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brication of Tungsten Nano Dot by Using Block Copolymer Thin Film

블록 공중합체 박막을 이용한 텅스텐 나노점의 형성

  • Kang, Gil-Bum (Semiconductor Materials and Devices Laboratory,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
  • Kim, Seong-Il (Semiconductor Materials and Devices Laboratory,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
  • Kim, Yeung-Hwan (Semiconductor Materials and Devices Laboratory,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
  • Park, Min-Chul (Semiconductor Materials and Devices Laboratory,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
  • Kim, Yong-Tae (Semiconductor Materials and Devices Laboratory,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
  • Lee, Chang-Woo (Department of Nano & Electronic Physics, Kookmin University)
  • 강길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반도체소자연구실) ;
  • 김성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반도체소자연구실) ;
  • 김영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반도체소자연구실) ;
  • 박민철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반도체소자연구실) ;
  • 김용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반도체소자연구실) ;
  • 이창우 (국민대학교 나노전자물리학과)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Dense and periodic arrays of holes and tungsten none dots were fabricated on silicon oxide and silicon. The holes were approximately 25 nm wide, 40 nm deep, and 60 nm apart. To obtain nano-size patterns, self-assembling resists were used to produce layer of hexagonally ordered parallel cylinders of polymethylmethacrylate(PMMA) in polystyrene(PS) matrix. The PMMA cylinders were degraded and removed with acetic acid rinse to produce a PS mask for pattern transfer. The silicon oxide was removed by fluorine-based reactive ion etching(RIE). Selectively deposited tungsten nano dots were formed inside nano-sized trench by using a 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LPCVD) method. Tungsten nano dot and trenched silicon sizes were 26 nm and 30 nm, respectively.

밀도가 높고 주기적인 배열의 기공과 나노패턴이 된 텅스텐 나노점이 실리콘 산화물/실리콘 기판위에 형성이 되었다. 기공의 지름은 25 nm이고 깊이는 40 nm 이었으며 기공과 기공 사이의 거리는 60 nm이었다. nm 크기의 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자기조립물질을 사용했으며 폴리스티렌(PS) 바탕에 벌집형태로 평행하게 배열된 실린더 모양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의 구조를 형성했다.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아세트산으로 제거하여 폴리스티렌만 남아있는 건식 식각용 마스크를 만들었다. 실리콘 산화막은 불소 기반의 화학반응성 식각법을 이용하여 식각했다. nm크기의 트렌치 안에 선택적으로 증착된 텅스텐 나노점을 만들기 위해서 저압화학기상증착(LPCVD)방법을 이용하였다. 텅스텐 나노점과 실리콘 트렌치의 지름은 26 nm 와 30 nm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