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Paper' as An Object in Korean Ink Painting

한국화의 '한지(韓紙)' 오브제 사용에 대한 연구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Traditionally, Korean ink painting used paper as a background medium. This tradition has sought a new attempt to meet today's demands while its expressive techniques and mediums become more diverse. The attempt of Korean ink painting to explore new mediums could change both its structure and style when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the medium in the work. These new attempts have encouraged a further study of 'Korean Traditional Paper'. Today, 'Korean Traditional Paper' is considered to be an object itself rather than just being a background. In other words, there is no implication of a separation between the medium 'Korean Traditional Paper' and the work. Instead, the medium itself becomes the work. Therefore, 'Korean Traditional Paper' is not only a 'background' that contains the artist's desire to express, but at the same time also an 'object'. This study focuses on the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per' as an object, examines how this is visually applied in contemporary Korean ink painting in the relation to 'Korean Beauty', and reviews the work of some artists that use Korean Traditional Paper.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Paper as an object first began with the experimental techniques of Lee , Eung-Noh and Kwon, Young-Woo in the 1960s, Then it seemed to stop for a while in the 1970s and 1980s until there was a renewed interest in the material pers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Paper with the birth of the 'Korean Traditional Paper Artists Association' in the 1990s. This interest increased and Korean Traditional Paper was earnestly adopted by artists like Yim, Hyo Lee, Ki-Sook Won, Moon-Ja and Choi, Moo-Young, who used the paper in Broussonetia, the previous fibered state of rice paper. Here, the expression of the objec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Paper is a visual experiment to discover Korea's traditional art mediums that were forgotten once, focusing on the manifestation of Korean Beauty through Korean Traditional Paper. In this respect, this attempt has a valuable meaning in its use with a contemporary visual sense , based on the Korean sense of beauty.

한국화는 전통적으로 '종이' 를 바탕 재료로 사용해 왔으며, 그 종이 위에 먹이나 채색으로 작품을 제작하여 왔다. 그러한 전통이 오늘에까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표현 방법이나 재료는 다양해지고 오늘날 시대에 부응하는 새로운 모색을 시도하고 있다. 한국화의 새로운 모색 가운데 표현 재료는 작품의 구조와 형식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이는 표현 재료가 작품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말한다. 현대 한국화에 있어서 재료적 측면의 모색 가운데 하나는 '한지' 에 대한 모색이다. 오늘날 '한지'는 바탕재료의 개념을 넘어 오브제로서 '한지' 그 자체를 작품으로 보기도 한다. 즉, '한지'라는 재료의 개념과 작품의 개념이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재료 자체가 작품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지' 는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담아내는 '바탕 재료'적인 측면과 한지 그 자체가 작품화되는 '오브제'적인 두가지 측면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지'가 지니고 있는 오브제의 성질에 주목하며, 한지의 오브제적 성질이 어떻게 '한국미'와 관계하면서 조형성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현대 한국화를 통하여 살펴보고, 한지 오브제를 이용한 작가들의 작품들을 살펴보고 있다. 한국화에서 한지 오브제를 이용하는 표현은 1960년대 이응노 권영우 등에 의해 실험적 표현 방법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와 1980년대 들어 소강상태를 보이다가 1990년 '한지작가협회' 가 출범하면서 한지 물성에 대한 관심이 표출되었다. 이때 한국화내에서도 한지의 물성에 대한 관심을 가지면서 임효 이기숙 원문자, ...최무영 등에 의해 본격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대개 한지가 제품이 되기 전 닥죽(닥 섬유)의 상태에서 그 물성의 특성을 이용하여 작품의 재료로 끌어들이고 있다. 여기서 한지의 물성을 통한 오브제의 표현은 한국화의 조형실험으로서 잊혀진 우리의 전통 미술 재료를 발견하자는 것이며, 한지가 가지고 있는 한국 미의식의 발현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즉, 우리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이를 현대적인 조형정신으로 나아가게 하려는 데 큰 뜻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