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컨테이너 터미널 장치장에서 블록 내 이적을 위한 컨테이너 이동 순서 계획

Sequencing Container Moves for Intra-Block Remarshalling in a Container Terminal Yard

  • 강재호 (부산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대학원) ;
  • 오명섭 (부산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대학원) ;
  • 류광렬 (부산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김갑환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 Kang Jaeho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Oh Myung-Seob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Ryu Kwang Ryel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Kap Hwan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5.02.01

초록

블록 내 이적이란 컨테이너를 선박에 싣는 적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의 장치장 블록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컨테이너들을 적하 순서에 맞춰 몇 개의 베이로 모으는 작업이다. 이전시 적하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컨테이너들을 모으기만 하면, 적하 작업 과정에서 보다 일찍 적하될 컨테이너를 반출하기 위하여 상단의 컨테이너들을 임시로 옮겨야 하는 재취급이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재취급은 적하 작업의 효율을 저해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휴리스틱을 이용하여 적하 작업 과정에서 재취급이 발생하지 않게 컨테이너들을 이적할 수 있는 컨테이너 이동 순서를 찾는 방안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실험 결과 본 제안 방안이 다양한 환경에서 컨테이너 이동 순서를 실시간에 생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tra-block remarshalling is the task of rearranging into some target bays those containers which are scattered around within the block, so that the containers can be loaded onto the ship efficiently. However, if we rearrange the containers without considering the container loading sequence, excessive rehandling work will be required at the time of loading because the containers to be fetched are often stacked under other containers. Therefore, the remarshalling should be done by moving the relevant containers in an appropriate order.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heuristic search technique for finding an appropriate container moving order during remarshalling to avoid rehandling at the time of loading. Simulation experiments have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generate rehandling-free solutions in real tim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재호, 류광렬, 김갑환, (2004): '장치장에서 베이 내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재정돈 방안'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4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 287-295
  2. 강재호, 오명섭, 류광렬, 김갑환, (2004): '반입 컨테이너 무게를 고려한 재취급 최소화 장치 위치 결정 방안'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4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 271-278
  3. 류영욱 (1998):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작업시간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과
  4. 양지현 (2003): 재취급 최소화를 위한 흔적 결정 수리 모형 몇 해법, 석사 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과
  5. 최영진, 오명섭, 전수민, 강재호, 류광렬, 김갑환 (2004):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재취급 최소화를 위한 이적 위치 결정 방안'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4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382-391
  6. Kim, K. H. and Bae, J.-W, (1998): 'Re- Marshaling Export Containers,' Computers and Industrial Engineering, Vol. 35, No. 3-4, pp. 655-658 https://doi.org/10.1016/S0360-8352(98)00182-X
  7. Kim, K. H., Park , Y. M., and Ryu, K. R.(2000); 'Deriving Decision Rules to Locate Export Containers in Container Yard, ' European Journal of Ope rational Research, Vol. 124, pp. 89-101 https://doi.org/10.1016/S0377-2217(99)001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