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ypes of Old County-Maps in the Case of Dongrae-Bu(동래부)

조선 후기 군현지도의 유형 연구 - 동래부를 사례로 -

  • Kim Kihyuk (Pusan National University) ;
  • Yoon Yongchul (Pusan National University) ;
  • Bae Miae (Institute of Busan Geogaph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ung Am (Institute of Busan Geogaphy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기혁 (부산대학교 지리교육과) ;
  • 윤용출 (부산대학교 역사교육과) ;
  • 배미애 (부산대학교 부산지리연구소) ;
  • 정암 (부산대학교 부산지리연구소)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This paper is to classify old county-maps of Dongrae-bu(東萊府), Busan in late-Chosun dynasty and to analyze place names in maps comparatively. 26 maps covering Dongrae-bu were collected from the old county-map atlas(郡縣地圖帖) and Eupji(邑誌). By e comparative analysis of contents, those map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 first type(named 'Haedong-Jido(海東地圖)') included 7 county-maps in which information of military, and administrative contents are mainly mapped. The second type(named 'Yeongnam-do(嶺南地圖)') included 5 coon maps in which information about beacon routes and road systems were regarded as very important. The third type(named 'Grid-system map(方眼式地圖)') included 4 county-maps which were drawn as same scale with 20-ri(理) grids. The fourth type(named 'Local Count-map(地方郡懸地圖)') included 7 county maps which were drawn by local mappers. Comparative analysis of place names between those four types revealed that Grid-system maps were developed toward the large scale whole map of Korea in the 19th century.

본 연구는 조선 후기 동래부를 그린 군현지도 26종의 유형화를 시도하였고, 지명을 이용하여 대축척 전국지도와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지도의 내용과 수록된 지명 등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네 유형으로 분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해동지도) 유형은 홍문관에서 주도하여 편찬된 지도인 $\ulcorner$해동지도$\lrcorner$에서 높은 완성도를 보이며, 이후 이를 모사한 지도로서, 7종의 지도가 이에 속한다. (2) $\leqq$(비변사인)영남지도$\geqq$ 유형은 비변사에서 주도하여 편찬된 지도와 이를 모사하며 부분 수정되는 5종의 지도들이다. (3) $\leqq$방안식군 현지도$\geqq$ 유형은 지도위에 20리 방안이 그려진 동일한 축척의 지도로서 4종이 이에 해당된다. 군현을 연결하여 전국 혹은 도별 지도의 제작을 목적으로 편찬된 것으로 사료된다. (4) (지방군현지도) 유형은 7종으로, 지방의 화원들이 그린 지도로 각 지역마다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실경으로 묘사되는 것이 특징이다. 유형별 대표지도에 수록된 지명을 분석한 결과 (방안식군현지도)에 수록된 지명이 $\ulcorner$청구도$\lrcorner$ $\ulcorner$대동여지도$\lrcorner$와 거의 일치한다는 점에서, 이 유형의 지도들은 조선 후기 대축척 전국지도의 제작에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혁, 1991, '조선후기 지도책 요람집 분석,' 한국문화 연구, 4, 609-631, 부산대학교
  2. 김기혁, 2002, '부산지역 고지도 연구,' 항도부산, 18, 393-455, 부산광역시
  3. 김기혁 . 김성희, 2002, '동래읍성의 경관변화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7(4), 317-336
  4. 김두일, 1994, '大東與地圖의 도법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29(1), 39-45
  5. 노정식, 1997, '한국고지도 자료 및 그 연구 성과와 새 방향 모색을 위한 연구,' 대구교대논문집, 13, 249-259
  6. 박관섭, 1980, '대동여지도의 도법 및 계보에 관한 역사지리적 연구,' 송수기념논문집, 23-62
  7. 박인호, 1996, 조선후기 역사지리학 연구, 이회문화사
  8. 배우성, 2000, '서구식 세계지도의 조선적 해석,' 한국과학사학회지 22, 51-79
  9. 서정철, 1991, 서양고지도와 한국, 서울, 대원사
  10. 한영우 . 안희준 . 배우성, 1999, 우리 옛지도와 그 아름다움, 효형출판
  11. 양보경, 1992, '18세기 備邊司地圖의 고찰-규장각소장 도별 군현지도집을 중심으로-,' 규장각, 15, 93-123
  12. 양보경, 1995, '대동여지도를 만들기까지,' 한국시민강좌, 16, 84-121
  13. 양보경, 1999, '일본 대판부립도서관 소장 조선도의 고찰,' 서지학연구, 17, 421-435
  14. 오상학, 1994, '정상기의 동국지도에 관한 연구,' 지리학논총, 24, 133-155
  15. 원경렬, 1992, '대동여지도 : 현대지도학적인 고찰,' 지리학(대한지리학회지),44. 151-163
  16. 이기봉, 2004, '김정호의 청구도 제작 과정과 지도적 특정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9(3), 473-493
  17. 이상태,1999, 한국 고지도 발달사, 모악실학회총서, 혜안
  18. 이찬, 1981, '한국 고지도에서의 좌표체계,' 한국과학사학회지, 3(1), 3-11
  19. 이찬,1992, '해동제국기의 일본 및 유구국 지도,' 문화역사지리, 4(1), 1- 8
  20. 全映雨,1968, '葆華閣 所藏의 小華與圖,' 考古美術, 9(1), 365-366
  21. Ledyard, G, 1994, Cartography in Korea, in Harley, J. B. (ed.), The History of Cartography, Vol 2.2,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2. http://www.e-kyujanggak.snu.ac.kr
  23. 世宗實錄地理志
  24. 新增東國輿地勝覽
  25. 東萊府誌
  26. 與地圖書
  27. 東萊府邑誌
  28. 嶺南鎭誌
  29. 東萊府邑誌
  30. 釜山地名總攬
  31. 朝鮮地誌資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