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on Optimal Space Rate of Letters within Road Sign

도로표지내 글자간 적정 여백률에 관한 실험적 연구

  • Published : 2006.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conomical standard for road signs by verifying the difference in driver's legibility time with respect to the spacing of letters on the toad signs. Laboratory simulation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legibility time for six target signs of different spacing. Also. a binary logit model was used to find the main factors, which could lower the rate if misreading. This model involves not only a simple enlargement of signs but also a suitable match of letters and signs along with the optimal spacing of the text letters on the road signs to increase the legibility of the sign. The result of this study verified the importance of spacing in road signs and Proved itself to be an effective method to determine the future standard for the road signs.

본 연구의 목적은 표지 내부의 글자간 여백률에 따라 이용자가 이를 가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차이를 증명함으로써, 경제적인 표지 규격을 산정하는데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6개의 다른 여백률을 가진 표지군을 대상으로 가독시간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실내 모의실험을 시행하였다. 또한 실험결과를 토대로 하여 이용자의 오독률을 낮추기 위한 주요 요인을 찾아내기 위해 Binary Logit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에 의하면,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로표지의 단순한 크기의 확대뿐만이 아닌, 표지판 규격과 내부글자 크기와의 적정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여백률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도로표지와 글자의 규격에 따라 결정되는 여백률이 이용자의 가독성에 주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증명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추후 표지의 적정 규격을 결정하는데 있어 유용한 접근방법으로 활용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0), '도로표지 관련 규정집', 건설 교통부 행정 간행물
  2. 건설교통부(2003), '도로표지 선진화방안 연구', 건설교통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3. 김정룡(2000), '도로교통 표지판을 통해 본 인간 실수의 원인', 안전기술 2000년 12월호
  4. 박영택.김주호(1989), '한글 가독성에 관한 인간 공학적연구(I) : 낱글자의 경우', 대한인간공학회지, 8(1), pp.31-39
  5. 박영택.김주호(1989), '한글 가독성에 관한 인간 공학적연구(II) : 단어의 경우', 대한인간공학회지, 8(2), pp.27-34
  6. 신종현.박민용(2003), '읽기 형태, 줄 길이, 줄 간격이 한글 웹 문서의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공학회지, 29(3), pp.197-205
  7. 여운웅.박종규(1996), '교통안전표지의 최대 허용 설치수에 관한 연구', 96 한국교통안전협회자료집
  8. 이용재.이순철.여운웅(1990), '도로표지의 시인성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공학회 '90 추계학술대 회논문집, pp.215-223
  9. 정성재.이근희.오형술(1995), 배열과 색대비를 고려한 표제용 글자인식에 관한 연구, 공업경영학회지, pp.71-82
  10. 정우현.한재준.정찬섭(1993), 한글의 글자꼴이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pp.491-500
  11. 주창현(1987), 그림동화책 본문의 가독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지우석.오은정(2003), 고령자 운전 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3. 최기주.최병운(2001), 안내표지 시인거리에 관한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213-137
  14.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2005), 도로안내표지 문안규격 적정성에 관한 연구
  15. 황우상.이동춘.이상도.이진호(1997), VDT 화면에서의 한글 글자 크기와 서체에 따른 탐색속도 와 오류율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16(2), pp.29-38
  16. Hashim AI-Madani and Abdul Rahman AI-Janahi(2002), Role of drivers' personal characteristics in understanding traffic signsymbols, Accident Analysis & Pevention, 34(2), pp.185-196 https://doi.org/10.1016/S0001-4575(01)00012-4
  17. John Ryder(1989), 'The case for legibility', New York : The moretus pressine, pp.19-25
  18. Keith Rayner and Alexander Pollats(1996), 'Reading unspaced text is not easy: comments on the implications of Epelboim et al.'s. 1994', Study for models of eye movement control in reading, 36(3), pp.461-465
  19. Ketth Rayner, Martin H. Fisher, and Alexander Pollate(1998), 'Unspaced text interfaces with both word identification and eye movement control', Vision Res., 38(8), pp.1129-1144 https://doi.org/10.1016/S0042-6989(97)00274-5
  20. Michael L. Bernard, Barbara S. Chaparro, Melissa M. Mills and Charles G. Halcomb (2003), 'Comparing the effects of text size and format on the readability of computer-displayed Times New Roman and Arial text',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59(6), pp.823-835 https://doi.org/10.1016/S1071-5819(03)00121-6
  21. Peter C. Burns(1998), 'Wayfinding Errors while Driving',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8(2), pp.209-217 https://doi.org/10.1006/jevp.1998.0077
  22. Sandra B Ernst(1977), 'The ABC's of Typography', Art Direction Book Co., New York, pp.133-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