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POSITION OF THE IMPACTED PRIMARY SECOND MOLAR AND THE TOOTH GERM OF SECOND PREMOLAR

매복된 제 2유구치와 제 2소구치 치배의 전위에 관한 증례 보고

  • Kim, Song-Y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Choi, Seong-Chu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Kim, Gwang-Chu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Lee, Keu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Choi, Yeong-Chu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Park, Jae-Ho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김송이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최성철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광철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긍호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최영철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박재홍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6.11.30

Abstract

Most of impacted teeth reported are permanent teeth. Impaction of primary tooth caused by primary failure of eruption is rare and the most of impacted primary tooth are second primary molars. The etiology of a primary molar impaction would appear to be a physical barrier, early ankylosis of the tooth, abnormal development of the primary molar germ or malposition of the successor bud. Transposi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interchange in the position of two teeth within the same quadrant of the dental arch. It is most commonly seen with canine and lateral incisor teeth, but is rarely associated with the primary dentition. The two cases show the transposition of impacted primary molar and the tooth germ of second premolar in their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s. In case 1, lower second primary molar was deeply impacted inferiorly to the tooth germ suspected to be a second premolar. In case 2, impacted all second primary molars were positioned inferiorly to the tooth germs suspected to be the successors. We extracted all second primary molars under general anesthesia and the extracted tooth germs appeared to be second premolars.

치아가 정상적으로 맹출해야 하는 시기를 지나서도 골조직 내에서 맹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치아를 매복치라 한다. 유치의 매복은 드물게 나타나며, 더구나 과거의 문헌 고찰에 의하면 현재까지 보고된 계승 영구치 하방에 매복된 유치는 극히 드물다. 대부분의 경우 매복된 유치는 제 2 유구치이다. 유치의 매복에 대한 병인은 유치 치배의 비정상적인 발달로 인해 조기에 유착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측되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 전위는 동일한 사분악 내의 인접한 두 개 치아의 위치가 서로 바뀐 것을 말하며, 영구 상악 견치와 제 1소구치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그 빈도는 1% 내외로 낮으며, 특히 유치열의 전위는 거의 발표된 바가 없다. 본 증례는 양악 양측 제 2유구치의 매복을 주소로 본과에 의뢰된 환자의 구강 및 방사선 검사 결과 매복된 제 2유구치와 후속 제 2소구치 사이의 수직 전위가 관찰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