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the 7th Home Economics Science Curriculum in High School

제7차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 유지연 (한성여자고등학교) ;
  • 신상옥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5.01.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priety of various aspects of the 7th home economics science curriculum in high school. In this study, home economics education experts participated in a three-round Delphi surve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ts evaluated that the subject arrangement and title 'home economics science' were inadequate. Second, the experts evalua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science were similar to those in prior home economics curricula, a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ere also ambiguous. Third, the experts evaluated that the objectives of home economics science were too technically presented, and pointed out that the objectives are not distinct from those of prior home economics courses as they are too general and abstract. Fourth, the experts evaluated that the content of home economics science was deficient in its hierarchy and integration. Moreover, the contents do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characters of the learners or their social demands. Fifth, the experts evaluated that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home economics science were stated for the sake of formality only. Even though it provides many methods, it is not practical in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Sixth, the experts evaluated that although home economics science provides various methods of assessment, it has practical difficulties under current educational circumstances. Besides, the assessment methods failed to give concrete and objective standards.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석, 이경섭(1999). 교육과정 평가상의 주요 쟁점 분석. 교육학논총, 19(2), 87-113
  2. 교육부(1997). 제7차 교육과정 교과 교육과정(각론) 개발 지침.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교육부(2001).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기술. 가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교육인적자원부(2001).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총론.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5. 김대현, 김석우(1999).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6. 김영자(1987). 중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운영 개선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재복(1998).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모형. 교육과정 연구, 16(1), 377-398
  8. 김재춘(2002). 국가 교육과정 연구. 개발 체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제7차 교육과정 연구. 개발 체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0(3), 77-97
  9. 김재춘, 부재율, 소경희, 채선희(2002). 예비. 현직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개정판). 서울. 교육과학사
  10. 김재춘, 조덕주, 노국향(1998). 초. 중등 교육과정 평가 방안-저17차 교육과정 평가 실행에 대비한 기초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김진규(1996). 국가 교육과정 평가 체제의 개발과 개혁 과제. 교육평가, 6, 6-23
  12. 김현숙(2003).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의 가정 분야 교육과정에 대한 가정과 교사들의 운영 현황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호권(1993). 교육과정의 전개. 김호권, 이돈희, 이홍우(공저), 현대 교육과정론 (pp. 109-194). 서울: 교육과학사
  14. 김효순(1997).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중학교 가정과 운영에 관한 조사 연구: 가정 전공 교사와 비전공 교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도순, 홍후조(1999). 교육과정과 교육평가(개정판). 서울: 문음사
  16. 배호순(2000). 교육과정 평가 논리의 탐구: 학교 교육 과정 평가 방법론 서설. 서울: 교육과학사
  17. 배호순, 윤병희, 김성훈, 황규호, 백순근, 김수형, 권태일, 임공희, 신춘호, 조윤정(1997).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평가 방안 및 도구 개발연구. 서울: 학교교육과정평가연구회
  18. 백명금(1998). 제6차 가정과 교육과정 운영 지침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 정도에 관한 연구: 수업 지도 방법과 평가 방법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양혜영(1993). 교육과정 평가 모형에 대한 이론적 고찰 Tyler 모형 이후 재개념주의까지-. 성신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윤인경(2003). 기술. 가정과 교육과정 개정 방식의 개선 방안 탐색. 교육과정연구, 21(3), 171-177
  21. 이경섭(1999). 교육괴정 쟁점 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22. 이명지(1996). 고등학교 가정. 가사과 의생활 영역의 실습 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성호(1994). 교육과정 개발 전략과 절차. 서울: 문음사
  24. 이춘식, 최유현, 유태명, 엄완성, 김선경(2001). 실과 (기술. 가정) 교육목표 및 내용 체계 연구(I).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5. 최호성(1993). 교육과정 평가의 모형 정립과 목표의 평가 준거 설정 및 타당화.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최호성(1998). 교육과정 평가론. 마산: 경남대학교출판부
  27. 허경철(2000). 21세기 교육평가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창립 2주년 기념 세미나 자료집, 107-140
  28. 허경철, 구자억, 김양분, 양미경(1986). 고등학교 교육 과정 적절성 평가 연구-5차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기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9. 허 숙(1983). 교육과정 평가에 있어서 전통 모형과 계발 모형. 인천교육대학논문집, 17, 461-481
  30. 허 형, 김재복, 김진규, 최철용, 김용만, 김유한(1996). 한국의 교육과정 평가 모형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1. Brown, M. M. (1978). A conceptual scheme and decisionrules for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content. Madison, Wisconsin : The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32. Brown, M. M. (1980). What is Home Economics Education? Washington D.C. :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 Brown, M. M. (1986). Home Economics : A practical or technical sciences? In J. F. Laster, & R. E. Dohner(Eds.),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 State of the field (pp. 39-55). illinois : Bennett & McKnight Publishing
  34. Dajani, J. S., Sincoff, M. Z., & Taliey, W. K. (1979). Stability and agreement criteria for the termination of Delphi studies.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13(1), 83-90 https://doi.org/10.1016/0040-1625(79)90007-6
  35. Dohner, R. E. (1986). Rationale development. In J. F. Laster, & R. E. Dohner(Eds.),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State of the field (pp. 128135). lllinois : Bennett & McKnight Publishing
  36. Jasparro, R. J. (1998). Applying systems thinking to curriculum evaluation. NASSP Bulletin, 82(598), 80-86 https://doi.org/10.1177/019263659808259811
  37. Posner, G. J. (1996). 교육과정 이론과 분석. (김인식, 박영무, 최호성 역). 서울: 교육과학사. (1994년 원저출판)
  38. Saylor, J. G., Alexander W. M., & Lewis, A. J. (1994). 학교 및 사회, 산업기관의 교육과정 개발론.(홍성윤, 김유미, 김복영 역). 서울: 교육과학사.(1981년 원저 출판)
  39. Smith, E., & Hill, D. (1999). When one survey is not enough : The use of the Delphi approach in VET research. In AVETRA(Eds.), Quality and diversity in VET research : Proceedings of the second national conference of the Australia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Research Association (pp. 295-310). Sydney: AVETRA.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52 419)
  40. Thein, M. (2001). Revisiting curriculum evaluation: Formative exploration of a new model.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41. Worthen, B. R., Sanders, J. R., & Fitzpatrick, J. L. (1997). Program evaluation : Alternative approaches and practical guidelines (2nd ed.). New York : Long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