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A-Based Software Development for Forest Inventory Data

PDA기반의 산림자원조사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Heonh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Yeungnam University) ;
  • Lee, Dohyu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Yeungnam University) ;
  • Suk, Sooil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Yeungnam University)
  • 이헌호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도형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석수일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2006.08.14
  • Accepted : 2006.10.10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system for forest resources inventory using PDA. The Forest Inventory Software running on PDA was developed based on a Forest Resources Inventory Method by Korea Forestry Service and 4th National Forest Inventory Method. The forest inventory data stored in PDA contains sea level and GPS positioning data. Forest inventory input items are 34 tree species, 18 diameter class by each tree species, number of trees, tree height per each diameter class, thickness of bark, and annual growth of tree. Application test of the software with the forest workers shorted that, hours of forest works were remarkably reduced. It is possible to do forest inventory effectively using Forest Inventory Software developed by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expenses can be reduced and labor productivity will be improved.

본 연구는 개인휴대 단말기(PDA)를 이용하여 임목자원 조사를 위한 산림조사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PDA용 산림조사 소프트웨어는 산림청 고시 지원 측정법과 4차 전국산림자원조사용 전국산림조사요령에 근거하여 제작되었다. 산림조사 소프트웨어는 GPS를 활용하여 표본점의 위도, 경도, 해발고도 등의 위치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였다. 34가지 수종, 각 수종 별 18 직경급, 수종 본수, 각 직경급별 수고 데이터, 수피의 두께 및 연년생장량 등의 항목을 입력할 수 있으며, 형수값 또는 재적식을 활용하여 단목재적 및 누적재적을 출력할 수 있다. 산림조사 소프트웨어는 울진군 산림조합과 논산 산림조합의 작업자를 대상으로 적용시험을 실시하여 시간절감 효과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PDA를 활용한 산림조사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산림조사가 가능하므로 조사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노동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농림부

References

  1. 고재관. 2001. Mobile PDA programming 삼각형프레스. 서울. pp. 959
  2. 김동환,변신의,한국택,조양호,김한민,정윤용,장진웅,김평송,권준수,윤미경. 2004. 모바일 컴퓨팅을 이용한 산지유통 전문조직의 유통관리시스템 개발. 농림부. pp. 339
  3. 김상형. 2002. Window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가남사. 서울. pp. 1510
  4. 남기범. 2002. About PocketPC 2002 Programming. 영진닷컴. 서울. pp. 520
  5. 박은식,정주상. 1999. 국유림 관리 영림계획 운영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 개발. 한국임학회지 88(1): 63-73
  6. 산림청. 2006. 4차 전국산림조사요령. http://munhun.kfri.go.kr/snlm/doc/s12_1_2.htm (2006.5.15)
  7. 신만용 외 10명. 2005. 국내외 여건변화에 따른 산림자원조사체계 개편 연구. 산림청 최종 보고서. 산림청. pp. 290
  8. 여인춘,김건한. 2002. 임베디드 비주얼 C++. 정보문화사. 서울. pp. 609
  9. 이경학,이홍균 1991. 국유림 영림계획업무의 전산화. 임업연구원연구보고. No. 43
  10. 이헌호 외 10명. 2005,PDA를 활용한 산림자원관리시스템 개발,농림부,pp. 185
  11. BenMedows Co. 1999. Product Catalog. Ben medows co. USA. pp.355
  12. Boling D. 2002. Programming Microsoft Windows CE. Microsoft Press. pp. 1291
  13. HP. 2006. IpaqSolution. http://h15020l.www5.hp.com/solution/index.asp (2006. 5. 15)
  14. Microsoft. 2006. Microsft Mobile Support. http://www.microsoft.com/korea/window smobile/default.mspx (2006. 5. 15 )
  15. Trimble. 2006. Trimble Application. http://www.trimble.com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