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High School Student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according to Curriculum Change

교육 과정의 변화에 따른 과학의 본성에 대한 고등학생의 관점 변화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is necessary not only because it is helpful for solving everyday problems with growing science literacy, but also because it influences students' science learning.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investigate student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compare with those befor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probe the elements which contribute to changes in student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A significant number of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subdimensions of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the comparison. High school students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ad more relativistic, instrumental, and deductive but less process-oriented views than high school students befor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differences between mean values which showed high school student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under and befor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ere significant, except for the subdimension of instrumentanlism/realism. In particular, high school students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possessed a contextual view, whereas those befor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possessed a decontextual view. Although other factors might be the cause for differences found in this study, we argued by discussion that differences among textbook contents seemed to be the major factor.

과학의 본성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는 과학적 소양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기 위해 필요할 뿐 아니라 학생 개인의 과학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의해서도 그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 이런 맥락에서 살필 때 현재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이 어떤가를 살펴보고 이것이 기존의 연구에서 나타난 7차 교육과정 이전의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과 비교할 때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그 차이에 기여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기위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7차 교육과정의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1학년과 2학년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을 조사하여 관점의 분포를 알아보고 그 결과를 기존 연구에 나타난 7차 교육과정이전에 과학의 본성에 대한 1학년과 3학년 고등학생들의 관점과 비교하였다. 7차 교육과정에서 교육을 받은 고등학생들은 과학의 본성에 대한 하위차원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상대주의, 연역주의 관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고, 비상황주의에서 상황주의 관점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나 과학 철학적으로 일관되게 과학의 본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7차 교육과정 이전의 학생들에 비해서 유의미하지 않지만 좀 더 도구주의적인 관점을 갖고 있었다. 과학교육에서 과학지식보다는 과학적 방법과 과정을 중요하다고 보는 생각은 7차 교육과정 이전의 과학 교육을 받은 학생들과 같지만 인식의 정도에서는 유의미한 감소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의 원인으로 여러 가지를 생각할 수 있겠으나 선행연구를 통하여 교과서에서 과학사의 도입과 탐구활동의 변화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논의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진, 김영희, 노태희 (2004). 과학사를 이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96-1007
  2. 교육부 (1995).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3. 교육부 (2000).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4. 권성기, 박승재 (1995). 교육대학생의 과학의 본성 개념과 구성주의 학습관의 연관성 및 변화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105-115
  5.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 (2003). 과학 교육론. 서울: 교육 과학사
  6. 김범기 (2004). 고등학교 물리교과서의 개발 현황과 개선 방안. 교원 교육, 19(2), 109-141
  7. 김원중 (1996).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지식의 본성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김정호 (2005). 교과용 도서 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안, 차기 초. 중등 교육과정의 개선과 교과용 도서의 개발 방향 세미나, 한국교원대학교, 10월 27일 한국교원대 학교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9. 노태희, 김영희, 한수진, 강석진 (2002).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견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4), 882-891
  10. 문성숙, 권재술 (2004). 학습자의 역학적 에너지에 대한 개념변화 중에 살펴본 물리지식과 앎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499-518
  11. 박상태, 이희복, 육근철, 정점순 (2003).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힘과 운동 단원의 탐구활동 및 탐구의 연계성 분석. 새물리, 47(3), 139-146
  12. 박원혁, 김은아 (1999). 제 6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공통과학 교과서의 탐구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528-541
  13. 박윤배 (2000). 중등과학교사들의 과학관과 학습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44-249
  14. 박현주, 이금희 (2005). 과학적 소양의 관점에서 본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390-399
  15. 반은기, 이선경, 김우희, 박현주 (2000) 고등학생들의 과학 철학적 관점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88-100
  16. 서성미 (1994). 과학의 본성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이해도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성태제 (1999). 현대 기초통계학의 이해와 적용. 서울: 양서원
  18. 소원주 (1998). 과학교사의 과학철학적 관점과 과학 서술방식이 중학생들의 과학관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송진웅, 권성기 (1992). 과학철학을 수강하는 대학원생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1-9
  20. 유미현 (1999). 과학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중학교 과학수업에의 적용 효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장병기 (1995). 과학수업 및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4(1), 1-15
  22. 전경문, 박현주, 노태희 (2004).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의 탐구 단원에 제시된 과학사 내용 분석: 6차와 7차 교육과정에서 개발된 교과서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825-832
  23. 조희형 (1992). 과학적 탐구의 본질에 대한 분석 및 탐구력 신장을 위한 학습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61-73
  24. 진정미 (2005).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탐구단원의 분석과 과학 교사의 인식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최경희, 김숙진 (1996). 과학 교과서 선정과 평가에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조사와 과학 교과서 평가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303-313
  26. 한지숙, 정영란 (1997). 중 . 고등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1), 119-125
  27. Edmonson, K. M., & Joseph, D. N. (1993). The interplay of scientific epistemological views, learning strategies, and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6), 547-559
  28. Hammer, D. (1994). Students' beliefs about conceptual knowledge in introductory phys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6, 385-403
  29. Hogan, K. (2000). Exploring a process view of students' knowledge about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84, 51-70
  30. Matthews, M. R. (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New York: Routeldge
  31. Meichtry, Y. J. (1992).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89-407
  32. Newton, D. P., & Newton, L. D. (1992). Young children's perceptions of science and scientis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4(3). 331-348
  33. Nott, M, & Wellington, J. (1993). Your nature of science profile: an activity for science teachers. School Science Review, 75(270), 109-112
  34. Nussbaum, J. (1989). Classroom conceptual change: Philosophical perspectives. In D. E. Herget (Ed.), The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of in Science Teaching (pp.278-291). Florida State Univ, Science Education and Department of Philosophy, Tallahassee
  35. Solomon, J., Duveen, .J., McCarthy, S., & Scott, L. (1992). Teach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history: Action research in the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409-421
  36. Solomon, J., Scott, L., & Duveen, J. (1996). Large-scale exploration of pupil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80(5), 493-508
  37. Tao, P. K. (2003). Eliciting and developing junior second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a peer collaborations instruction in science sto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2), 147-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