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modern society is on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the library is one of the important routes through which they are obtained. But the collection in the library, from the onset of its creation and the process of accumulation, could only be bent and biased due to the prejudice and distortion, inevitably acting as an agent that mires the essence of the library as a distribution channel for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modern society. This study is the discussion about the necessity, main assignment and the methodology of library collection study. The collection study needs to focus on the process of accumulating the collection in the library to track down the Process of becoming biased.
현대사회는 지식$\cdot$정보사회이며, 도서관은 지식과 정보가 전달되는 중요한 경로 중의 하나이다. 그렇지만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도서관의 장서는 그 생산과 수집, 그리고 축적의 과정에서부터 편견과 왜곡으로 인한 굴절과 편향을 멀 수밖에 없었으며. 그것은 결과적으로 도서관이 현대사회의 지식$\cdot$정보의 유통기관으로서의 본질을 흐리게 만드는 주된 요인이 되어왔다. 이 연구는 장서연구의 필요성과 주요 해결 과제, 그리고 그 방법론에 대한 고찰이다. 장서 연구는 도서관장서의 축적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그 장서가 편향성을 띠어 가는 과정을 추적하고 그 편향성의 현단계를 밝히는 작업이 그 출발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