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fraction Seismic Survey of Unconsolidated Sediments Adjacent Lake Soyang

굴절파 탐사를 이용한 소양호 주변의 미고결 퇴적물 연구

  • Published : 20060000

Abstract

In order to study unconsolidated sediments upstream of the Soyang Dam, seismic refraction data were recorded along five profiles of 94 m length. Receiver interval and record length were 2 m and 204 ms, respectively. Record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raveltime tomography and delay-time methods in order to reveal sediment distribution in the investigation site. The acoustic basements are buried at approximately 14 m deep and their thickness shallows to southeast approaching to a hill. On the basement, pre-existing sediments deposited before construction of the Soyang dam lies. This sedimentary layer is composed of paleo-soil and sandy sediments. Above this layer, recent sediments comprise the top layer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deposited since the formation of the dam. Average thickness of this uppermost layer is approximately 1.6 m, which is much thicker than in the downstream.

소양댐 상류의 미고결 퇴적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길이 94 m의 5개 측선을 따라 2 m 간격으로 204 ms동안 탄성파 자료를 기록하였다. 기록된 자료를 초동주시 토모그래피 역산법과 지연시간법으로 처리하여 조사지의 퇴적물 분포를 종합적으로 구명하였다. 기반암은 평균 14 m 깊이로 비교적 평탄하게 분포하며, 산사면이 있는 남동쪽으로 상승한 형태를 보인다. 이 기반암을 댐 건설 이전에 형성된 기존 퇴적물이 덮고 있으며, 주로 호수 생성 이전에 형성된 토양이나 사질 퇴적물로 구성되어 있다. 최상부층인 최신 퇴적물은 호수 생성 이후 유입된 부유 퇴적물 기원의 이질 퇴적층으로, 하류지역보다 두꺼운 평균 1.6 m 두께로 쌓여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영, 김동훈, 신현조, 김연중, 2002, 굴절파 주시 토모그래피를 이용한 일산시 약수지역의 울산단층지질구조 연구, 지질학회지, 38, 509-518
  2. 김기영, 조수제, 임경학, 2004, 음파탐사를 이용한 소양호 저층퇴적물 조사, 제 12회 세계 물의 날 기념 심포지엄, 311-317
  3. 정대교, 정희만, 김기영, 황인영, 2004, 소양호 저층퇴적물에 대한 환경퇴적학적 연구, 제 12회 세계 물의 날 기념 심포지엄, 319-321
  4. 최지용, 김흥년, 2003, 환경친화적 댐 관리를 위한 사례연구, 한국 환경 정책평가 연구원, 7-12
  5. Dueker, K., Humphreys, E., Biasi, G., 1993, Teleseismic imaging of the western United States upper mantle structure using the simultaneous iterative reconstruction technique, in Seismic tomography: theory and practice, Chapman & Hall, London
  6. Gardner, L. W., 1939, An areal plan of mapping subsurface structure by refraction shooting, Geophysics, 4, 247-259 https://doi.org/10.1190/1.1440501
  7. Hagedoorn, J. G., 1959, The plus-minus method of interpreting seismic refraction sections, Geophysical Prospecting, 7, 158-182 https://doi.org/10.1111/j.1365-2478.1959.tb01460.x
  8. Van overmeeren, R. A., 1987, The plus-minus method for rapid field processing by portable computer of seismic refraction data in multi-layer groundwater studies, First Break, 5, 8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