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arl Oyster Muscle and Adductor Muscle as Pearl Processing Byproducts

진주 가공부산물(육 및 패주)의 이화학적 특성

  • Kim, Jin-Soo (Division of Marine Life Science/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Hye-Suk (Division of Marine Life Science/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Oh, Hyeun-Seok (Division of Marine Life Science/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ang, Kyung-Tae (Division of Marine Life Science/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Han, Gang-Uk (Division of Marine Life Science/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In-Soo (Division of Marine Life Science/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Jeong, Bo-Young (Division of Marine Life Science/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Moon, Soo-Kyung (Division of Marine Life Science/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Heu, Min-Soo (Division of Marine Life Science/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진수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해양산업연구소) ;
  • 김혜숙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해양산업연구소) ;
  • 오현석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해양산업연구소) ;
  • 강경태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해양산업연구소) ;
  • 한강욱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해양산업연구소) ;
  • 김인수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해양산업연구소) ;
  • 정보영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해양산업연구소) ;
  • 문수경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해양산업연구소) ;
  • 허민수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해양산업연구소)
  • Published : 2006.04.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 knowledge on food components of muscle and adductor muscle of pearl oyster (Pinctada fucata martensii) as pearl processing byproducts. The concentrations of mercury and chromium as heavy metal were not detected in both pearl oyster muscle and adductor muscle, and those of cadmium and lead were 0.06 ppm and 0.11 ppm in only pearl oyster muscle, respectively. Thus, the heavy metal levels of pearl processing byproducts were below the reported safety limits. The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 and pH of pearl oyster muscle were 11.6 mg/100g and 6.31 and those of abductor muscle were 8.6 mg/100 g and 6.33, respectively. It was concluded that pearl oyster muscle and adductor muscle might not invoke health risk in using food resource.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16.5%) and total amino acid (15,691 mg/100 g) of adductor muscle were higher than those of muscle (11.2% and 10,131 mg/100 g) and oyster (12.1% and 11,213 mg/100 g) as a control. The contents of calcium and phosphorus were 95.4 mg/100 g and 116.0 mg/100 g in muscle, 75.2 mg/100g and 148.1 mg/100 g in adductor muscle, respectively. The calcium level based on phosphorus was a good ratio for absorbing calcium.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and taste values were 635.5 mg/100 g and 40.2 in muscle, and 734.9 mg/100 g and 24.1 in adductor muscle, respectively, but that (882.8 mg/100 g and 40.2) of oyster was higher than those of pearl processing byproducts. Based on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pearl oyster muscle and adductor muscle can be utilized as a food resource.

진주 채취 후 폐기되는 진주조개 육 및 패주를 기능성 식품의 추출소재 또는 가공품의 소재와 같이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진주조개 육 및 패주의 식품성분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진주조개 육의 중금속은 수은과 크롬의 경우 검출되지 않았고, 카드뮴의 경우 0.06 ppm, 납의 경우 0.11 prm이 검출되었다. 또한 패주의 경우 검토한 4종의 중금속이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휘발성염기질소 함량과 pH는 진주조개 육의 경우 각각 11.6 mg/100 g 및 6.31이었고, 패주의 경우 각각 8.6 mg/100 g 및 6.33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진주조개 패주 및 육은 식품가공 소재로서 식품위생적인 면에서 문제가 없었다. 패주의 조단백질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16.5%와 15.691 mg/100 g으로서, 진주조개 육(11.2% and 10,131 mg/100 g)과 대조구인 굴(12.1% and 11,213 mg/100 g)보다 높았으며, 칼슘과 인의 함량은 육이 각각 93.4mg/100g과 116.0mg/100g, 패주가 75.2 mg/100 g과 148.1 mg/100 g이었다. 유리아미노산과 taste value는 진주조개 육이 각각 635.5 mg/100 g과 40.2, 패주가 각각 734.9 mg/100 g과 24.1이었으나, 굴의 경우 각각 883.8 mg/100 g과 40.2로 진주 가공부산물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이화학적, 영양적 특성으로 살펴본 결과, 진주조개 패주는 육에 비하여 단백질 및 탄수화물, 총 아미노산 함량 및 무기질 함량이 높아 근육에 비하여 영양적인 면에서 식품 재자원으로서 우수하다고 판단되었다. 하지만 진주조개 패주 및 육은 굴이나 기타 패류에 비하여 맛 특성은 낮아 맛 추출 소재로는 부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련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세부속성별로는 "분위기가 조용하고 편안하다.", "불만이나 고충이 신속히 처리된다."라는 속성이 중점개선 영역에 포함되어 분위기와 고충처리 부분에 대한 개선을 위한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내부시설 및 기물이 쾌적하다.", "종업원이 친절하다." 항목은 유지관리 영역에 포함되기는 하였으나, 수행도 수준이 중요도에는 다소 못 미쳐 일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전반적으로 기존의 일반 베이커리 연구들에서 나타난 선택속성 및 고객인지 중요도가 제품중심이었던 결과와는 달리 베이커리카페에 대해 고객이 인지하는 중요 선택속성은 제품, 서비스, 인테리어 등의 복합적인 요소가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베이커리카페 관련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명확히 파악하고 연구를 전개해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업체의 마케팅전략 수립에 있어서도 고씩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가 큰 선택속성 차원과 세부항목을 중점대상으로 하여 일반 베이커리와는 구분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베이커리카페 이용고객은 특징적인 선택속성을 기준으로 베이커리카페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새로운 외식 산업 군인 베이커리카페의 조기정착과 발전을 위해서는 이러한 선택속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선택속성 차원 중 많은 경우에 있어 고객이 인지하고 있는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해당 차원의 개선을 위한 경영자들의 노력이 요구되어 진다. 체중군(0.82)에 비해 영양 질적 지수(INQ)가 높았으며(p<0.0335), 비타민 $B_1$은 정상 체중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영양 질적 지수를 보여주었다(p<0.0452). 이상의 결과로

Keywords

References

  1. Yoo SK, Chang YJ, Lim HS. 1986. Growth comparison of pearl oyster, Pinctada fucata between the two culturing areas. Bull Korean Fish Soc 19: 593-598
  2. Kimura S, Nagaoka Y, Kubota M. 1969. Studies on marine invertebrate collagens-I. Some collagen from crustaceans and molluscs. Bull Japan Soc Sci Fish 35: 743-748 https://doi.org/10.2331/suisan.35.743
  3. Suzuki T, Yoshinaka R, Mizuta S, Funakoshi S, Wada K. 1991. Extracellular matrix formation by amebocytes during epithelial regeneration in the pearl oyster. Cell and Tissue Research 266: 75-82 https://doi.org/10.1007/BF00678713
  4. Mizuta S, Miyagi T, Nishimiya M, Yoshinaka R. 2002. Partial characterization of collagen in mantle and adductor of pearl oyster (Pinctada fucata). Food Chemistry 79: 319- 325 https://doi.org/10.1016/S0308-8146(02)00148-6
  5.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69-74
  6. Ministry of social welfare of Japan. 1960. Guide to experiment of sanitary infection. III. Volatile basic nitrogen. Kenpakusha, Tokyo, Japan. p 30-32
  7. Kato H, Rhue MR, Nishimura T. 1989. Role of free amino acids and peptides in food taste. In Flavor chemistry: Trends and development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p 158-174
  8. Cha YJ, Kim H, Park JY. 1999. Identification of aroma- active compounds in Korean salt-fermented fishes by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2. Aroma-active components in salt-fermented shrimp on the mark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19-325
  9. Tsutagawa T, Hosogai Y, Kawai H. 1994. Comparison of mineral and phosphorus contents of muscle and bone in the wild and cultured horse mackerel. J Food Hyg Soc Japan 34: 315-318
  10.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9. 1999 Food Code. Moon-yeoung Publishing Co., Seoul. p 70-72
  11. Park YH, Chang DS, Kim SB. 1995. Seafood Processing and Utilization. Hyungseol Publishing Co., Seoul. p 73-79
  12. NFRDI. 2002. Sanitary research of the designated area for shellfish production in the South Sea of Korea. South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Busan. p 3-84
  13. Codex Code. 2004. European Community Comments for the Codex Committee o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Rome, Italy. Agenda item 15(a), 16(f)
  14. Kim JS. 2003. Food Chilling and Freezing. Hyoil Publishing Co., Seoul. p 236-238
  15. Yang CY. 1998. Seafood Processing. Jinro Publishing Co., Seoul. p 47-50
  16. Kim JS, Heu MS, Yeum DM. 2001.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canned oyster processing waste water as a food resource. J Korean Soc Food Sci Nut 30: 299-306
  17. Jeon JG, Byun JH. 1994. Fisheries Chemistry. Suhaksa Publishing Co., Seoul. p 33-47
  18. Kim JS. 2006. Principle of Food Processing. Hyoil Publishing Co., Seoul. p 45-48
  19.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Seoul. p 157-218
  20. Cho SY, Joo DS, Park SH, Kang HJ, Jeon JK. 2000. Change of taurine content in squid meat during squid processing and taurine content in the squid processing waste water. J Korean Fish Soc 33: 51-54

Cited by

  1. A Comparison of the Taste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Domestic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according to the Area Caught, Sex, and Weight vol.46, pp.2, 2013, https://doi.org/10.5657/KFAS.2013.0129
  2. Comparison of Food Components in Various Parts of White Muscle from Cooked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as a Source of Diet Foods vol.45, pp.4, 2012, https://doi.org/10.5657/KFAS.2012.0307