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oval Effect of Nitrogen and Phosphorus of Acorus cazamus var. angustatus oil Its Growth Stage and Water-storage Time

생장단계와 체류시간에 따른 창포의 질소와 인 제거효과

  • Seo Byung-Soo (Faculty of Forest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Chong-Min (Faculty of Forest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서병수 (전북대학교 산림과학부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박종민 (전북대학교 산림과학부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The removal affect of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analyzed using a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The nutrient concentration, growth stage of plants and the storage time of polluted water were 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fter an hour the content of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considerably reduced in the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while after two-four hours the rate of reduction was extremely low. This situation was the same in the early growth stage, growing stage and highest growth stage of the plant. The removal rate of nitrogen and phosphorus with the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was higher, when these two minerals remained in high levels of water. The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was more effective to remove nitrogen than that of phosphorus. The plant removed the most nitrogen and phosphorus when in the highest growth stage, but this was not clear in the growth stages. The removal rate was higher, in the case of moving polluted water to other plants after two days, than in the case of four days of growth in the same plants.

창포를 이용하여 질소와 인의 농도별, 식물의 생장단계별, 오염수의 체류시간별로 질소와 인의 제거효과를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체류 1시간 후에 수중의 질소와 인의 함량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나, $2\~4$시간 후에는 감소율이 극히 낮았다. 이러한 현상은 식물의 생장초기, 생장기, 생장최성기에서 동일하였다. 수중에 질소와 인의 함량이 많을수록 제거율이 높았고, 인보다는 질소의 제거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생장최성기에 가장 많은 질소와 인을 제거하였고 다음으로 생장기, 생장초기의 순이었으나, 생장단계간의 차이는 극히 작았다. 동일 포트에 4일 동안 체류시킨 것보다 2일 체류 후에 다른 포트로 시험수를 옮긴 것이 질소와 인의 제거율이 약간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성환, 나규환, 이장훈(1996) 수생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에 관한 연구. 한국위생학회지 22(3): 49-55
  2. 김귀곤, 조동길(1999) 인공습지 조성 후 생물다양성 증진효과에 관한 연구(서울공고 생태연못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7(3): 1-17
  3. 김규식, 김복영, 조일환, 우기대, 박영대(1988) 축산폐수 정화를 위한 부레옥잠 이용 연구. 농시논문집 30: 39-45
  4. 김복영, 김규식, 박영대(1988) 축산폐수의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수초선발 이용 연구. 한국환경농학회지 7: 111-116
  5. 김복영, 이상규, 권장식, 소규호, 윤은호(1991) 부레옥잠에 의한 생활오수의 정화효과. 한국환경농학회지 10: 51-57
  6. 김윤태(1999) 수생식물을 이용한 영양염류 제거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1쪽
  7. 문영희, 박종민, 손재권, 김계환(2001) 만경강 상류지역 수질의 시기별 변화. 한국환경농학회지 20(4): 252-257
  8. 박진식 (2002) 부레옥잠과 미나리를 이용한 연속식 하수처리 에서 COD, N 및 P의 제거. 한국환경농학회지 21: 144-148
  9. 변종영, 김문규, 이종식(1985) 수생식물을 이용한 수질오염원제거에 관한 연구. 제1부 부레옥잠의 유기물 제거효과 및 생장에 미치는 제요인. 한국잡초학회지 5: 143-148
  10. 심우경, 백경종(2000) 하천 저수로 호안의 친환경적 조성기법의 개발(용인시 수지읍 정평천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8(1): 83-91
  11. 안윤주, 공동수(1995) 생이가래를 이용한 영양물질의 제거 방안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17: 593-603
  12. 양홍모(2002) 하천수정화 근자연형 인공습지의 질소 및 인 초기처리수준. 환경친화적 댐건설 방향에 관한 심포지엄 및 추계 학술발표회, 98-101쪽
  13. 이성영(2003) 동진강 상류지역의 수질조사연구. 전북대학교 농업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33쪽
  14. 이욱주(1999) 수생식물의 수질정화 효과에 관한 연구(꽃창포, 박하, 이삭물수세미, 큰피막이, 부들, 노랑어리꽃, 생이가래에 대하여).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욱주(2003) 자생 수생식물에 의한 수질정화효과-갈대, 흑삼릉, 택사, 자라풀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62-73쪽
  16. 이은희, 이인숙, 정동선(2004) 친환경 식물 정화조 시스템 개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4): 61-68
  17. 이은희, 장하경(2000) 생태연못 조성을 위한 이론적 고찰 및 사례연못 평가.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3(2): 10-23
  18. 전만식, 김범철(1998) 부레옥잠의 수중 영양염 제거 잠재력에 관한 고찰.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7: 117-124
  19. 조강현(1992) 팔당호에서 대형 수생식물에 의한 물질생산과 질소와 인의 순환.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165-233쪽
  20. 최규장, 김남춘(1999) 자연형 하천 식생복원을 위한 달뿌리풀, 물억새, 솔새, 수크령의 녹화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2): 70-77
  21. 최정권(1995). 도시 하천환경의 생태적 재생(하천의 미지형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2(4): 191-197
  22. 함용규(1996) 수생식물의 중금속 흡수능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27쪽
  23. Boyd, C. E. (1969) Vascular aquatic plants for mineral nutrient removal from polluted water. Economic Botany 23: 95-103
  24. Ghosh, D. and S. Sen. (1987) Ecological history of Calcutta's wetland conversi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14: 219-226 https://doi.org/10.1017/S0376892900016416
  25. Grant, R. R. and R. Patrick(1970) In Two studies of Tinicum Marsh. Tinicum marsh as a water purifier. 105-123. The Conservation Foundation. Washington, D.C.
  26. Reddy, K. R. and W. F. Debusk(1987) Nutrient Storage Capabilities of Aquatic and Wetland Plants. Magnolia Pub., Inc., Orlando, Fla
  27. Rogers, H. H. and D. E. Davis(1972) Nutrient Removal by Water hyacinth. WeedScience 20: 423
  28. Sato, H. and T. Kando(1981) Biomass production of water hyacinth and its ability to remove inorganic minerals from water I.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culture solution on the rates of plant growth and nutrient uptake. Jpn. J. Eol. 31: 257-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