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탕무 알콜증류폐액을 기질로 효모균체를 생산할 때 기질의 초기 pH와 배양온도가 균체생산량과 COD감소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Initial pH and Cultivation Temperature of Substrate on the Biomass Production and COD-reduction in the Yeast Cultivation in Sugar Beet Stillages

  • 이기영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부 식품생물공학전공)
  • 투고 : 2005.11.14
  • 심사 : 2005.12.12
  • 발행 : 2005.12.30

초록

사탕무즙을 이용한 알콜생산에서 배출되는 증류폐액(sugar beet stillage)을 기질로 고온성 효모인 Candida rugosa, Kl. marxianus, C. utilis를 이용해 단세포단백질을 생산 할 때 균체 생산량 및 COD 감소를 연구하였다. pH가 높아짐에 따라 균체생산량은 증가했으나 단백질 함량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조단백질생산량은 3.68g/l로 C. rugosa 가 가장 높았고 이어서 C. utilis가 2.90g/l, Kl. marxianus가 2.30g/l로 나타났다. 감소한 증류폐액기질의 COD값에 대한 조단백질생산량비율도 C. rugosa가 0.35~0.39g/l를 나타내 가장 높은 값을 보여주어 사탕무우알콜증류폐액을 기질로 이용한 단세포 단백질 생산에 있어서 종균으로서 우수성을 보여주었다.

Sugar beet stillages were used as a substrate for the production of single cell protein by the thermotolerant yeasts Candida rugosa, Kluyveromyces marxianus and C. utilis. The biomass production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pH-value, but protein content decreased. C. rugosa showed the highest crude protein production as 3.68g/l and C. utilis 2.9g/l, Kl. marxianus 2.30g/l, respectively. The rate of COD reduction in stillage versus crude protein production of C. rugosa showed the highest value as 0.35~0.39g/l as a good strain for single cell protein production using sugar beet stillag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