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stimation of Succession Index by Community Typ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Jumbong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군집 유형별 천이지수 추정

  • Jin, Guang Ze (Department of Ecology, College of Forestry, Northeast Forestry University) ;
  • Kim, Ji Hong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광택 (중국 동북임업대학 생태학과) ;
  • 김지홍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 Received : 2006.09.01
  • Accepted : 2006.09.21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Since the forest succession is changing process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 forest for the long period of time, the objectivity of the process could be improv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model or statistical methodolog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succession index based on climax index and species composition parameters, thereupon to compare the succession index with life form and species diversity so as to grasp the information of quantitative successional process for the six community typ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Jumbong area. The results indicated that Quercus mongolica-Tilia amurensis community had the greatest succession index of 67.5, followed by Abies holophylla-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with 67.4. Juglans mandshurica-Cornus controversa community was recorded the smallest value of 60.5. The succession index of overstory tended to increase considerably at the stage of steady state for all community types except Quercus mongolica-Tilia amurensis community. However, The index of midstory hardly varied as the forest succession would progress for all community types. The succession index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wind-water dispersion type of life form and positively to animal dispersion type at the 5% probability level. On the other hand, the index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species richness and Shannon's species diversity index.

산림천이는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서 진행되는 산림 구조와 기능의 변화 과정이므로 그 진행 과정에 대하여 모델 개발 혹은 통계적 방법을 통하여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천이 진행 과정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수종의 극성상지수와 구성 비율로 산출되는 천이지수를 추정하였고, 천이의 진행에 따른 군집의 생활형 구성 비율의 차이와 종다양성의 차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신갈나무-피나무군집의 천이지수가 67.5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전나무-틀메나무군집이 67.4로 그 다음 순이었으며, 가래나무-층층나무군집이 60.5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신갈나무-피나무군집을 제외한 대부분 군집에서 미래의 안정상태의 상층 임관천이지수는 현재보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지역의 상층의 수종 구성은 현재 진행천이가 일어나고 있었고, 중층에서는 매체로 천이의 진행과 함께 천이지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변화폭이 미미하여 중층과 하층의 천이 진척은 거의 동일 단계에 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천이지수의 값은 생활형 중 풍수산포형과는 유의수준 5%에서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동물산포형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천이지수와 교목, 관목, 초본 및 전체 종의 종풍부성 그러고 Shannon의 종다양성지수와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기. 2000.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지형적 위치에 따른 군집 구조적 속성 분석,강원대학교 대학원 산림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61pp
  2. 김광택. 2002.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군집 유형별 생태적 구조 및 동태 분석,강원대학교 대학원 산림경영학과 박사학위논문. 139pp
  3. 김광택,김지홍. 2000. 임도 절토사면이 침입 식생에 대한 계량 생태학적 분석. 강원대학교 삼림과학연구 16: 1-16
  4. 김광택,김지홍. 2005.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군집유형별 천이경향 분석,한국임학회지 94(6): 387-396
  5. 金光澤,唐觀,金知洪. 2002. TWINSPAN 에 의해 분류된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군집구조 해석. 한국임학회지 91(4): 523-534
  6. 김지홍. 1992 추이행렬 모델에 의한 오대산 침엽수-젓나무속 혼효림의 천이 경향 분석. 한국임학회지 81(4): 325-336
  7. 김지홍,1993. 생태형태학적 특성 분석에 의한 활엽수종의 극성상지수 추정. 한국임학회지 82(2): 176-187
  8. 김지홍,이병천,이유미. 1996 남산 및 광릉 산림생태계의 식물 종다양성의 비교 평가. 한국임학회지 85(4): 605-618
  9. 이원섭. 1999.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지형적 위치에 따른 천이 경향 분석. 석사 논문,강원대학교 대학원 산림경영학과,42pp
  10. 이우철. 1996. 한국식물명고(I). 도서출판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1688
  11. 윤종화,한상섭,김지홍. 1987. 원시림의 환경과 구조에 관한 연구. 연습림연구보고 7: 3-26,강원대학교 임과대학 연습림
  12. 沼田 眞. 1961. 生態遷移における問题黠. 生物科學 13(4): 146-152
  13. 沼田 眞,大賀宣彦. 1971. 森林植生の遷移度. 弟18回日本生態學會大會講演要旨: A303
  14. 王業遽 等. 1995. 润葉紅松林. 束北林業大學出版社. 哈爾濱,中國. pp. 503
  15. Abrams, M.D., Orwig, D.A., and Demeo, T.E. 1995. Dendroecological analysis successional dynamics for a presettlernent-origin white-pine-mixed-oak forest in the southern Appalachians, USA, Journal of Ecology 83: 123-133 https://doi.org/10.2307/2261156
  16. Bormann, F.H., Likens, G.E. 1979. Pattern and Process in a Forested Ecosystem. Springer-Verlag. New York. U.S.A. pp.253
  17. Brown, R.T. and Curtis, J.T. 1952. The upland coniferhardwood forest of northern Wisconsin. Ecological Monographs 22: 217-234 https://doi.org/10.2307/1943566
  18. Christensen, N.L. and Peet, R.K. 1981. Secondary forest succession on the North Carollina Piedmont. pp. 230-245. In: D.C. West et al. eds. Forest Succession: Concepts and Applications. Springer-Verlag. New York
  19. Fain, J.J., Volk, T.A., and Fahey,T.J. 1994. Fifty years of change in an upland forest in south-central New York: General patterns. Bulletin of the Terry Botanical Club 12: 130-139
  20. Hill, M.O. 1979. -TWINSPAN-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Section of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ew York. pp. 49
  21. Horn, H.S. 1971. The Adaptive Geometry of Tre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U.S.A. pp. 144
  22. Keever, C. 1950. Causes of succession on old fields of the Piedmont, North Carolina. Ecological Monographs 20: 229-250 https://doi.org/10.2307/1948582
  23. Krebs, C.J. 1998. Ecological Methodology (2nd ed). Addison-Welsey Educational Publishers, Inc., Menlo Park, CA. U.S.A. pp. 620
  24. Loucks, O.L. 1970. Evolution of diversity, Efficiency and community stability. American Zoologist 10: 17-26 https://doi.org/10.1093/icb/10.1.17
  25. Margalef, R. 1968. Perspectives in Ecological The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USA. pp. 111
  26. Nurnata, M. and Asano, S. 1969. Biological Flora of Japan-Sympetalae 1. Tsukiji Shokan, Tokyo. pp. 165
  27. Numata, M. and Asano, S. 1970. Biological Flora of Japan-Sympetalae 2. Tsukiji Shokan, Tokyo. pp. 173
  28. Odum, E.P. 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 262-270 https://doi.org/10.1126/science.164.3877.262
  29. Rice, E.L. 1984. Allelopathy. 2nd ed. Academics Press, New York. pp. 422
  30. Suh, M.H. and Lee, D.K. 1998. Stand structure and regeneration of Quercus mongolica forest in Kore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06: 27-34 https://doi.org/10.1016/S0378-1127(97)00236-3
  31. Whittaker, R.H. 1975. Communities and Ecosystems. MacMillan Pub. Co. New York. pp. 385
  32. Yoshioka, K. 1966. Development and recovery of vegetation since the 1929 eruption of Mt. Kornagatake, HokImido, I. Akaikawa pumice. Ecology Review 16: 271-292
  33. You, Y.H., Park, S.T. Lee, C.S., and Kim, J.H. 1996. Simulation of forest succession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with gap model. Korean Journal of Ecology 19: 499-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