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Necessity to Catalog the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전자정보자원의 목록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도태현 (동의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전공)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This study discussed the problems of internet search engines or metadata and the necessity to catalog the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including information resources on the networks in libraries. The internet search engines or metadata make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indexed or organized immediately. But traditional library bibliographic tools like catalog should be described accurately and fully, and standardized in addition to the rapidity. Therefore from the library standpoint,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should be cataloged fully too. Cataloging cost of the increasing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can be reduced by cooperating and sharing the works among the libraries.

이 연구는 도서관에서 네트워크 상의 정보자원을 포함하는 전자정보자원의 서지 도구로서 인터넷 검색엔진이나 메타데이터가 갖는 문제점과 전통적 목록의 필요성을 다루었다. 검색엔진이나 메타데이터는 전자정보자원을 신속하게 색인하거나 조직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신속성 외에도 목록과 같은 전통적 도서관의 서지 도구들은 기술의 정확성. 완전성. 표준성 등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서관의 관점에서는 전자정보자원에 대하여도 완전한 목록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 목록의 복잡성과 이로 인한 고비용 문제는 도서관간의 협력과 분담으로 해결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 글에서 '전자정보자원'이라 함은 디스크,,테이프 등과 같은 물리적 전자매체에 수록되었거나 네트워크를 통해유통되는 모든 정보자원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2. 고어먼은 랑가나단(S. R. Ranganathan)의 도서관학 오법칙 (Five Laws of Librarianship) 정신을 계승한 신도서관학 오법칙(Five New Laws of Librarianship)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였다. ① Libraries serve humanities ② Respect all forms by which knowledge is communicated ③ Use technology intelligently to enhance service ④ Protect free access to knowledge ⑤ Honor the past and create the future (Michael Gorman, "Five New Laws of Librarianship," AmencanLibraries, Vol.26, No.8(Sep, 1995), pp.784-785)
  3. 김정현, "디지털 정보자료 관련 목록규칙의 동향,' 정보관리연구,제34권, 제3호 (2003, 9), p.7
  4. 이들 각각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술용 메타데이터(descriptive metadata) : 발견(discovery, 어떤 자원이 특정의 요구, 예를 들면 비디오 녹화자료의 DVD 버전용이라는 요구를 충족시킨다는 사실을 어떻게 결정하는가)이라는 목적을 충족시켜주는 것. 기술용 메타데이터는 또한 병치(collocaation, 어떤 저작의 모든 버전들을 함께 모으는 것)와 수집(acquisition, 특정 자원을 입수하거나 그것에 접근하는 것)을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포함되는 그 밖의 기능들로는 평가(evaluation) 링크(linkage) 가용성(usability) 등이 있다. -관리용 메타데이터(administrative metadata) : 자원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정보이다. 이 메타데이터는 어떤 객체가 언제 어떻게 작성되었고, 컨텐트(내용)에 대한 접근을 관리하거나 컨텐트를 아카이빙(arcniving)하는 책임을 누가 가지며, 그와 관련하여 어떤 통제나 처리가 수행되고 있고, 접근이나 이용에 대한 어떤 제약이 적용되고 있는지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구조용 메타데이터(structural metadata) : 복합적인 디지털 객체들을 함께 묶어주는 접착제로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책은 여러 장으로 이루어지고, 각 장은 여러 페이지로 이루어지며, 각 페이지는 별도의 디지털 파일로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조용 메타데이터는 물리적인 파일과 페이지, 페이지와 장, 장과 전체로서의 책 사이의 관계를 기록하기 위해 필요하다.(Priscilla Caplan 저,메타데이터의 이해,오동근 역(대구 : 태일사, 2004), pp.25-28)
  5. 이들 각각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술용 메타데이터(descriptive metadata) : 발견(discovery, 어떤 자원이 특정의 요구, 예를 들면 비디오 녹화자료의 DVD 버전용이라는 요구를 충족시킨다는 사실을 어떻게 결정하는가)이라는 목적을 충족시켜주는 것. 기술용 메타데이터는 또한 병치(collocaation, 어떤 저작의 모든 버전들을 함께 모으는 것)와 수집(acquisition, 특정 자원을 입수하거나 그것에 접근하는 것)을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포함되는 그 밖의 기능들로는 평가(evaluation) 링크(linkage) 가용성(usability) 등이 있다. -관리용 메타데이터(administrative metadata) : 자원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정보이다. 이 메타데이터는 어떤 객체가 언제 어떻게 작성되었고, 컨텐트(내용)에 대한 접근을 관리하거나 컨텐트를 아카이빙(arcniving)하는 책임을 누가 가지며, 그와 관련하여 어떤 통제나 처리가 수행되고 있고, 접근이나 이용에 대한 어떤 제약이 적용되고 있는지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구조용 메타데이터(structural metadata) : 복합적인 디지털 객체들을 함께 묶어주는 접착제로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책은 여러 장으로 이루어지고, 각 장은 여러 페이지로 이루어지며, 각 페이지는 별도의 디지털 파일로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조용 메타데이터는 물리적인 파일과 페이지, 페이지와 장, 장과 전체로서의 책 사이의 관계를 기록하기 위해 필요하다.(Priscilla Caplan 저,메타데이터의 이해,오동근 역(대구 : 태일사, 2004), pp.29)?⨀탾?⨀뀋?⨀ⲩ잖⨀฀考憺Ȁ憺Ȁ̀￿￿￿￿桌?⨀ĀĀ฀捭蔃愎돀Ⴗ?⨀塨?⨀䠚?⨀㤎돐젞?⨀?잖⨀瀚?⨀ᄎ덐耚?⨀ဎ䭡湳敮獨潧慫甠婡獳桩￿￿￿㼂฀訁瑀㾉Ā捭蔃Ā捭蔃Ā฀考憺Ȁ憺Ȁ̀￿￿⠋?⨀ĀﮫĀĀᥛ⨀尀줌돀?⨀塨?⨀〚?⨀ꄌ돐倚?⨀?잖⨀堚?⨀礌덐栚?⨀砌堌歳汭㄀돐䑊䝏䉒멡΅浣잖⨀䑊䝏䉒弲〰㉟瘲㉮㘀ࠑ?⨀쀂ꀂ䑊䝏䉒弲〰㉟瘲㉮㙟㐴㄀鳪떭郬蒜⃫뚄곫邜⁐污獭楤ⵍ敤楡瑥搠䅭灃‼呅堾⑜扥瑡␼⽔䕘㸭䱡捴慭慳攠鷬蒱⁅獣桥物捨楡⁣潬槬馀⁋汥扳楥汬愠灮敵浯湩慥頠裫辄耠ꃬꂄ郭颕頠蓭辬仗舀Ƶᨀ缀䠏?⨀Ā舀?⨀᥈乇佂塟㈰〳彶ㄵ渳弱㤵弰〶฀?넀ᢉڗ⨀䢉ڗ⨀碉ڗ⨀ꢉڗ⨀?ڗ⨀ࢊڗ⨀㢊ڗ⨀梊ڗ⨀颊ڗ⨀좊ڗ⨀ڗ⨀⢋ڗ⨀墋ڗ⨀袋ڗ⨀뢋ڗ⨀ڗ⨀ᢌڗ⨀䢌ڗ⨀碌ڗ⨀ꢌڗ⨀?ڗ⨀ࢍڗ⨀㢍ڗ⨀㜸ڗ⨀颍ڗ⨀좍ڗ⨀ڗ⨀⢎ڗ⨀墎ڗ⨀袎ڗ⨀뢎ڗ⨀ڗ⨀ᢏڗ⨀䢏ڗ⨀碏ڗ⨀ꢏڗ⨀?ڗ⨀࢐ڗ⨀㢐ڗ⨀奈돀梷?⨀塨?⨀젝?⨀턌돐?⨀?잖⨀?⨀ꤌ덐?⨀ꠌ蠌Ā̀਀
  6. 우병현,디지털은 자본이다 : 디지털자본시대의 정보민족주의(서울 : 나남출판,1996), p.67
  7. 마이클 고어먼 著,"21세기의 도서관과 사서직 : 태평양 연안국들을 중심으로," 김정근 譯,도서관,제52권,제3호(1997, 가을),p.129
  8. 村上泰子,"圖書館界とメタデ-タ : 米國議會圖書館の戰略を中心に," 情報の科學と技術, Vol.51, No.8(2001), pp.402-408. 김정현, "디지털 정보자료 관련 목록규칙의 동향,' 정보관리연구,제34권, 제3호 (2003, 9), p.9에서 재인용
  9. 김태수, 더블린코어(Dublin Core), http://dewey.yonsei.ac.kr/metadata/dc.htm [인용 2004. 7. 31]
  10. Priscilla Caplan 저,메타데이터의 이해,오동근 역(대구 : 태일사, 2004), pp.101-102
  11. 뉴욕과 시카고를 연결하는 가장 빠르고 호화로웠던 열차로 당시로는 다른 어떤 교통수단보다도 선호되었던 교통 수단이었음
  12. David A. Tyckoson,"The Twenty-First Century Limited : Desighing Catalogs for the Next Century,"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Quarterly, Vol.13, No.3 (1991), p.27
  13. Hanses,Preben. User guidelines for Dublin core creation,1998, , 金泰樹, "MARC 데이터의 메타데이터 변환연구," 國會圖書館報, 第35卷, 第6號(1998. 11, 12), p.4에서 재인용
  14. 玄圭燮, '書誌記述의 原則確立을 위한 覺書' 도서관,제38권,제1호(1983),pp.6-7
  15. 金南碩,資料目錄學,第3增補版(大邱 : 啓明大學校出版部,2000), p.20
  16. 마이클 고어먼 著,'21세기의 도서관과 사서직 : 태평양 연안국들을 중심으로' 김정근 譯,도서관,제52권,제3호(1997, 가을) pp.127-128
  17. Ann Huthwaite, AACR2 and Its Place in the Digital World : Near-Term Solutions and Long-Term Direction, [cited 2004. 4. 22]
  18. 崔成眞,'한국문헌정보학에 대하여,' 蒼史李春熙敎授定年記念論叢(서울 : 記念論叢刊行委員會, 1993), p.91
  19. 沈腢俊,'2000年前의 編目者들의 役劃 : 우리는 무턱대고 過去를 버려야 하나?' 國會圖書館報 第17卷,第2號(1980, 3, 4), p.78
  20. Tom Delsey. The Library Catalogue in a Networked Environment. (http://lcweb.loc.gov/catdir/bibcontrol/delsey_Paper.html) [cited 2004. 4. 22]
  21. CORE는 여러 도서관의 협력에 의해 메타데이터를 생산하고 공유하는 프로젝트로서 여기에는 한 시스템 안에 DC와 MARC가 통합되어 있다. BUBL LINK home page, [cited 2005. 3. 15]
  22. Digital preservation home page, [cited 2005. 3. 15]
  23. 이재윤,조현주,'인터넷자원의 보존 및 장기적 이용을 위한 국가프로젝트' 情報管理硏究,제29권,제3호 (1998),p.38의 도표 참고
  24. 국가전자도서관 홈페이지,
  25. 국가전자도서관 홈페이지, [인용 2004. 9. 1]
  26. 클리포드 스툴 지음,허풍떠는 인터넷,한경훈 옮김(서울 : 세종서적, 1996), pp.258-259. 전자문서를 제작하거나 이용하는 소프트웨어는 빠른 속도로 개정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보존되는 전자문서들 중에는 세월이 지나면서 이를 읽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없어서 문서로서의 구실을 할 수 없는 경우도 생긴다. 이는 도스(DOS)가 서서히 사라져 가는 현상이나, 낮은 버전의 소프트웨어에서 운영되던 프로그램들이 새로운 버전에서는 실행되지 않는 현상들을 자주 접하면서 고민하지 않으면 안될 문제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