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 디자인시스템을 통한 도시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대중교통 디자인의 아이덴티피케이션 개념적용과 시스템화 방안 -

A Study on Building of City Image through the Design System for Public Transportation - Focus on the Design Case for Seoul Public Transportation -

  • 양승주 (건국대학교 디자인학부) ;
  • 김병진 (건국대학교 디자인학부)
  • 발행 : 2006.02.28

초록

도시개념의 변화로 현대 도시는 물리적 공간이라는 구조적인 개념에서 탈피하여 이윤창출을 위한 경영의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미 도시화는 80%수준을 넘어 도시화 사회에 진입하였으며, 세계화 및 개방화에 따라 아이덴티티의 형성이 도시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제시되고 있다. 서울은 기능과 시설의 측면에서는 이미 선진국의 수준에 들어섰지만 문화경쟁력과 도시관광 매력물, 서비스시스템의 부족으로 인하여 도시이미지가 낮게 평가되고 있다. 특히 도시를 간접적으로 상징하는 공공시설로서 대중교통은 이용율과 의존도는 매우 높지만 안내서비스 및 시각시스템에 있어서 운영 관리가 부족하며 차별화 된 이미지와 로열티를 발견하기 어렵다. 2004년 서울시에서는 개편안을 제시했지만 영국의 런던, 프랑스의 파리, 일본의 도쿄 등과 같은 세계의 대표적인 도시들에 비해 일관된 시스템과 디자인 사용환경 규제 및 관리의 부족, 과다한 시각정보 및 연계성 파괴 등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질서한 시각물에 개성과 사용규정을 적용하여 아이덴티티를 창출하기 위한 디자인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과정은 도시아이덴티티 전략(City Identity CIP)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 디자인 시스템을 통해 도시이미지를 구체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1)런던, 파리, 도쿄의 대중교통 디자인 시스템 현황을 조사하여 서울의 현황과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2)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중교통수단별 심볼마크의 시스템화, 아이덴티티 형성을 위한 디자인매뉴얼(Guidelines)의 개발, 수단 및 매체별 디자인의 연계와 시스템화 전략을 제안하였다

As the concept of city changes city is viewed in the perspective of business to make profits, not in the perspective of physical space. In the case of Korea urbanization processed over the level of 80% and the formation of identity is suggested for the way to improve city competitiveness as of globalization and liberalization. Seoulentered the level of developed countries in the perspective of functions and facilities, but its image is evaluated poor because of the lack of cultural competitiveness, tourismattractiveness and service system. Dependency of public transportation which is public facilities representing city indirectly is very high, but in information service and visual systems of pubic transportation operations and management are not enough and differentiated image and loyalty are hard to find. In 2004 government of city of Seoul suggested modifications, but compared to London, Paris and Tokyo consistent system, the lack of control and management of use environment of design, excessive visual information and destruction of connection are pointed out. Therefore to solve these problems the introduction of design system is needed to develop identity after applying characteristics and regulations for using to disordered visual stuff. These procedurescan be explained as City Identity Program (CIP) and this study tries to embody city image through public transportation design system. As the study method for this the status of public transportation design system of London, Paris and Tokyo were searched and compared to that of Seoul. Based on this systematization of symbol marks per public transportation being used right now, the development of design guidelines to form identity, relation of design and the strategy of systematization per method and media were propos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