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본(韓國本)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형성(形成) 관한 연구(硏究) - 서하본(西夏本) 및 고려본(高麗本)의 판본학적(板本學的) 접근(接近)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in Korea - Bibliographical Approach about Woodcut Prints of Xixia and Koryo Daynasty -

  • 송일기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발행 : 2006.03.01

초록

이 연구는 지난 20세기 초기에 흑수성 불탐에서 발견된 서하목판본 <은중경>에 대한 서지학적 측면의 고찰이다. 그리고 고려시대에 간행된 은중경과 상호 비교를 통해 그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서하본 TK240은 고려후기에 간행된 구역본<鳩譯本> 간행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고려후기에 간행된 <은중경>의 독자적 판각 여부를 밝히는 중요한 사실될 것이다.

This study is a bibliographical investigation of Xixia woodcut print which was discovered in a stupa at Khara-Khoto in early 20th century. Comparing with other published in Koryo Dynasty, I examine the relativity of both print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Xixia woodcut print TK240 has a close similarity with (translated by Kumarasiva) published in later Koryo Dynasty. And it will be an important fact which can make clear independent publication of printed in later Koryo Dynasty.

키워드

참고문헌

  1. "俄藏黑水城文獻 " 第1册-第11册.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96-?
  2. "英藏黑水城文獻" 第1册.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05-?
  3. "中國藏西夏文獻" 第1册-第4册. 蘭州: 甘肅人民出版社. 2005
  4. 史金波. "西夏史鎬 ". 四川: 四川人民出版社. 1982
  5. 史金波. "西夏史論文集". 銀川: 寧夏人民出版社. 1984
  6. 史金波. '西夏文物'. 北京: 文物出版社. 1988
  7. 史金波. "西夏佛敎史略". 銀川: 寧夏人民出版社. 1988
  8. 史金波. "中國活字印刷術的發明和早期傳播". 北京: 社會科學文敵出版社. 2000
  9. 장춘석. "目連說話新論 ". 서울: 景仁文化史.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