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sychological Analysis of the Recurred TMD Patients by SCL-90-R

SCL-90-R을 이용한 측두하악장애 재발환자의 심리학적 분석

  • Cha, Jeong-Hyun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Park, June-Sang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o, Myung-Yun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Ahn, Yong-Woo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차정현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
  • 박준상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
  • 고명연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
  • 안용우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recurred TMD patients were analyzed psychologically by using the SCL-90-R. 27 recurred TMD patients, 45 new TMD patients, control I were subjected at Orofacial pain clinic, Department Of Oral Medicine and Health Promotion Cen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2005 to 2006. 50 general dental patients, control II were subjected at a local dental office in Pusan during the same perio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values of T-scores on 9 basic scales in all the groups were within normal range. 2. The T-scores of IS, Dep, Phob, Psy in general Dental pati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recurred TMD patient group. 3. As compared with recurred TMD patient Group & control I group by sexual subcla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scales. 4. As compared with acute and chronic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scales in recurred TMD patient group. However, the T-scores of Som, Par, Phob, Psy in chronic new TMD pati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acute new TMD patient group, control I group.

2005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 구강안면통증 클리닉에 내원한 측두하악장애 재발환자 27명과 측두하악장애 신환 45명 및 부산지역 소재 치과의원에 내원한 일반치과환자 50명을 대상으로 SCL-90-R을 시행하여 심리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측두하악장애 재발환자군(실험군)과 측두하악장애 초진군(대조군 I) 및 일반치과환자군(대조군 II)에서 9개 기본증상차원의 척도별 규준척 T점수 평균 값은 모두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2. 재발환자군에 비해 일반치과환자군의 대인예민성 척도, 우울 척도, 공포불안 척도, 정신증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측두하악장애 재발군과 초진군의 기본척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4. 급성군과 만성군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재발환자에서는 특별한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측두하악장애 신환군의 만성환자군에서 신체화 척도, 적대감 척도, 공포불안 척도, 정신증 척도의 평균 T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성창, 김영구, 신금백 et al. 구강안면동통과 측두하악 장애. 초판, 서울, 1996, 신흥인터내셔날, pp 4-6, 88-94
  2. 기우천, 최재갑, 윤창륙, 고명연 역. 구강안면통증. 초판, 서울, 1996, 지성출판사, pp 27-28
  3. McNeill C. Craniomandibular disorders guidelines for evalua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Chicago, 1990, Quintessence Publ Co, pp76-79
  4. 안용우, 박준상, 고명연. 측두하악장애 재발환자의 임상 소견과 치료에 관한 연구. 구강내과 학회지, 2004; 2: 167-174
  5. 정성창, 김영구, 한경수 역. 악관절장애와 두개안면동통. 초판, 서울, 1989, 대광문화사, pp 300-360
  6. 이승우외. 측두하악장애의 진단과 치료. 초판, 서울, 1986, 고문사, pp 118-120
  7. 고명연: SCL-90-R 이용한TMD 환자의 심리학적 분석. 부산대학병원 학술지, 1998,4:337-344
  8. Kathol, R.G. and Petty, F. Relationship of depression to medical illness, A critical review. J.Affect.Disord. 1981;3:111-121 https://doi.org/10.1016/0165-0327(81)90036-7
  9. Katon, W.and Russo,J. Somatic symptoms and Depression. J. Fam. Pract. 1989;29:65-69
  10. Dwarkin, S.F., Van Korff, M. and LeResche, L. Multiple pains and psychiatric disturbance, An epidemiologic investigation. Arch. Gen. Psychiatry. 1990;47:239-244 https://doi.org/10.1001/archpsyc.1990.01810150039007
  11. Barsky,A.J., Wyshsk, G.,Latham, K.S., Klerman, G.L. The relationship between hypochondriasis and medical illness. Arch. Inten. Med. 1991;151 : 84-88 https://doi.org/10.1001/archinte.151.1.84
  12. Von hemert, A.M.,Hengeveld, M.W., Bolk, J.H. et al. Psychiatric disorders in relation to medical illness among patients of a general medical out-patient clinic. Psychological Medicine 1993;23:167-173 https://doi.org/10.1017/S0033291700038952
  13. 고명연. 무반응 여성 측두하악장애환자의 심리학적 분석.부산치대 논문집 1989;6:33-34
  14.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간이정신진단 검사요강. 초판, 서울, 1984, 중앙적성연구소, pp7-39
  15. 김재환, 김광일, 이해리. 간이정신진단검사의 해석지침-code pattern을 중심으로. 정신건강연구 1985;3: 173-217
  16. 고명연. 악관절 장애의 진단 및 치료-저작근 장애의 치료. 대한 치과의사협회지 1991;29:423-429
  17. 박준상, 고명연. 두개하악장애환자의 보존적 치료에 관한 장기 평가. 구강 내과학회지 1993;18:81-96
  18. 김상봉, 이건주. 측두하악장애환자의 임상 및 정신 생리학적 분석. 대한구강악안면학회지 1992;18:60-61
  19. Schwartz, RA, Green et 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patients of patients with myofacial pain dysfunction (MPD) syndrome unresponsive to conventional therapy. J. Dent. Res. 1979 ;58 : 14-35
  20. 고명연, 김영구. MMPI를 중심으로한 악관절 기능장애 환자의 인성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85;10: 17-31
  21. 고명연, 김창준, 임용한.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중심으로 한 악관절환자의 인성에 관한 연구. 부산치대논문집 1986;3:27-35
  22. 이영옥, 이승우. SCL-90-R을 이용한 측두하악장애환자의 정서적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89;11:67-77
  23. 고명연. SCL-90-R을 이용한 TMD환자의 심리학적 분석. 부산대학병원학술지1998;4 : 337-344
  24. Celic R, Panduric J, Dulcic N. Psychological status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t J Prosthodont 2006;19 :28-29
  25. Xu WH, MA XC, Guo CB, Wu RG. Psychological status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Zhonghua Kou Qiang Yi Xue Za Zhi 2005;40:359-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