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illing Analysis for Missing Turbidity Data in Han River Estuary

한강 하구부에서 결측된 탁도 자료의 보완

  • Published : 2006.04.01

Abstract

Turbidity had been measured during five months In Han River estuary at three sites. In this process, missing data occurred due to gauge imitation of the turbidity sensor. A filling method for the missing turbidity data was newly developed in this study. Under the assumption of the time series data with unique period and different amplitudes, the new method can fill the missing data based on the area ratio of each cycle. And the new method was verified through the data set having no missing data.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between gross area of the original data and that of the revised data by the new method though values of peak were underestimated. As a result, missing turbidity data observed at Han River estuary could be appropriately filled using the new filling method.

한강 하구부의 3개 지점에서 수중 계류방식으로 약 5개월에 걸쳐 탁도를 관측하였다. 이 과정에서 관측기기의 한계로 인해 탁도 자료의 결측치가 발생하였고, 이를 효율적으로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결측치 보완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법은 시계열 자료가 단일주기와 상이한 진폭을 갖는다는 가정하에, 각 사이클의 면적비율을 통해 결측치를 보완하는 방법이다. 이 기법을 결측되지 않은 정상적인 자료로 검증해 보면, 첨두치가 약간 과소 산정되는 경향이 있으나 총 면적은 보완 전, 후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새로운 기법을 바탕으로 한강 하구부에서 관측된 탁도자료의 결측치를 합리적으로 보완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수자원의 지속적인 확보기술 개발 사업단 (2004). 시공간 자료의 통계적 검 . 보정 기술의 개발, 1단계 보고서, 과학기술부
  2. 조홍연, 김백운, (2003), '포획된 부유물질의 입도분포를 고려한 탁도계 검교정.' 한국해안 . 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 . 해양공학회, 제15권, 제l호, pp. 33-38
  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2) 한강하류부 하상변동분석 연구, (주)남원건설엔지니어링과 (주)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3). 지속가능한 하구부 이용.보전 방안의 분석 및 평가 모형 개발, 공공기술연구회
  5. 한국해양연구원 (2005). 한강 하구부 수리특성 측정조사 연구, 한국해양연구원
  6. Aanderaa (online). http://www.aanderaa.com/index
  7. Bendat, J.S., and Piersol, A.G. (2000). Random data, 3rd ed., John Wiley & Sons Inc., NY
  8. Fischer, H. B., List, E. J., Koh, R. C. Y., Imberger, J., and Brooks, N. H., (1979). Mixing in inland and coastal waters, Academic Press, NY.
  9. Hwang, S.Y., Oh, Y.M., and Woo, H. (2005), 'A field observation on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in the Han River estuary affected both by tide and river runoff.' KSCE J. Civil Engrg., Vol. 9, No. 1, pp. 13-18
  10. Hamilton, J.D. (1999). Time series analysis, Princeton Univ. Press, NJ
  11. Jerlov, N.G., and Nielsen, E.S. (1974). Optical aspects qf oceanography, Academic Press, 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