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oybean Curd(Tofu) made from Defatted Soybean Flour

탈지 대두분을 이용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Kim Jin-Hee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Yongin University) ;
  • Woo Eun-Yeol (Department of Food Service and Culinary, Kyonggi University) ;
  • Kim Kang-Su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Yongin University) ;
  • Kim Myung-Hee (Department of Food Service and Culinary, Kyonggi University)
  • 김진희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우은열 (경기대학교 외식조리학과) ;
  • 김강성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명희 (경기대학교 외식조리학과)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for making soybean curd(or tofu) from defatted soybean flour.. Heating soymilk above $80^{\circ}C$ for at least $5{\sim}10\;min$ was necessary for soybean protein to form aggregates during subsequent coagulation process with glucono-${\delta}$-lactone(GDL). For maximum yield of tofu, with water content of approximately 80%, extra addition of 20 g of oil and 5 g of GDL per 425 g of soybean flour was needed. Maintaining soymilk temperature around $75^{\circ}C$ for 5 min was necessary when GDL was used as the coagulant.

탈지 대두분을 이용하여 두부를 제조함에 있어 각 공정의 최적조건을 알아보았다. 탈지 대두분을 물과 1:9 (wt/wt)의 비율로 혼합하고 용액을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탈지 대두분 두유를 $80^{\circ}C$ 이상으로 가열해야 응고제를 가할 경우 단백질이 응고현상을 보였으며 두부의 형태로 만들 수 있었다. 한편 탈지 대두분 두유의 가열 온도 $80^{\circ}C$에서 가장 높은 수율로 두부가 제조되었다. 두부의 수분 함량 역시 탈지 대두분 두유 가열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85{\sim}90^{\circ}C$에서 77%로 가장 높은 수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80^{\circ}C$이상으로 탈지 대두분 두유를 가열하는 과정이 두부 제조에 필수적인 과정인 것으로 판단된다. 탈지 대두분 두유의 가열시간의 경우, 5분 미만일 때 응고현상을 나타내지 않았고 가열시간이 $5{\sim}10$분일때 두부의 무게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분함량은 $1{\sim}10$분 사이일 경우 80% 정도로 유지되었으나 10분을 초과할 경우 수분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부를 $5{\sim}10$분 가량 가열하는 것이 대두 단백질의 변성이 충분하게 일어나고 두부의 수분 함랑도 적절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질을 20 g 첨가하였을 때 두부의 무게와 수분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이상으로 첨가하였을 때는 두부의 무게와 수분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높은 지방 함량이 두부 조직과 물 분자 사이의 결합을 방해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글루코노 델타 락톤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제조된 두부의 무게는 비례하게 증가되었고 12 g 이상 첨가된 두부의 무게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글루코노 델타 락톤 첨가량은 견고성에 영향을 끼치는데 첨가량이 5 g일 때 가장 단단한 두부가 만들어졌으며 그 이상을 첨가하면 견고성은 감소하다 추가적인 글루코노 델타 락톤 첨가에도 거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응고제 첨가온도에 따른 두부의 무게는 $75^{\circ}C$일 때 가장 많은 두부가 제조되었으며 $65^{\circ}C$의 낮은 온도나, $85^{\circ}C$의 높은 온도에서는 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분함량 역시 $75^{\circ}C$에서 가장 높은 수분함량을 나타내었고 낮은 온도와 높은 온도에서는 비교적 수분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부의 저장성은 실온과 $4^{\circ}C$ 모두 저장시간이 경과할수록 colony 수가 증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Kim, KS, Kim, SJ and Rhee, JS. Effect of acetylation on turbidity of glycinin. J. Agric. Food Chem. 39: 1578-1582.1991 https://doi.org/10.1021/jf00009a008
  2. Samoto, M and Kawamura, Y. Development of low allergenic soybean protein. The Food Indus. 39:76-86. 1996
  3. Shin, HC, Sung, HS, Lee, YS and Sohn, HS. Nutritional adequacy and beneficial effects of soy formula. Soybean Digest. 18:10-25. 2001
  4. Miller, CD, Denning, H and Bauer, A. Relation of nutrients in commercially prepared soybean curd. Food Res. 17: 261-265. 1952 https://doi.org/10.1111/j.1365-2621.1952.tb16762.x
  5. Doston, CR, Frank, HA and Cavaletto, CG. Indirect methods as criteria of spoilage in tofu(soybean curd). J. Food Sci. 42:273-279. 1977 https://doi.org/10.1111/j.1365-2621.1977.tb01270.x
  6. Rehberger, TG, Wilson, LA and Glatz, BA. Microbiological quality of commercial tofu. J. Food Sci. 47: 177-181. 1984
  7. Pyun, JW, Kim, CK and Hwang, IK. Effect of coagulant and additives on qualities of soybean curd tofu. Soybean Digest. 21:203-21. 1989
  8. Lee, HJ, Sul, MS, Cha, BS and Yook, HS. Tofu qualities as influenced by soybeans storage temperatur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833-839. 1998
  9. Kim, HJ, Kim, BY and Kim, MH. Rheological studies of the tofu upon the process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324-328. 1998
  10. Zee, JA, Boudreau, A, Bourgeois, M and Breton, R.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on quality of faba bean based tofu. J. Food Sci. 53:1772-1774. 1988 https://doi.org/10.1111/j.1365-2621.1988.tb07839.x
  11. Chang, CI, Lee, JK, Ku, KH and Kim, WJ. Comparison of soybean varieties for yield,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oybean curd. Korean. J. Food Sci. Technol. 22:439-444. 1990
  12. Saio, K. Tofu relationships between texture and fine structure. Cereal Foods World 24:342-354. 1979
  13. Kim, DW, Ku, KH, Choi, HS and Kim, WJ. Effects of oil and sugar on SPI - Tofu characteristics under model system. J. Korean Soc. Food Nutr. 23:90-97. 1994
  14. Smith, AK, Watanabe, T and Nash, A. Tofu from Japanese and United States soybean. Food Technol. 14: 332-336. 1960
  15. Tsai, SJ, Lan, CY, Kao, CS and Chen, SC. Studies on the yield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J. Food Sci. 46:1734-1737. 1981 https://doi.org/10.1111/j.1365-2621.1981.tb04474.x
  16. Lu, JY, Carter, E and Chung, RA. Use of calcium salts for soybean curd preparation. J. Food Sci. 45: 32-34. 1980 https://doi.org/10.1111/j.1365-2621.1980.tb03864.x
  17. Wang, HL and Hesseltine, CW. Coagulation condition in tofu processing. Process Biochem. 17:7-12. 1982
  18. Champagene, CP, Aurouze, B and Goulet, G. Inhibition of undesirable gas production in tofu. J. Food Sci. 56: 1600-1603. 1991 https://doi.org/10.1111/j.1365-2621.1991.tb0865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