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체 콘크리트용 순화골재의 이물질 함유량 시험방법 개발

Development of the Testing Method for Impurity Content in Recycled Aggregate for Concrete Structure

  • 이도헌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
  • 전명훈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
  • 정재동 (대구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투고 : 2005.10.05
  • 심사 : 2005.11.09
  • 발행 : 2005.12.15

초록

건설폐기물 발생량이 급증함에 따라, 폐콘크피트를 파쇄가공한 순환골재를 구조체 콘크리트용으로 사용할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그러나 순환골재에는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각종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사전에 이물질 함유량을 적절히 판단하기 위한 시험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순환잔골재와 순환굵은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 함유량을 육안관찰에 의하여 선별하기 위한 시험방법을 개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행 KS F 2576(재생골재의 이물질 함유량 시험방법)은 시험대상 순환골재의 종류, 용어의 정의, 시료량, 시험방법 등의 전반적인 개정이 필요하다. 2. 순환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은 시료의 입경이 1.2mm 이상이면 육안선별이 가능하며, 입경이 클수록 측정 소요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3. 육안선별 방법에 의한 이물질 함유량 시험을 위하여 순환잔골재는 입경 2.5~5mm의 시료 30g, 순환굵은골재는 입경 5mm 이상의 시료 1kg을 대상으로 하면 시험의 용이성 및 정밀도 확보가 가능하다.

A recycled aggregate contains impurities that affect negative effects on physical properties of concrete. Therefore, a test method for examining impurities content in recycled aggregate is necessary before use of recycled aggregate. In this study, the test method by visual examination for separating impurities in recycled fine and coarse aggregates was developed. The results of the test are as follow: 1. The current KS F 2576 was necessary for comprehensive revision including types of tested recycled aggregate, definition of terminology, quantity of sample, and test method. 2. Visual examination is appropriate for larger than impurity panicle size of 1.2mm, and the larger panicle size the shorter time was required. 3. For the impurity content test by visual examination, the easiness and accuracy of the test can be obtained from the condition of sample weight of 30 grams with particle size of 2.5mm to 5mm for recycled fine aggregate and the condition of sample weight of 1 kilogram with panicle size of larger than 5mm for recycled coarse aggregat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번호 : 구조용 재생골재 및 재생골재콘크리트 구조물의 장기안정성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