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lection of Optimal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Estimation for Design Hourly Factor in National Highway Roads

일반국도 설계시간계수의 적정 확률분포 선정 및 추정

  • 조준한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 한종현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성호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 이병생 (경기대학교 교통공학과)
  • Published : 2006.10.31

Abstract

This research is to the selection of optimal probability distribution as well as the estimation for design hourly factor in consideration of traffic characteristic, such as road function, lane number and AADT.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we are applied to various probability distribution using traffic data that observed at permanent traffic count points in 2005. The parameters or the selected 14 probability distribution were estimated based on the method of maximum likelihood and the validity condition of the estimated parameter The goodness-of-fit test, such as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as well as the estimation of design hourly factor. As a result, An appropriate distributions of each case were selected : Pearson V for two lane of rural roads, LogLogistic for the four lane of rural roads, LogLogistic for the urban roads, Extreme value for recreation roads. And optimal K factor are as following : $0.1{\sim}0.2 $ for two lane of rural roads, $0.09{\sim}0.14$ for the four lane of rural roads. $0.07{\sim}0.13$ for the urban roads, $0.1{\sim}0.2$ for recreation roads.

본 연구는 도로의 기능 및 통행특성. 차로수, 연평균일교통량 등을 고려하여 설계시간계수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적정 확률분포형 선정과 K값을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도 상시 교통량 조사지점에서 수집된 교통자료를 이용하여 14개의 확률분포형을 적용하였다. 각 확률분포형은 최우도법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추정하였으며 각 분포형별로 매개변수 적합성 조건을 검토하였다. 적정 확률분포형의 결정은 chi-square검정을 통하여 대상 분포형의 기각유무를 판단하였으며. 그 결과에 대해 우선순위를 정하여 적정 확률분포형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각 유형별 AADT에 따른 적정 K계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지방부 2차로 및 4차로. 도시부, 관광부도로의 적정 확률분포형은 각각 Pearson V, LogLogistic, LogLogistic, Extreme value 분포로 분석되었으며 적정 K계수는 각각 $0.1{\sim}0.2,\;0.09{\sim}0.14,\;0.07{\sim}0.13,\;0.1{\sim}0.2$로 추정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도철웅(1998), 교통공학원론(상), 청문각
  2. 건설교통부(2000),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3. 건설교통부(1999), 국도 기능분류 및 효율적 투자 방안 연구
  4. 건설교통부(1992,2001), 도로용량편람
  5. 김우철 외(1996), 현대통계학, 영지문화사
  6. 이창훈,전영호(1987), 공업통계학, 박영사
  7. 변상철, 김윤섭, 오주삼, 윤여환(2001), 지방부 일반국도 설계를 위한 설계시간계수 선정, 2001년 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8. 임성한,김윤섭,변상철,오주삼(2003), AADT를 이 용한 설계시간계수 추정, 대한토목학회지,제23권 제1D호
  9. 김윤섭,오주삼,김현석(2006), 관광지 종류별 일반 국도 교통량의 시간별 특성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제26권 제1D호
  10. 이장희(2005), 고속도로설계에 있어 권역별 K값 및 D값의 적용방안,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11. TRB(1985,2000), Highway Capacity Manual, Special Report 209
  12. Fisher, R. A(1922), On the Mathematical Foundations of Theoretical Statistics, Philosophical Tra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A, Vol.222
  13. Mood,A.M, Graybill,F.A, Boes,D.C(1974),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Statistics, McGraw-Hill
  14. Alfredo, H-s. Ang, Wilson, H. Tang(1930), Probability concepts in Engineering Planning and Design, Willey
  15. Robert, V. Hogg, Elliot, A. Tanis(1977), Probability and Statistical Inference, Prentice Hall
  16. Palisade Corporation(2004),Guide to Using BestF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