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ap Collection on Trees Growth in Acer mono og Mt. Jiri

지리산(智異山) 고로쇠나무의 수액채취(樹液採取)가 임목생육(林木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 Moon, Hyun-Sik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won, Su-Duk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문현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권수덕 (국립산림과학원)
  • Received : 2005.07.15
  • Accepted : 2006.01.09
  • Published : 2006.03.31

Abstract

Closing processes of taping holes and diameter growth of taped trees of Acer mono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ap taping and number of tapping holes on tree growth and closing speed of holes. Closing processes of tapping holes were faster at trees taped of ten holes than trees tapped of one, three, five holes during the study period, and tapped holes were completely filed up within 15 months. Diameter growth by number of tapped hole were 0.54 mm for control trees, 0.60 mm for trees taped of one hole, 0.64 mm for trees taped of three holes, 0.33 mm for tapped of five holes and 0.31 mm for trees taped of ten holes, respectively. Closing processes of tapping holes by fusion materials was fast in the order of DB ointment, stirofoam, control and bamboo vinegar. Especially, tapped holes in the case of DB ointment was completely healed within 4 months. Therefore, DB ointment should be used to minimize damage on tree growth and secure resources for sap collection of A. mono.

고로쇠나무 수액채취시 천공으로 인한 수목의 피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천공수별로 수액채취 후의 유합과정과 직경생장을 조사하였다. 유합은 조사기간 동안 천공 수 10개소인 임목이 천공 수 1 개소, 3개소, 5개소인 임목보다 빠르게 이루어졌으며 자연상태에서 천공은 15개월만에 모두 유합되었다. 천공 수별 직경생장은 각각 무처리가 0.54 mm, 1개소가 0.60 mm, 3개소가 0.64 mm, 5개소가 0.33 mm, 10개소가 0.31 mm로 나타났다. 유합재료별 유합과정은 DB도포제, 스티로폼, 무처리, 죽초액의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DB도포제를 처리했을 경우의 천공은 4개월 만에 유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천공으로 인한 고로쇠나무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지속적인 수액자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DB도포제를 이용하여 빠른 기간 내에 천공이 유합되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충모, 정두례, 서화중. 1991. 지리산지역 고로쇠나무 및 거제수(거자수)나무의 수액성분에 관하여-Mineral과 Sugar 성분에 관하여-.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0(5): 479-482
  2. 곽애경. 1995. 고로쇠나무 군락의 수액출수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5pp
  3. 농림부 2001. 고로쇠나무 수액채취기술 및 조림경영관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251pp
  4. 문현식, 권수덕. 2004. 울릉도 자생 우산고로쇠나무의 수액채취와 주요 성분.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2(3): 249-254
  5. 문현식, 노 일, 권수덕. 2004. 지리산 고로쇠나무 군락의 토양환경과 식생구조.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 38(2): 33-40
  6. 문현식, 박상범, 권수덕, 구자운. 2004 지리산 고로쇠나무의 수액채취와 성분분석. 한국생태학회지 27(5): 263-267
  7. 박철하, 유종형, 주영구. 1997. 수간천공 부위의 부후를 방제할 수 있는 음료 수액채취법 연구. 충북산림환경사업소 시험연구보고. 5-13
  8. 윤승락, 조종수, 김태옥. 1992. 자작나무와 단풍나무류의 수액채취 및 이용. 목재공학 20(4): 15-20
  9. 이경준, 박종영, 박관화, 박훈. 1995. 고로쇠나무 수액의 화학적 성분, 영양가치와 사포닌 함유 여부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4(4): 415-423
  10. 임업연구원 2002. 표준임업시험실시요령 692pp
  11. 조남석, 김흥은, 민두식, 박철하. 1998. 건강음료로서의 자작나무수액의 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인자. 목재공학 26(3): 93-99
  12. 산림청. 1992. 단기임산 신소득원 개발에 관한 연구(II). 170-186
  13. 산림청. 1995. 산주를 위한 새로운 임업기술 361pp
  14. 전라남도 1998. 고로쇠나무 수액의 생산성향상과 저장 가공기술 및 효율적 유통전략 개발. 185pp
  15. 정미자, 김윤숙, 이일숙, 조종수, 성낙주 1995. 고로쇠나무 및 당단풍나무 수액의 성분조성.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4(6): 911-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