arg-Asn in human fibronectin enhances cell-adhesive function. J Biological Chem. 1994; 269(40):24756-24761
  18. Nagai H, Tshukuda R, Mayahara H. Effects o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on bone formation in growing rats. Bone 1995;16(3):367-373 https://doi.org/10.1016/8756-3282(94)00049-2
  19. Adell R, Zarb G, Albrektsson T. Clinical results of osseointegrated implants supporting fixed prosthesis in edentulous jaws. J Prosthet Dent, 1983;50:251-254 https://doi.org/10.1016/0022-3913(83)90026-4
  20. Albrektsson T, Jansson T, Lekholm U. Osseointegrated implants. Dent Clin North Am, 1986;30:151-177
  21. Laney WR, Tolman DE, Keller EE, Desjardins RP, Van Roekel, Branemark P. Dental implants: Tissue integrated prosthesis utilizing the osseointegration concept. Mayo Clin Proc, 1986;8:319-331
  22. Kalgsbrun M, Dluz S. Smooth muscle cell and endothelual cell growth factors. Trends Cardiovasc Med 1993;3:213-218 https://doi.org/10.1016/1050-1738(93)90042-5
  23. Henry PJ, Tan AE, Leavy J, Johansson CB, Albrektsson T. Tissue regeneration in bony defects adjacent to immediately loaded titanium implants placed into extraction sockets: a study in dog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7; 12(6):758-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