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form Measure for History Class in KDC 4

KDC 4판의 역사류 관련 부문 개선방안 연구

  • 김자후 (광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ssibl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System in 21th century through the analysis of history field as the subject of study. As a result of this study, some problems(for example, irrational classification number system, very simplicity of $\lceil$Table of Geographic Areas. Historical Periods. Persons$\rfloor$. improper development of class 900, necessity of some internal tables and $\lceil$Table of Racial, Ethnic, National Groups$\rfloor$, insufficiency of note etc.) were found out.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the future revision of KDC4 because a revolutionary improvement were provided.

이 연구에서는 KDC 4판에 대한 개정 논의가 공개된 시점에서 KDC 제4판의 역사류(역사, 지리, 전기) 및 관련 보조구분(조기표)에 있어서 DDC, NDC, UDC 및 KDC의 관련부분들을 비교$\cdot$검토하여 KDC 해당 부분의 제반 문제점을 지적한 다음, 그 개선책을 제시함으로써 KDC 제5판의 개정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KDC 4판에서의 역사류(900)를 비롯하여 관련 보조표(지역구분표) 및 해설부분의 모순점이나 오류사항을 지적하면서 바로 잡는 것을 골자로 하여, 지역구분표(조기표)를 현실에 맞게 세분$\cdot$확장하고 역사총괄부분(900)이나 지리총괄부분(980)에 $\lceil$내부보조표$\rfloor$를 신설함으로써 누락되거나 혼잡스러운 부분을 수정$\cdot$보완하였고, 역사류(900), 민속학(380) 등의 세분 전개에 필요한 사람관련 보조표인 $\lceil$민족$\cdot$국가 군구분표$\rfloor$를 신설하였다. 그리고 연구진행에 따라 필요하게 된 분류주기를 해당부분에 구체적으로 설정하였다. 지면 제약으로 인해 일부 세분$\cdot$전개내용은 동일한 전개의 해당 다른 자료(분류표 등)를 안내하는 경우도 있으나 본 연구의 본질적 성격은 개정 시에 실제로 적용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의도된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유경숙,"KDC 4판(1996)상의 외국인명, 지명 및 외래어의 한글표기 문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0권, 제4호(1999, 겨울), pp.27-5
  2. 김자후, "KDC 4판의 언어류 관련 부문 개선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제34권, 제4호(2003, 겨울),pp.203-226
  3. KDC 4판에 대한 개정 논의는 본 연구의 목적과 관련이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경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KDC 개정 주관자들, 즉 한국도서관협회 분류위원회는 2004년 7월 15일(목) 오후 2시 협회회의실에서 회의를 가졌는데 그 요지는 다음과 같으며 이를 한국도서관협회 측에 건의하였다. (이상 도서관문화 2004년 7월호 6쪽 참조)1. KDC 5판 개정(2006년 말 내지 2007년 추진)과 함께 한글판 발간을 추진한다. 2. 개정에 대한 정책(안)을 회원들에게 공지한다. 3. 종교분야 개정에 대한 의견은 5판 개정 시 반영한다. 4. 유아교육분야 개정 의견은 5판 개정시 반영하고 375.14의 전개방법 도입을 권고한다. 5. 협회 홈페이지와 도메리 및 도서관문화 지면을 활용해 KDC 개정에 대한 사항을 공지한다. 이어서 한국도서관협회에서는 분류위원회의 건의를 받아들여 한국십진분류법(KDC) 제5판 개정을 위한 준비작 업에 착수키로 하여 개정에 대한 도서관인 여러분의 고견을 접수하여 반영한다는 취지 의 다음의 글을 협회 KDC 4판 게시판(URL- http://www.korla.or.kr→ 의견나눔터→ KDC 제4판)에 올렸다. [다음]1. 개정판 발간 시기 : 2006년 말 또는 2007년2. 개정을 위한 가이드 라인·KDC 제5판은 한글판으로 하되, 동음이의어, 고유명사, 전문용어 등은 한자를 병기한다.(필자 주 : 근래에 교육 받은 사서들은 중고등학교에서 한자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해 어쩔 수 없다고 보지만 아주 비효율적이라 아니 할 수 없다)·KDC 제5판 개정 시 전자매체(CD-ROM, 온라인 방식 등)를 이용한 활용이 가능케 한다. (필자 주 : 전연경이 "'전자 버전' 구축을 위한 준비 작업을 시작해야 한다." 고 제언한 바 있을 뿐 아니라 필자견해로도 시기적으로 적절하다고 보지만 Web-DDC 등을 충분히 검토하여 효율적인 전자버전구축을 전제로 하는개정작업이 되어야 한다는데 유념하기 바라는 바이다.)·새로운 학문분야에 대한 기술을 철저히 한다. ·개정을 위한 현장의 소리를 수시로 접수하여 반영한다. - 홈페이지, 도서관문화 등 이용·제시된 의견은 분류위원회에서 타당성을 검토하여 반영하고, 논의가 더 필요한 부분은 주제전문가의 자문, 공청회 등을 이용하여 확정한다. * 필자 주(제언 : 2004년 11월 22일 현재까지 게시판에 건의된 의경 중 주목할 만한 것은 神道(260)를 삭제 또는 축소하자는 내용으로 충분히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개정경위를 살펴 보았는데 협회 게시판에 개진된 각계 의경뿐만 아니라 그 동안 그리고 향후 개정 전까지 전문가들에 의해서 발표된 연구결과물들도 빠짐없이 검토하여 반영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4. 내부표에 대한 분류표들의 명칭을 보면, DDC : 부가표(add table), UDC : 고유보조표(일본어 번역 표현),NDC : 고유보조표, LCC : 내부표(internal table)가 된다. 필자는 향후 기존 분류표들의 내부표를 분석 ·고찰하여 KDC에 수용하는 방안을 연구 ·계획하고 있다
  5. DDC 제21판까지는 국내에서 '인종 · 민족 · 국적구분'으로 표기하였으나 DDC 제22판에서 'Ethnic and NationalGroups'로 명칭이 바쥐면서 다음 문헌에 '민족 ·국가군구분'으로 최초로 표기한 것을 따르도록 하였다. 오동근,여지숙, 배영활, "DDC 제 22판의 개정과정과 새로운 특징," 도서관문화, 제45권, 제1호(2004, 1), pp.32
  6. Melvil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16th ed. (New York : Forest Press, 1958)
  7. 日本圖書館協會, 日本十進分類法 ;一般補助表 · 相關索引編, 新訂9版(東京 : 日本圖書館協會,1995), pp.7-26
  8. 지역구분표(일반보조표 : I-a 地理區分[地域細目])의 일부가 아니라 별도의 일반보조표(Ⅱ海洋區 分)로 마련되어 있다
  9. 오늘날 이천군이 이천시로, 여주군이 여주시로, 고양군이 고양시로 변경되는 등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변경된 행정구역이 제대로 반영되어야 한다
  10. DDC는 16에 타일랜드만. 싱가폴해협 등 너무 자세하게 전개되어 있어 KDC적용에는 부적합하다
  11. 이 부분은 '해양구분' 으로 지역구분표(보조표)에 최우선적으로 전개되어 있어야 한다
  12. 日本圖書館協會, 日本十進分類法 :一般補助表.相關索引編, 新訂9版(東京 : 日本圖書館協會,1995), pp.27-28
  13. 산, 산맥, 사막, 고원, 강, 호수, 폭포, 계곡, 동굴 등의 경우 그것이 속한 주된 지역(행정구역)에 분류한다. 예 : 낙동강→ 911.8(경상도)
  14. 韓國圖書館協會 韓國十進分類法解說編幕委貝會編, 韓國十進分類法 解說, 改正 第 4版(서울 : 韓國 圖書館協會,1997), p.280
  15. 韓國圖書館協會 韓國十進分類法解說編幕委貝會編, 韓國十進分類法 解說, 改正 第 4版(서울 : 韓國 圖書館協會,1997), p.278
  16. KDC, DDC에는 표준구분표(보조표) -09의 가장 앞부분에 -0901에서 -0905까지 연대(시대)구분이 전개되어 있 는데 이것도 독립된 공통보조표로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왜냐하면 적어도 연대(시대)구분 보조기호의 길이라도 짧아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적은 필자를 비롯한 몇 몇 연구에 나타나 있다. 보조표로서의 연대(시대) 구분은 역사류를 제외한 다른 주류(주제)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역사류(900)에는 지 역별로 특성에 맞게 사건별 시대구분이 제각기 나와 있기 때문이다
  17. 기후, 지형은 한대, 온대, 열대, 산악, 사막 정도로 아주 간략하게 나와 있고 해양은 지리(980) 부분의 '988.1-988.8'과 같이 구분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곳은 NDC의 해양구분과 동일하게 전개되어 있다
  18. DDC에서는 '부가표(add table)'라 하고 NDC와 UDC에서는 '고유보조표'라 한다
  19. 이것은 '고유보조표'를 마련하거나 '분류지시주'를 설정하면 가능하게 된다
  20. 韓國圖書館協會 韓國十進分類法解說編幕委貝會編, 韓國十進分類法 解說, 改正 第 4版(서울: 韓國圖書館協會,1997), p.278
  21. 대부분 분류표에 있어서 '내부보조표'의 기호는 -0으로 시작한다.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합시 다른개념으로서 동일기호를 가지게 되는 것을 예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0을 DDC에서는 '패싯(facet)지시자'라 한다
  22. 이창수. "UDC 지리 · 전기 · 역사류의 특성과 KDC에서의 적용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제34권,제3호(2003, 9), p.143
  23. 지역구분과 민족구분이 일치하면 민족구분표(공통보조표)는 필요없게 되므로 민족사도 지역학처럼 각 地域史에서 분류하면 될 것이다
  24. 모든 분류표에서 각 지역기호의 총괄부분에는 해당 지역의 역사사정에 알맞게 시대(연대)구분이 전개되어 있는 데 DDC와 KDC의 시대(연대)구분기호는 따로 분리해서 보면 '01-09'의 형태를 취하므로 해당지역(국가)에 세 분·전개되어 있는 지방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만약 지방에 적용하려면 내부표(보조표) 형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5. NDC 일본역사의 총괄부분(210.1-.7)은 대체로 일본의 시대구분(210.2-.7)이 전개되어 있지만 맨 앞자리 기호 (210.1)에는 通史를 배정한 다음 그 아래에 文化史(210.12), 災異史(210.17). 對外交涉史(210.18), 戰爭史 (210.19)로 세분·전개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의 시대구분 기호가 '.02-.07'가 아니라 '.2-.7' 인 것으로 봐서 이 시대구분을 일본의 각 지역사에 적웅할 의사가 없음을 짐작할 수 있다
  26. http://kordic.empas.com/show.tsp/?q=132669&f=B [cited 2004. 11. 29]
  27. '지역학'이라는 표현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가령 '한국학' 정의를 보면 '한국에 관한 인문·사회·자연과학 분야를 통합적으로 연구하는 종합적 '지역학문'이다.' (http://kr.dic.yahoo.com/search/result.html?pk= 19937500&userquery=한국학&subtype=enc|enctext|encsynonym|enc|enc|enctext|encsynonym [cited 2005, 3.15])라고 나와 있으므로 지역학이라고 표현해도 무리라고 생각되지 않는다
  28. 韓國圖書館協會 韓國十進分類法解說編幕委貝會編, 韓國十進分類法解說, 改正第4版(서울 : 韓國圖書館協會,1997), p.282
  29. 정연경, "DDC 21 과 KDC 4의 비교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4권, 제1호(2000,3), p.192
  30. 특정 지역의 지리적 사정을 분류. 연구. 기술하는 학문. 기술된 것을 地誌라고 하기 때문에 분류표에서 지리부분의 기본전개(지역구분)에 해당하는 문헌은 대부분이 地誌를 비롯한 地圖 정도일 것이다
  31. http://www.geog.snu.ac.kr [cited. 2004. 11. 30]
  32. (칼라판) 세계백과대사전,제17권(서울 : 교육도서,1988). p.483
  33. Melvil Dewey,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 Vol. 1, 21th ed.(N. Y. : Forest Press, 1996), p.31
  34. Melvil Dewey,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Vol. 3, Schedules 600-999. 21th ed.(N. Y. : Forest Press, 1996), p.810
  35. 김자후, "KDC(한국십진 분류표) 4판에 대한 제언," 도서관학논집,제27집(1997,겨울호),p.380
  36. 정연경, "DDC 21과 KDC 4의 비교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4권. 제1호(2000,3), p.186
  37. Melvil Dewey, Abridged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12th ed. (N. Y. : Forest Press, 1990), p.190
  38. Melvil Dewey,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Vol.1-4, 22th ed. (N. Y. : Forest Press, 2003)
  39. 김자후, 문헌분류법(광주 : 광주대학교출판부, 1999). p.75
  40. 총류의 백과사전, 일반연속간행물, 강연, 신문 등의 綱木은 그 아래 要目에 '국어구분' 및 '지역구분'으로 세분전개되어 있는데 해당 보조표인 '국어구된표' 및 '지역구분표'의 전개내역과 助記 性을 가진다
  41. http://web2.kwangju.ac.kr/~jahookim/myhome/DDC-option.hwp[cited 2004. 11. 30]
  42. 오동근, "한국도서관을 위한 DDC 의 재전개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제35권,제4호(2001,12), p.86
  43. 韓國圖書館協會 韓國十進分類法解說編幕委貝會編, 韓國十進分類法解說, 改正第4版(서울 : 韓國圖書館協會,1997), p.218
  44. 국내 도서관에서의 언어별 장서 수에 따른 다면 KDC처럼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영어 순이 아니라 한국어영어 순이 되어야 현실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