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Domesticated Codonopsis lanceolata According to Various Storage Conditions

재배더덕의 저장 및 유통조건에 따른 향기 성분의 변화

  • Kim Jun-Ho (Department of Chemistry, Sangji University) ;
  • Choi Moo-Young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angji University) ;
  • Oh Hae-Sook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angji University)
  • 김준호 (상지대학교 화학과) ;
  • 최무영 (상지대학교 이공과대학 식품영양학과) ;
  • 오혜숙 (상지대학교 이공과대학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6.02.01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domesticated Codonopsis lanceolata, which were packed in woven polypropylene (WP) film or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film and stored for 15 and 30 days at refrigerated ($2{\sim}4^{\circ}C$) or room ($18{\sim}20^{\circ}C$) temperature (hereafter referred to as WP-RE-15, WP-RO-15, LDPE-RE-15, LDPE-RO-15, WP-RE-30, WP-RO-30, LDPE-RE-30 and LDPE-RO-30). 167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the fresh domesticated Codonopsis lanceolata by GC/MS.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which were identified in the domesticated Codonopsis lanceolata stored for 15 days were as follows ; LDPE-RE (117 components), WP-RO (65 components), WP-RE (49 components), and LDPE-RO (48 components). After 30 days, the numbers of components were as follows : LDPE-RE (99 components), WP-RO (94 components), WP-RE (46 components), and LDPE-RO (85 components). In all conditions, the following 7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1-hexadecene, 2,6-dimethyl-2-octanol, 2-methyl-2-dodecanol, ${\alpha}$-cedrene, ${\beta}-selinene$, farnesane, and isoledene. According to the sensory evaluation, the freshness of domesticated Codonopsis lanceolata was best maintained with LDPE film and under chilled conditions.

더덕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신선더덕의 경우 총 167 종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타 연구결과에 비해 상당히 많은 편이었으며, 동일 더덕이라도 저장조건에 따라 종류 및 조성비율에서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조성 비율이 큰 10개의 성분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58%였다. 일반재배 더덕을 4가지 조건으로 15일 혹은 30일간 저장하면서 분석한 휘발성 향기성분들 중 1-hexadecene, 2,6-dimethyl-2-octanol, 2-methyl-2-dodecanol, ${\alpha}$-cedrene, ${\beta}$-selinene, farnesane, isoledene등 7종이 모든 저장조건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각 저장조건에서 나타나는 10개의 중요 향기 성분들을 비교한 결과 모든 저장조건 및 저장기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성분은 없었으며, trans-2-hexen-1-ol이 $19.8%{\sim}56.0%$, 마대포장 후 실온저장 더덕을 제외한 1-hexanol이 $51.9%{\sim}71.1%$를 차지하는 주요 성분이었다. 마대포장 실온저장 더덕의 경우에는 cyclohexanol이 36.4%, trans-2-hexen-1-ol이 19.8%를 차지하였고, 2-hexenal이 12.7%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저장조건에서 확인되었던 1-hexadecene, 2,6-dimethyl-2-octanol, 2-methyl-2-dodecanol, ${\beta}$-selinene, farnesane, isoledene들은 조성비율이 매우 낮거나 순위에 포함되지 못하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더덕 향기성분에 대한 관능평가로 더덕의 품질을 판단한다면 항균포장 냉장저장 더덕이 모든 향취가 높았으며, 그 다음이 마대포장 냉장저장, 항균포장 실온저장, 마대포장 실온저장 순으로 향취가 감소하였다. 이는 포장재의 차이보다는 저온보관 여부가 주요 변인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더덕 고유의 향취에 대한 관능평가를 통해 저장더덕의 상품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Oh SM. 1997. Studies on increase of aroma and establishment of processing system in Codonopsis lanceolata. ARPC final report
  2. 김상국, 강동균, 민기군, 정상환, 이승필, 이상철, 최부술. 1999. 표고에 따른 더덕의 향기 성분과 정유함량. 약작지 7:58-62
  3. 김정한, 김경례, 김재정, 오창환. 1992. 전처리 방법에 따른 더덕의 휘발성 향기 성분 비교 분석. 한국식품과학회지 24: 171-176
  4. 김종현, 정명현. 1975. 더덕의 생약학적 연구, 생약학회지 6: 43-47
  5. 박준영, 김영희, 김근수, 곽재진. 1989. 더덕뿌리중의 휘발성 향기성분. 한국농화학회지 32: 338-343
  6. 이승필, 김상국, 최부술, 이상철, 김길웅. 1995. 야생 및 재배더덕의 재배장소에 따른 생육 및 향기성분. 한국작물학회지 40: 587-593
  7. 이승필, 김상국, 민기군, 조지형, 이상철, 김길웅. 1996a. 한국 야생더덕 모집종의 노지 재배시 생육 특성과 향기성분조성. 한국작물학회지 41: 188-199
  8. 이승필, 김상국, 남명숙, 최부술, 이상철. 1996b. 차광과 유기물시용이 더덕의 생육 및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41: 496-504
  9. 이승필, 김상국, 최부술, 여수갑. 1998a. 유기물 종류에 따른 더덕근의 일반성분과 정유성분 변화. 약작지 6: 21-27
  10. 이승필, 김상국, 정상환, 최부술, 이상철. 1998b. 차광처리에 따른더덕의 조성분과 정유성분 변화 약작지 6: 149-153
  11. 이승필, 김상국, 정상환, 최부술, 이상철. 1998b. 토양PH가 더덕의 조성분과 정유성분 함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작물학회지 6: 239-244
  12. 이인란. 1977. 더덕의 약리와 인삼성분. 생약학회지 8: 43-48
  13. 이재석, 김순동, 노홍균. 1996. 농업특성 연구완결보고서 - 우리 농산물과 수입농산물의 식별도감: 산채류; 더덕.p.83.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14. 정보섭, 나도선. 1977. 사삼의 terpenoid 성분에 관한 연구. 생약학회지 8: 49-53
  15. 최명석, 최필선. 1999. 더덕의 체세포배로부터 식물체 재생과 사포닌함량 변화. 약작지 7:275-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