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립적 정보원천으로서의 소비자정보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미국 Consumer Reports지의 성공 요인 조사를 통한 국내 소비자 정보지의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evitalization of Consumer Information Magazines in Korea - By Scrutinizing Success Factors of 'Consumer Reports' in the United States -

  • 박민규 (이화여자대학교 생활환경학부) ;
  • 정순희 (이화여자대학교 생활환경학부)
  • Park Min-Kyu (College of Human Ecology, Ewha Womans University) ;
  • Joung Soon-Hee (College of Human Ecology, Ewha Womans University)
  • 발행 : 2006.04.0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methods that may revitalize the status of consumer information magazines in Korea by scrutinizing success factors of 'Consumer Reports' in the Unites States. To encourage the use of consumer information magazines by average consumers, enormous efforts to improve consumer in advance are needed. Also, a change in the contents of the publications and effective distribution methods are need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미옥.이승신(1998). 소비자정보탐색 요소에 따른 소비자 만족. 대한가정학회지, 36(5), 1-15
  2. 김기옥 외(2004). 한국 소비자의 소비자주의에 대한 태도와 행동. 생활과학회지, 7, 31-43
  3. 김민주(2002). 마케팅 어드벤처 2. 미래의 창
  4. 김문조.손장권.김철규(1994). 미국의 소비자운동. 지역연구, 3(3), 75-99
  5. 김성숙.이승신(2000). 상품안전정보에 관한 소비자행동 연구. 소비자학연구, 11(3), 59-85
  6. 김영림(2003). 소비자 정보 내용의 체계화에 관한 연구. 성균관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영신 외(1988). 소비자보호법제정에 관한 과정분석. 대한가정학회지, 26(3), 101-112
  8. 김용자(1991). 상품 테스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종원.김경미(1997). 소비자 정보환경과 소비자 정책에 관한 문헌 고찰 : 정보처리적 관점. 경영논총, 41(1), 295-325
  10. 송순영 외(2003). 소비자정보 제공의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소비자보호원
  11. 신종국(1997). 정보화 시대의 소비자의 변화. 사회조사연구, 1, 21-30
  12. 우윤재(2001). 중립적 소비자 정보원천에 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윤숙현(1992). 소비자정보에 관한 일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0(2), 170-190
  14. 이기춘.김소라(1998). 소비자의 내적 정보량과 구매전 탐색이 구매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6(5), 1-15
  15. 이기춘 외(2001). 소비자학의 이해. 학현사
  16. 이득연.최선경(1994). 소비자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소비자 정보 활용도 평가. 한국소비자보호원
  17. 이승신 외(2004). 소비자 교육과 정보. 신정
  18. 이은희(1993). 소비자 정보의 요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 이일경(1991). 소비자정보원에 따른 정보탐색량과 구매 후 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이종혜.이기춘(1998). 한국 소비자단체의 형성과 운영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9(4), 117-135
  21. 전성자.오장균.정구도(1999). 글로벌시대의 컨슈머리즘. 나남출판
  22. 정영금(1998). 소비자 정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소비자 정보 요구. 대한가정학회지, 36(6), 71-84
  23. 제미경.김영옥(2004). 소비자교육이 유아의 소비자지식과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2(2), 69-82
  24. 최병선(1989). 소비자보호를 위한 정보역할 및 규제의 합리화. 행정논총, 28(1), 179-210
  25. 한국소비자보호원(2001). 2000년 기관 운영 및 사업추진 실적
  26. 허경옥.김혜선.정순희.김정훈(2002). 소비자 상담. 시그마프레스
  27. Guest, T.(2002). Consumers and Consumerism in America today. Journal of Consumer Affairs, 36(2), 139-149 https://doi.org/10.1111/j.1745-6606.2002.tb00427.x
  28. Snider, J.H.(1993). Consumers in the Information Age. The Futurist, Jan-Feb. 17
  29. Stern, L.L.(1967), Consumer Protection Via Increased Information. Journal of Marketing, Vol. 31, 48-52
  30. Nader, R. 96년 방한 강연 '21세기의 컨슈머리즘과 소비자 운동' 강연 내용 중에서
  31. Buskirk, R.H.(1970) Consumerism-An Interpretation. Journal of Marketing, 34, 61-65
  32. Mayer, R.N.(1989). The Consumer Movement. Twayne Publisher
  33. Herrmann, R.O.(1970). Consumerism: Its Goals, Organizations and Future. Journal of Marketing, 84, 55-60
  34. Fos, S.(1984). The Mirror Makers. New York; William Morrow
  35. Mcgregor, S.(2002). Participatory Consumerism. Consumer Interest Annual, 47, 1-7
  36. Thorelli, H.B and Sentell, G.D.(1982). Consumer Emancip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case of Thailand. London : JAI Press Inc
  37. 미국 소비자연합 홈페이지 www.consumersunion.org
  38. 'ConsumerReports' 홈페이지 www.consumerreports.org
  39. 한국소비자보호원 홈페이지 www.cpb.or.kr
  40. 대구녹색소비자연대 홈페이지 www.dgc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