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Forest Fire Occurrence in Korea

한국의 산불발생 실태분석

  • 이시영 (강원대학교 방재기술전문대학원) ;
  • 이해평 (강원대학교 소방방재학부)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The number of forest fire under various conditions such as year, month, time, day of the week, region, damaged species, cause, and damaged area are checked, and the statistics of the forest fire causing materials in recent 14 years ('91-'04) are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the year majority of forest fires had happened in last 14 year was 2001 and most of forest fire occurred in April, Sunday, around 14:00 to 15:00. The most damaged region is Gyeongsangbuk-Do, followed by Gangwon-Do, Jeollabuk-Do, and Gyeonggi-Do. The most damaged species is pine tree. The main causes of forest fires are accidental fire and incineration of a field boundary; however, recently, incendiarism is increased.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damaged area shows that small fires under 5 ha occurred most frequently and large fires (over 30 ha) occurred mostly in Kangwon province (44.2%). The result also shows that the large forest fires (1,113 minutes) require 7.5 time more than the small forest fires (148 minutes). Especially, since average damaged area caused by large forest fire was about 470 ha per incident.

최근 14년간('91-'04) 산림청에 보고된 전국 산불발생 통계자료를 변수로 SPSS Ver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도별, 월별, 시간대별, 요일별, 지역별, 피해 수종별, 원인별, 피해면적별, 진화 소요시간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도별 산불발생건수는 2001년도에 가장 많았고, 월별로는 매년 4월에, 시간대 별로는 $14{\sim}15$시 사이에, 요일별로는 일요일에, 지역별로는 경북 > 강원 > 전남 > 경기 순으로, 피해 수종별로는 소나무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원인별로는 입산자실화와 논 밭두렁소각 등이 주요 원인이지만 최근에는 방화에 의한 산불발생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피해면적별로는 5 ha 미만의 소형 산불이 93.7%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었고, 30 ha 이상의 대형 산불은 강원도 지역이 44.2%로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진화소요 시간별로는 30 ha 이상의 대형 산불(1,113분)이 5 ha 미만의 소형 산불(148분)보다 7.5배 더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형 산불에 의한 피해면적은 건당 평균 470 ha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류장혁, 이광원, '산불의 실태와 대책', 한국농촌경제 연구원 정책연구보고 P15, p.211 (1996)
  2. 오정수, 이명보, 김명수, 이시영, '외국의 산불예방과 진화', 임업연구원 연구자료, 제192호, pp.129-133 (2002)
  3. J. E. Deeming, J. W. Lancaster, M. A. Fosberg, R. W. Furman, and M. J. Schroeder, 'National Fire-Danger Rating System',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RM-84, p.165(1972)
  4. J. E. Deeming, R. E. Burgan, and J. D. Cohen, 'The National Fire-Danger Rating System 1978', USDA Forest Service Gen Tech Rep INT-39, p.63(1977)
  5. L. S. Bradshaw, J. E. Deeming, R. E. Burgan, and J. D. Cohen, 'The 1978 National Fire-Danger Rating System: Technical Documentation', USDA Forest Service Gen Tech Rep INT-169, p.44(1983)
  6. 정연하, 이시영, 염육철, 여운홍, '산화위험율 예측에 관한 연구', 임업연구원 연구보고, Vol. 38, pp.117-123(1989)
  7. K. Choi and S. Y. Han, 'Developing Forest Fire Occurrence Probability Model Using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Vol. 85, No. 1, pp.15-23(1996)
  8. S. Y. Lee, S. Y. Han, S. H. An, J. S. Oh, M. H. Jo, and M. S. Kim, 'Regional Analysis of Forest Fire Occurrence Factors in Kangwon Provinc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3, No. 3, pp.135-142(2001)
  9. 이시영, 한상열, 원명수, 안상현, 이명보, '기상특성을 이용한 전국산불발생확률모형 개발',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 6, No. 4, pp.242-249(2004)
  10. 이시영, 원명수, 한상열, '산불발화지점의 임상 및 지형특성을 이용한 산불발생위험지수 개발',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 19, No. 4, pp.75-79(2005)
  11. 이시영, '한국 산불의 특성', 강원대학교 삼림과학연구, Vol. 16, pp.156-163(2000)
  12. 이시영 외, '청양.예산 산불피해지 정밀조사보고서', 청양.예산 산불피해지 공동조사단, pp.13-24(2003)
  13. 정연하, 이시영, 염육철, '산불발생위험시기 분석 및 위험지수 분석', 임업연구원연구보고, Vol. 49, pp.92-102(1994)
  14. 이시영 외, '삼림환경보전학', 향문사, pp.34-70(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