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contents(scope and sequence) of reading education in school libra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 the contents of reading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merican and Japan. Basing on the comparative and analyzed results, It has established a scope for reading education, 10 area and 45 elements. It survey reliability against established a scope and sequence(suitable school year) with 52 teacher librarian in Korea. It proposed the contents(scope and sequence) of reading education in school library with final.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을 위한 내용체계 즉, 범위와 계열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독서교육 내용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공통적인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독서교육의 내용체계 즉, 범위와 계열을 설정하였다.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독서 교과의 교육과정은 물론 미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독서 관련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10개 영역, 45개 요소의 독서교육 내용(요소)을 1차적으로 설정하였다. 초 중등학교 현장의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1차적으로 설정한 독서교육의 범위(요소)에 대한 타당성과 지도하기에 적합한 학교 급별 수준을 조사한 후 최종적으로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 내용체계 즉, 범위와 계열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