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ome Distribution and Determinants of Self-Employment: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자영업 부문의 소득분포 및 소득결정요인: 분위회귀분석

  • Published : 2005.04.30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distribution and determinants of income of the self-employed, in comparison with salaried workers. Relative to salaried workers, in general, the self-employed tend to have a larger dispersion of income and larger heterogeneity. In this regard, the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long with a typical OLS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empirical findings, the income of the self-employed is larger than that of salaried workers, and this difference is larger for higher income group. The marginal effect of education is larger for higher income groups for both the self-employed and salaried workers, implying the return on education is larger for higher income groups. In contrast, for self-employed women, the marginal effect of education is smaller for higher income groups. Put differently, the return on education in the labor market is larger for salaried workers and self-employed men of high income groups as compared to those of low income groups, whereas the opposite holds for self-employed women.

본 연구에서는 자영업 부문의 소득분포 및 소득결정요인을 임금근로와 비교 분석하였다. 자영업 부문은 임금근로보다 소득편차가 크고, 부문내 이질성이 큰 집단이라는 점에서, OLS 추정과 더불어 분위회귀분석(quanti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자영업주의 소득이 임금근로자보다 높으며, 소득분위가 높아질수록 자영업주와 임금근로자간의 소득격차가 확대된다. 둘째, 교육의 한계효과는 자영업주와 임금근로자 공히 소득분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고 있어, 소득분위가 높은 집단일수록 교육에 대한 보상(가격)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 여성 자영업주의 경우는 예외로서, 소득분위가 높을수록 교육의 한계효과가 감소한다. 즉 소득분위가 높은 집단에 속하는 임금근로자와 남성 자영업주는 소득분위가 낮은 집단에 비해 노동시장에서 교육에 대한 보상이 더 큰 반면, 여성 자영업주는 소득분위가 높은 집단에서 교육에 대한 보상이 오히려 작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