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on the Causes for the Failure of Large Scale Rock Mass Slope Composed of Metasedimentary Rocks

변성퇴적암류로 구성된 대규모 암반사면의 붕괴원인 분석에 관한 사례 연구

  • 박부성 (쌍용건설㈜ 토목기술부) ;
  • 조현 (쌍용건설(주) 토목기술부) ;
  • 차승훈 (쌍용건설(주) 토목기술부) ;
  • 이기환 (쌍용건설(주) 토목기술부)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For the design of large scale rock slope which has complex formations and geological structures, generally, insufficiency of geotechnical investigations and laboratory tests are the main factors of slope failures doling construction. In such case, remedial measures to stabilize slope should be selected and applied through reliable investigations and analysis considering the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The rock slope of this study, one of the largest cut slopes in Korea with a length of 520.0 m and maximum height of 122.0 m consists of metasedimentary rocks. And a case study on the causes of large-scale rock slope failure was carried out by analysis of landslides history and site investigations during construction. When the slope with the original design slope of 0.7: 1.0 (H:V) was partially constructed, the slope failure was occurred due to the factors such as poor conditions of rocks (weathered zone, coaly shale and fault shear zone), various discontinuities (joints, foliations and faults), severe rain storm and so on. The types of failures were rockfall, circular failure, wedge failure and the combination of these types. So, the design of slope was changed three times to ensure long-term slope stability. This paper is intended to be a useful reference for analyzing and estimating the stability of rock slopes whose site conditions are similar to those of this study site such as geological structures and geotechnical properties.

복잡한 지층 및 지질구조 특성을 보이는 대규모 절취사면의 경우 설계 시의 조사 및 시험의 한계성 등으로 인하여 지반특성파악 및 설계정수의 산정이 어려워 시공 중 사면활동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시공 중 절취상태에서 지반특성에 부합된 최적의 조사 및 분석 과정을 통하여 합리적인 대책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변성퇴적암류로 구성된 현존 국내 최대 규모의 대절토사면 (연장520 m, 최대절취고 약 122 m, 최대법면길이 약 212 m)을 대상으로, 활동이력분석과 시공 중 지반조사를 통하여 사면의 붕괴원인분석에 관한 시공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원설계 시 대상사면의 경사는 발파암 기준 1:0.7을 적용하여 일부 시공하였으나 절취과정에서 지질요인, 강우 등 안정성을 저해하는 제반 요인에 의하여 다수의 지반활동이 발생하였으며, 계속적인 지반활동으로 인하여 대규모 산사태가 예상되는 매우 위험한 지반상태를 나타내고 있어. 이에 총 3차의 설계변경을 통해 사면의 장기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이러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본 지반조건과 유사한 지질 및 불연속면 특성을 나타내는 암반사면에 대한 안정성 분석, 평가 및 대책방안 수립을 위한 참고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지질학회, 1999, 한국의 지질, 시그마프레스, 60p, 160-162
  2. 태조엔지니어링, 2004, 동해고속도로(동해-주문진간) 확장공사 3공구 대절토 비탈면 보강대책 설계 보고서, 10p, 53-58, 64-65, 67p, 77p
  3. 태조엔지니어링, 2004, 동해고속도록(동해-주문진간) 3공구 A지구 대절토 비탈면 보강대책 설계 요약 보고서, 8p
  4. 한국도로공사, 1997, 동해고속도록(동해-주문진간) 확장공사 실시설계 일반보고서(3공구), 189p
  5. 한국지반공학회, 2003, 동해-강릉간 제3공구 대절토사면 보강대핵 연구보고서, 14-19
  6. 지오텍컨설탄트, 2003, 동해고속도록 동해-주문진간 확장공사(제3공구) 대전토사면 지반조사보고서, 2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