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stic Space formed in Fashion

모더니즘을 통해 구현된 패션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 Kim Hye-Young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Yoo-Yeon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김혜영 (성균관대학교 의상학전공) ;
  • 김유연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Published : 2005.01.0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stic spatial design and, based on the understanding, to interpret fashion in terms of its spatial relationship with society, culture and human body, thereby looking into unique spatial characteristics fashion ha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 First, the rational space emphasizes geometric symmetry and harmony among each of design elements and is expressed by pursuing a perfect formative beauty that indicates an eternal formal beauty of a physical space. In addition, functional beauty is also pursued, making clothing convenient for activities. Second, the abstract space is characterized as a kind of purity by emphasizing simple patterns and colors and materials of purity for clothing, and it is sometimes expressed as being extremely abstract so that human body can be shown to be distorted. Third, for the uniform and neutral space, mass-production and production at home was made possible with clothing of simple patterns and of standard. In addition, it showed a tendency to become blurred in gender distinction for clothing with women wearing men's clothing, or borrowing design elements from men's clothing. Forth, the space as means of domination and control was shown to be segmented based on place, function and purpose. In addition, control on physical beauty was shown by promoting slim figures that are suited for lineal silhouette of clothing and circumstantial restriction on clothing occurred during war, serving to limit the styles of and purchase of clothing.

Keywords

References

  1. 최인순 (1987). 동적 공간구성을 위한 복식디자인 : 'Kineticism'에 의해 본 복식조형. 이화여대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정숙 (1993). 공간조형을 응용한 현대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이언주 (2001). 패션디자인에 형성된 공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영결 (2003). 공간디자인 16강, 국제. p. 11
  5. 권영결 (2003). 공간디자인 16강, 국제. p. 12
  6. 권영결 (2003). 공간디자인 16강, 국제. p. 13
  7. 대한건축학회 (2003), 건축공간론, 기문당. p. 63
  8. Jurgen Joedicke, 윤재희 외 역 (1999). 건축의 공간과 형태, 세진사, p. 11
  9. 이중우 (2002). 건축사상과 공간. 기문당, p. 120
  10. Watkin. David, 장성수 역 (988). Morality and Architecture. 태림문화사, p, 95
  11. 김혜영 (2000) 의복에서의 탈구조적 공간과 가시성에 대한 연구. 복식, 50(4), pp. 6-11
  12. 조성민 (2003). 패션쇼 전용관 계획안.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5-17
  13. 신상옥 (1990). 서양복식사. 수학사,p. 101
  14. 김정숙 (1993). 공간조형을 응용한 현대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8
  15. 대한건축학회 (2003), 건축공간론, 기문당. p. 276
  16. 대한건축학회 (2003), 건축공간론, 기문당. p. 276-277
  17. Fritjof Capra. 이성범 외 역 (1985). The turning point. 범양사. p. 46
  18. 배재민 (2001). 해체주의건축에 적용된 현대과학이론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8-19
  19. 이진경 (2002).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푸른숲. p. 241
  20. 송민구 (1991). 현대건축의 배경. 산업도서. p. 88
  21. 대한건축학회 (2003), 건축공간론, 기문당. p. 115-116
  22. 김도식 (1997). 모더니즘 건축의 합리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건축도시환경연구센터. 건축도시 환경연구. 5, p. 44
  23. Van de Ven, 정진원 역 (1998). 건축공간론, 기문당. p. 236
  24. 김영태, 김성우 (1996). 모더니즘 건축의 추상 개념 및 원리에 관한 연구. 영남대공업기술연구소 논문집, 24(2), p. 26
  25. Chris Jenks (1995). Visual cultur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 3
  26. 대한건축학회 (2003), 건축공간론, 기문당. p. 116
  27. 김현화 (1999). 20세기 미술사. 한길아트, p. 107
  28. Eva,Forgacs, John Batki (1991). The Bauhaus Idea and Bauhaus politics. Budapest, London, New York : Central European Univ. Press, p. 165
  29. 안수현 (1996). 바우하우스 조형운동이 복식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p. 90
  30. 엄소희, 김문숙 (2000). 현대복식의 패러다임. 경춘사, p. 99
  31. Max von ,Boehn. 천미수 역 (2000), 패션의 역사 II 한길아트, p. 372
  32. Valerie Mendes, Amy de la ,Haye. 김정은 역 (2003) 20세기 패션. 시공사, p. 78
  33. Valerie Mendes, Amy de la ,Haye. 김정은 역 (2003) 20세기 패션. 시공사, p. 80
  34. 정흥숙 (1987). 복식 문화사. 교문사, p. 275
  35. 이정순 (1982). 현대 복식미의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논문집, 24, p. 406
  36. Elizabeth Rouse. 이재한 역 (2003). 코르셋에서 펑크까지 시지락. pp. 273-274
  37. Ingrid Loschek. 이재원 역 (2002). 여성들은 다시 가슴을 높이기 시작했다. 한길아트, p.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