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reference to Korean Spicy Fish Soups by Questionnaire Methods in Busan and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Recipe

부산지역 생선횟집을 중심으로 생선 매운탕 소비실태 및 최적 조리법 확립

  • Received : 2006.07.07
  • Accepted : 2006.08.10
  • Published : 2006.08.31

Abstract

A study on sliced raw fish consumption was conducted on 300 citizens of Busan (89 men and 192 women), attending high school and university, housekeepers and employee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record the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93 percent of the respondents appeared to like or not be reluctant to eating Maeun-Tang. Most of the panelists had eaten at a seafood restaurant. The taste of Maeun-Tang varied differently by the spicy fish soup recipe. 56 percent of the respondents appeared to want this dish to have a fiery taste. Therefore, 89 percent of the respondents appeared to desire Maun-Tang to have a standardized recipe. The qualities of four kinds of stock made of water (A recipe), anchovy added with sea tangle (B recipe), fish bone (C recipe) and vegetable (D recipe) were investigated by using sensory evaluation and instrumental analysis for amino acids and nucleotides. The C recipe score was 80.9${\pm}$15.9 and D, B recipe was $75.7{\pm}17.1$, $75.4{\pm}17.2$, respectively. The A recipe score was $61.8{\pm}22.8$. The Degree of smooth taste were D recipe >A recipe >B recipe>C recipe. The Degree of spicy taste were C recipe >B recipe >D recipe>A recipe. In sensory evaluation, the C recipe obtained the highest score for overall preference. However, no difference of extractive nitrogen content, nucleotide and amino acid contest were observed in the C recipe after cook of Maeun-Tang.

1. 생선매운탕 소비실태조사에서는 응답자의 93%가 생선회 먹은 후 식사로 먹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횟집에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선 매운탕의 맛은 집집마다 다르다고 응답하였으며, 얼큰한 맛을 응답자의 56%가 원하고 있었으며, 감칠맛과 시원한 맛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선 매운탕의 표준 조리법의 개발의 필요성을 응답자의 89%가 인식하고 있었다. 2. 맛의 평가를 100점으로 가정할 때, 생선 매운탕 C는 $80.9{\pm}15.9$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D, B의 생선 매운탕은 각각 $75.7{\pm}17.1$, $75.7{\pm}17.2$로 나타났으며, 생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A가 $61.8{\pm}22.8$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시원한 맛의 정도는 야채(콩나물, 양배추, 양파) 육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D 가 가장 시원한 맛이 좋다고 응답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생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A, 멸치+다시마 육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B, 생선뼈+머리 육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C 순서로 시원한 맛이 가장 좋다고 응답한 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39명, 13.73%). 감칠맛을 느끼는 순서는 연령과 성별에 상관없이 모두 CBDA 순(134명, 47.2%)이 가장 많은 응답을 나타났다. 보편적으로 맛이 좋다고 느끼는 순서도 감칠맛 과 마찬가지로 CBDA순(109명, 37.2%)으로 나타났다. 3. 영양성분분석결과는 각 조리법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게 나타났으며, 기호적인 측면에서 가장 좋은 점수를 받은 생선 매운탕 C 즉, 머리뼈 등의 잡뼈를 이용하여 육수를 만들고 매운탕으로 조리하는 조리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Association of Offical Analytical Chemists. Offic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offical analytical chemists. 16th ed., chap.12 p.7, chap.35 p.7, chap.41 p.9, 1995
  2. Hoyle, N. T. and J. H. Merritt, Quality fish protein hydrolysates from herring (Clupea harergus). J. Food Sci., 59, pp.76-79, 1994 https://doi.org/10.1111/j.1365-2621.1994.tb06901.x
  3. Iwamoto, M., H. Yamanaka, S. Watabe and K. Hashimoto.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on rigor-mortis and ATP degradation in plaice Paralichthys olivaceus muscle. J. Food Sci., 52, pp. 1514-1517, 1987 https://doi.org/10.1111/j.1365-2621.1987.tb05867.x
  4. Kuninaka, A., M. Kibi, K. Sakaguchi. History and development of flavor nucleotides, Food Tech., 18. p.287, 1964
  5. Titus, D.S. The nucleotide story, In symposium of flavor potentiation, Arthur D. Little, Inc., Cambridage, Mass, 1964
  6. Yamaguchi, S. The synergistic taste effect of monosodium glutamate and disodium 5'-inosinate. J. Food Sci., 32, p.473, 1967 https://doi.org/10.1111/j.1365-2621.1967.tb09715.x
  7. 계승희.문현경.염초애.박은미, 한국음식의 조리법 표준화를 위한 연구(1) 탕반류. 한국조리과학회지, 11(1), pp.1-8, 1995a
  8. 계승희.문현경.염초애,.송태희.이성희, 한국음식의 조리법 표준화를 위한 연구(2)-찌개류. 한국조리과학회지, 11(3), pp. 220-225, 1995b
  9. 김기숙, 경단조리법의 표준화를 위한 조리과학적 연구 (1), 한국조리과학회지, 3(1), pp. 20-30, 1987
  10. 김배의.조영제.심길보, 부산시민을 대상으로 한 생선회 선호도 실태 및 소비촉진 방안. 수산해양교육연구, 17(3), pp.413-426, 2005
  11. 김업식.최일식.구성자, 냉면육수 조리법의 표준화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17(6), pp. 589-597, 2001
  12. 김상애, 흑염소불고기의 조리법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6(4). pp.269-275, 2001
  13. 류은순, 부산지역 낙지볶음의 표준조리법 개발 및 영양소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8(1), pp.9-16, 2003
  14. 박진영.김광옥.이종미, 전통적 강정 제조방법의 표준화-I. 찹쌀의 최적 수침시간과 익힌 찹쌀의 최적 교반정도.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7(4), pp.291-296, 1992
  15. 박진영.김광옥.이종미, 전통적 강정 제조 방법의 표준화 : II. 청주와 콩의 최적 첨가 수준,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8(4), pp. 309-313, 1993
  16. 변진원.황인경, 핵산함유화학조미료의 맛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3(1). p.71, 1987
  17. 변지원.황인경, 각종 음식의 일부 유리아미노산과 핵산관련물질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4(1), pp.33-40, 1988
  18. 양영.한영실.변재형, 가열조리가 복어 추출물 함질소화합물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과학회지, 6, pp.85-95. 1990
  19. 임희수.윤서석, 설농탕 조리법의 표준화를 위한 조리과학적 연구. 제1보: 전래설농탕과 시판설농탕의 영양학적 비교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3(1), pp.37-46. 1987a
  20. 임희수, 설농탕 조리법의 표준화를 위한 조리과학적 연구. 제2보 : 전래설농탕과 시판설농탕의 관능검사 및 물성시험 비교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3(2), pp.38-49. 1987b
  21. 윤서석.김기숙.한경선, 경단조리법의 표준화를 위한 조리과학적 연구(2)-첨가하는 물의 양과 반죽횟수를 중심으로-, 한국조리과학회지, 7(3), pp.47-52, 1991
  22. 최선규.황성연.조재선, 김치류 및 절임류의 표준화에 관한 조사연구(3).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2(5), pp.531-548, 1997
  23. 조순옥.조신호.이효지, 구이방법에 따른 임연수어 texture 및 성분변화. 한국조리과학회지, 1(1), p.12, 1985
  24. 정명생.임경희, 2003. 활어의 소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pp. 1-158. 2003
  25. 한국식품공업협회 한국식품연구소, 한국전통음식개발보급,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